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AC 항응고제 시장 모든 제품들이 2021년 하반기 대비 2022년 상반기 원외처방 매출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 분석 결과 2022년 상반기 NOAC 항응고제원외처방시장은 총 1126억원을 달성하면서 지난 2021년 하반기 1189억원보다 5.3% 축소됐다. 특히 이번 상반기 실적을 세부적으로 보면 1분기 570억원에 비해 2분기 556억원으로 줄어들며 갈수록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이이찌산쿄의 에독사반 성분 ‘릭시아나’는 NOAC 시장에서 점유율 38.4%를 보이며 이번에도 매출이 가장 높았지만 규모가 줄어들게 됐다. 이번 1분기 214억원, 2분기 218억원으로 상반기 총 432억원을 달성했는데, 지난 2021년 하반기 446억원보다 3.2% 감소했다. 비엠에스의 아픽사반 성분인 ‘엘리퀴스’도 전반기보다 줄어들었다. 2021년 하반기 358억원에서 2022년 상반기에는 1분기 181억원, 2분기 169억원으로 총 350억원을 기록해 2.2% 줄어들었다. 엘리퀴스의 시장 점유율은 31.1%였다. 긴 공방전 끝에 물질특허를 보호받게 된 엘리퀴스는 지난 4월 암 동반 정맥혈전색전증 환자 치료에 대해 허가받아 매출 확대에
상위 제약사 50곳 중 반기보고서를 통해 판촉비를 공개한 제약사들은 총 33곳으로, 이들은 상반기 987억원을 판촉비로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년 동기 대비 판촉비가 896억원에서 10.3% 상승했지만 매출액 대비 비중은 예년과 마찬가지로 1.2~1.3%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상반기 판촉비가 가장 많았던 곳은 한미약품으로 139억원을 판촉비로 사용했다. 작년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매출액의 2.5%를 유지하고 있으며, 약 8억원 판촉비가 증가됐다. HK이노엔도 한미약품과 함께 판촉비 지불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HK이노엔의 올해 상반기 판촉비는 119억원으로 매출 중 3.2%다. 작년 상반기에는 매출의 1.5%인 38억원이 판촉비로 사용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판촉비가 210.9% 상승한 셈인데, 매출의 급성장에 따라 판촉비 또한 증가된 것으로 분석된다. 대원제약은 2021년 상반기 판촉비가 77억원이다. 이는 매출 대비 4.8% 규모이며, 2020년 상반기에는 매출의 4.2%인 64억원을 판촉비로 지불했다. 판촉비 증가율은 19.9%다. 종근당의 판촉비는 네 번째로 많은 금액이지만 매출 대비 판촉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로 낮다. 2020년 상반기 판촉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