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들의 접대비 지출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 전자공시를 통해 확인된 2021년 매출 상위 50개 제약사 중 32곳의 접대비 지출이 확인됐고, 분석 결과 이 중 18개 제약사 접대비 비중이 정부가 정해놓은 기준인 0.06%를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일동제약, 휴온스, 동아에스티, 한올바이오파마 등 예년에도 접대비 비중이 낮았던 곳은 2021년에도 접대비 비중이 낮았지만, 0.06% 초과는 물론 3%에 다다를 만큼 접대비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32개 제약사들의 2021년 접대비는 0.23%로 일관되게 매출 대비 높은 비중을 보였다. 실질적인 접대 비용을 보면 2020년에는 매출 10조 2008억원 중 232억원, 2021년에는 매출 11조 90억원 중 251억원을 차지해 8.2% 상승했다. 다만 접대비 비중이 높고, 비용이 많았던 제약사들 중 2020년 대비 2021년 접대비용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다소 긍정적인 부분이다. 다행히도 매출 상위 5개 제약사는 0.06% 이하를 잘 유지하고 있었다.유한양행의 경우 4억원대에서 6억원대로 39.5% 상승하기는 했으나 0.03%에서 0.04%로 안정적인 수치를 유지 중이다. 광동제약은 상한선인 0.06%를 아
국내 상위 제약사들이 접대비 지출을 줄였으나 여전히 매출 대비 접대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자공시를 통해 공시된 반기보고서에 의하면 3분기 매출 상위 50개 제약사 중 27개사가 접대비를 공시했다. 27개 제약사들은 지난 3분기 0.29%에서 이번 3분기 0.27%로 접대비의 비중이 감소됐다. 비용은 이번 3분기까지 176억원을 접대비로 사용하며, 지난 해 3분기의 174억원에 비해 1.3% 증가했다. 정부는 매출 500억원 이상인 규모의 회사에서는 접대비를 매출의 0.06%까지 사용하도록 규제하고 있는데, 27개 제약사 모두 매출이 500억원 이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접대비는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지난 상반기 접대비 비중인 0.22%보다 오히려 상승함에 따라 각 제약사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상위권 제약사들의 접대비 비중은 낮은 편이다. 유한양행은 접대비가 3억원에서 4억원으로 33.4% 늘었다. 비중도 0.03%에서 0.04%로 소폭 상승했다. 광동제약은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5억원대를 접대비로 지출했다. 2020년에는 5억 6100만원을, 2021년에는 6.2% 상승한 5억 9600만원을 지출하며, 전체 중 0.06%의 비중을 유지하
제약사들이 다양한 특허 출원에 성공했다. 현대인들로부터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안구건조증과 관련한 특허부터,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필수품인 손세정제 원료와 관련된 특허까지 다양한 특허가 출원됐다. 이틀 간격으로 두 건의 특허를 등록하는 데에 성공한 제약사도 있으며, 외국으로부터 유망 기술을 이전받기 위해 계약한 제약사도 있다. ◆유한양행, 美로부터 기술 이전받아 유한양행은 지난 달 19일 미국 ‘프로세사 파머수티컬’로부터 세로토닌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작용하는 ‘기능성 위장관 질환 치료제 YH12852’ 기술을 이전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총 기술수출금액은 US$ 410,500,000로, 계약상대 주식 US$ 4,500,000 상당이 포함됐다. 계약금은 US$ 2,000,000 상당의 계약상대 보통주로 반환 의무는 없다. 개발, 허가 및 매출에 따른 단계별 마일스톤 기술료는 총 US$ 408,500,000를 수령할 예정이며 이 중 US$ 2,500,000 상당의 계약상대 보통주가 포함됐다. 경상 기술료는 순매출액에 따라 수령 예정이다. 계약지역은 대한민국을 제외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다. 계약기간은 계약일로부터 국가별 특허권가 만료되는 시점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