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은 한국화이자제약의 콜레스테롤 저하제 ‘리피토’(성분: 아토르바스타틴 칼슘)에 대해 당뇨병이 있으면서 관상동맥 심질환의 다중위험요소가 있는 환자에 있어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의 위험성을 감소 시키는데 사용하도록 적응증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망막병증, 알부민뇨, 흡연, 고혈압 등의 다중위험요소를 가진 2형 당뇨병환자가 리피토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식약청의 이번 결정은 당뇨병 환자의 콜레스테롤 관리에 대한 대규모 연구인 CARDS(Collaborative AtoRvastatin Diabetes Study) 임상 시험 결과를 기초로 했다.
CARDS 연구는 고혈압, 흡연과 같이 한 가지 이상의 위험인자를 갖고 있으면서 심장병 병력이 없고 상대적으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은 2형 당뇨병 환자 28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리피토를 복용한 환자들은 심장발작, 뇌졸중 등의 주요 심혈관계 사건 발생률이 3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약 투여군에 비해 리피토 투여군은 뇌졸중 발생 확률이 48% 낮았으며,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도 27%나 낮게 나타났다. CARDS 연구는 이러한 뛰어난 순환기계 질환에 대한 효과로 예정보다 2년 일찍 종료됐다.
가톨릭의과 대학병원 내분비내과 윤건호 교수는 “고혈압, 흡연 등 여러 위험 인자를 가진 당뇨병 환자는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의 위험이 매우 높아 적극적인 콜레스테롤 관리가 필요하다”며 “이번 국내 적응증 확대를 통해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동반한 당뇨병 환자들이 리피토 복용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화이자제약 마케팅 이동수 전무는 “리피토는 ASCOT, CARDS, REVERSAL 등 계속해서 아토르바스타틴 랜드마크 프로그램[1]을 통해 고혈압 환자의 심혈관계 위험 감소,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계 위험 감소,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서 심혈관계 혜택 등 그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 받아 왔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환자가 리피토의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최신 연구 결과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과 지원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국화이자제약과 제일약품은 전국 종합병원, 준종합병원 내분비내과 및 개원의를 대상으로 리피토 CARDS 런칭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2일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 5개 도시에서 진행되는 심포지엄은 당뇨 환자에 있어 심혈관질환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다른 스타틴과는 차별화되는 리피토의 강점과 새로운 적응증 확대에 대해 소개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리피토는 8년전 출시이후, 8만 명 이상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400개 이상의 진행 중이거나 완료된 광범위한 임상시험 프로그램들을 진행해 왔으며, 전세계 1억 인년(100 million patient years)이 치료한 경험이 있는 처방 1위 콜레스테롤 저하제로서 05년 9월 CARDS 임상 결과로 미국 FDA로부터 당뇨병 환자의 뇌졸중, 심장발작 등 심혈관 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추가 승인을 받은 바 있다.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6-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