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 비만…최근 10년간 약 30.8% 증가

질병청,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기반 성인 비만율 심층분석 결과 발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34.4%)이며, 지역별로는 전남·제주의 비만율이 가장 높고(36.8%), 세종이 가장 낮다(29.1%)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질병관리청이 매년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했다. 분석에는 조사 응답을 기반으로 산출된 비만율이 활용됐다.

우리나라 비만 인구 지속 증가, 남녀·연령별 격차 뚜렷

우리나라 성인 비만율은 꾸준히 증가해, 2024년에는 약 성인 3명 중 1명(34.4%)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 약 4명 중 1명(26.3%)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할 때, 자가보고 비만율은 약 3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남성의 비만율은 41.4%, 여성은 23.0%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보다 약 1.8배 높았다. 남성의 경우 사회생활을 활발히 하는 30대(53.1%)와 40대(50.3%)가 비만율이 높아 약 2명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고령층인 60대(26.6%)와 70대(27.9%)에서 상대적으로 비만율이 높았다.

한편, 우리나라 전체 성인 인구 중 약 2명중 1명(54.9%)이 주관적으로 자신이 비만하다고 답변했다. 비만인 사람들 중에서 자신이 비만하다고 인식한 비율이 남성 77.8%, 여성 89.8%로 대부분은 스스로 비만임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만이 아닌 사람들 중에서도 자신이 비만하다고 인식한 비율이 남성 13.0%, 여성 28.2%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더 실제 체형과 인식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우리나라 전체 성인 인구 중 약 5명 중 3명(65%)이 체중을 줄이거나 유지하려고 했다. 체중조절 시도율을 분석한 결과, 비만인 사람은 남성 74.7%, 여성 78.4%로 대부분 체중조절을 시도했으며, 비만이 아닌 사람들은 남성 42.0%, 여성 64.6%로 비만이 아닌 집단에서도 체중조절 시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고령층으로 갈수록 체중조절 시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최근 10년간 비만율 증가 추세

비만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전남(36.8%)과 제주(36.8%)였으며, 가장 낮은 시·도는 세종(29.1%)으로 나타나 광역시·도별로도 비만율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10년간 시·도별 비만율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국 17개 모든 광역시도에서 비만율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전남은 11.4%p 상승(’15년 25.4%→’24년 36.8%)하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울산과 충남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세종은 2.9%p 증가(’15년 26.2%→’24년 29.1%)에 그쳐 가장 완만한 상승세를 나타냈고, 대전과 강원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최근 시··구별 비만율(3개년 평균)은 충북 단양군(44.6%), 강원 철원군(41.9%), 충북 보은군(41.4%) 순으로 높았고, 경기 과천시(22.1%), 대전 서구(23.1%), 대구 수성구(23.7%) 순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충북 단양군(44.6%)과 가장 낮은 경기 과천시(22.1%)의 비만율 격차비는 약 2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시․도 내에 거주하고 있더라도 각 시··구의 비만율은 차이를 보였으며, 시·도내 격차비가 가장 큰 곳은 경기(1.76)였고, 가장 작은 곳은 울산(1.11)으로 나타났다.

비만, 전세계적으로 급증 중이며, 한국도 예외는 아냐

전 세계적으로 비만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비만율은 지난 수십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으며, 비만은 이제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남녀 모두 비만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36.5%)는 OECD 평균(56.4%)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생활습관 변화와 서구화된 식단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맞춤형 건강관리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

비만은 암발생 위험요인, 예방의 열쇠는 식이조절 및 생활습관 관리

비만은 심혈관질환, 제2형 당뇨병,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한다고 돼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암의 발생과도 밀접하게 연관된 만성질환이다. 특히, 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늘어난 상태가 아니라, 대사․호르몬․면역 기능의 변화를 통해 암 발생과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대장암, 간암, 췌장암, 신장암, 자궁내막암, 식도암, 유방암 등의 발생과 관련이 높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꾸준히 5~10%정도 체중을 줄이고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대사와 호르몬 환경이 크게 개선된다. 우선 혈당과 인슐린 저항성이 좋아지고, 만성 염증 반응이 줄어들며,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 균형이 회복돼 이러한 변화들은 암세포가 자라기 좋은 환경을 막아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순한 약물치료를 넘어 반드시 식이조절과 운동을 포함한 생활습관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들어 뛰어난 효과의 비만치료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비만 환자가 단순히 비만치료제에만 의존해 식이조절과 운동을 병행하지 않고 체중을 감량한 경우 영양결핍, 근육량 감소, 골밀도 감소 및 대사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비만치료제 투약을 중단했을 때 체중이 빠르게 원상복귀되고, 체중감량 이전보다 대사 상태가 더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치료제들을 사용하더라도 균형잡힌 저열량식사와 꾸준한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 및 운동을 병행해 건강한 생활을 습관화 시켜야 한다. 

즉, 효과적인 비만치료제만으로는 충분한 체중감소 효과를 거두기 어려우며, 반드시 식이조절과 운동을 포함한 생활습관을 관리해야 한다.

체중감량을 위한 식이조절 방법으로 근소실을 막기 위해 체중 1kg당 하루 1~1.5g 정도의 단백질 섭취가 권장되며, 초저열량식(여성 800kcal/일, 남성 1000kcal/일 미만의 열량섭취)는 영양결핍이 쉽게 초래되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는다. 하루 세끼니를 먹되 매 끼니마다 미량원소와 비타민, 식이섬유를 섭취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채소를 섭취하고, 힘을 내서 생활하고 운동할 수 있도록 매끼니 반공기 정도의 잡곡밥을 먹고, 근육량을 유지하기 위해 매끼니 한덩이의 단백질(계란, 생선, 닭고기 등), 약간의 지방을 먹도록 권한다. 

운동은 중강도(숨이차고 땀이 나는 정도)이상의 운동을 주 150분 이상, 근력운동을 주2회 이상하는 것을 권장한다. 개인의 운동능력, 통증정도, 선호도에 맞추어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운동을 고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운동은 기분을 환기하고 근감소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개인의 노력과 사회적 지원이 함께 맞서야하는 비만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비만 치료제 사용이 활발해 지면서 체중 조절, 다이어트 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비만은 여러 만성질환의 선행질환으로, 비만 관련 인식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통계를 제공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어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비만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건강조사, 국민건강영양조사 등을 통해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의 근거 생산을 강화하는 한편, 일선 보건소에서 근거기반 보건사업 정책수행을 할 수 있도록 만성질환 전문인력 교육(FMTP) 등을 수행하고, 지역 보건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하여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