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위장관외과 성바울 과장이 “위암 환자 치료에서 다학제 진료의 효과와 효율적 운영을 위한 환자군 선정 기준 마련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한 연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다학제 진료는 외과, 내과, 영상의학과 등 다양한 분과의 전문의와 전문가가 환자와 보호자와 함께 참여해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진료 방식이다.
여러 전문의가 한자리에 모여 환자의 상황을 다각도로 검토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 △치료방법 합의 및 변경 △치료 결정 시간 단축 △환자 생존율 향상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성바울 과장이 서울아산병원에서 2015년 12월부터 2023년 1월까지 다학제 진료를 받은 위암 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71%인 101명은 치료계획 변경 없이 기존 계획대로 치료를 진행했으며, 29%인 41명은 다학제 진료 후 치료 방향이 변경되었다고 밝혔다.
이 결과를 통해 환자의 1/3은 다학제 진료를 통해 치료계획이 변경되어 다학제 진료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치료계획에 변화가 없는 2/3 이상의 환자들 중에서 다학제 진료가 불필요했을 환자들이 포함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성 과장은 “다학제 진료는 많은 인적·물적 자원이 투입되는 만큼, 효율적 운영을 위해 환자군 선정 기준 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대한위암학회 치료 가이드라인에도 관련 언급은 있으나, 구체적인 기준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번 연구는 “외과의의 관점으로 본 위암 적정성 평가와 관련된 다학제 진료의 적절성: 후향적 코호트 연구”라는 제목으로 2025년 4월 대한외과학회지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