관상동맥 석회화가 심할수록 만성 콩팥병의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은 서울건강검진센터 강정규 교수와 데이터관리센터(류승호, 장유수 교수 김예진 연구원) 연구팀이 2010년~2018년 사이에 강북삼성병원 종합건강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11만여 명을 4.2년간 추적 관찰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를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에 따라 ▲0점 ▲1-100점 ▲101-300점 ▲300점 초과로 나누었다. 그 결과,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가 0점인 그룹에 비해 ▲1-100점 그룹에서는 만성 콩팥병의 발생 위험도가 15% 증가 ▲101-300점 그룹에서는 37% 증가 ▲300점 초과인 그룹에서는 71%가 증가해, 석회화 점수가 높을수록 만성 콩팥병 발생 위험도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만성 콩팥병을 정의하는 두 가지 기준인 사구체 여과율 감소와 단백뇨 발생으로 각각 나눠서 분석했을 때도 석회화에 따라 만성 콩팥병 발생위험도가 증가했다. 강북삼성병원 서울건강검진센터 강정규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관상동맥 석회화가 있을 때 흔히 동반되는 전신 혈관의 탄성도 감소, 맥압 증가
교착성 심낭염에서 심낭제거수술을 시행할 경우 수술 전 심장CT검사에서 석회화 수치(Calcium Score)가 ‘낮은 환자’가 높은 환자보다 수술 예후가 불량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삼성서울병원은 순환기내과 장성아 교수가 심장외과 정동섭 교수, 영상의학과 김성목 교수와 함께 성균관의대에 재학중인 이영현 학생을 지도해 국제심장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IF=3.5) 최근호에 교착성 심낭염 수술의 예후를 가늠하는 지표로 ‘석회화 수치 모델’을 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20년 사이 삼성서울병원에서 심낭제거수술을 받은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CT검사에서 확인한 석회화 수치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172주 동안 추적관찰하는 동안 석회화 수치가 높은 환자가 수술 이후 심부전 등 심혈관계 질환으로 이어지는 빈도가 오히려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심낭제거수술 후 심부전으로 인한 재입원율은 25%였는데, CT에서 측정한 수술전 심낭의 로그 보정 석회화 수치 7.22를 기준으로, 이보다 높은 환자는 수술 후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10% 낮았다. 칼슘 수치를 기준
고강도 신체활동이 관상 동맥 석회화의 발병을 높일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정상적인 관상동맥에는 칼슘이 없지만 동맥경화가 진행되면 관상동맥에 칼슘이 쌓이기 시작한다. 여러 역학 조사에서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가 높으면 심장혈관질환이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됐고, 특히 석회화지수가 100 이상이면 ‘위험’, 400이상이면 매우 위험한 것으로 간주한다. 강북삼성병원은 순환기내과 성기철 교수 연구팀이 2011년~2017년 사이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를 방문한 성인 25,841명을 대상으로 평균 5년간의 추적 분석을 실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한 신체 활동 수준에 따라 ▲비활동자 ▲중간 활동자 ▲고강도 활동자로 분류한 이후 관상동맥 CT를 이용해 석회화 지수를 측정했다. 여기서 중간활동자는 ▲하루에 20분 이상 강한 강도로 일주일에 3회 이상 활동 ▲하루에 30분 이상 중간강도로 일주일에 5일 이상 활동 ▲600 MET-min/주에 도달하는 걷기 또는 격렬한 활동의 조합 중 5일 이상 활동하는 사람으로 분류했다. 고강도 활동자는 ▲1500 MET-min/주를 달성한 강도로 3일 이상 활동 ▲3000 MET-min/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