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생동성 시험조작 파문’의 영향으로 대체조제를 둘러싸고 의약계의 심각한 갈등이 예상되고 있다.
의료계는 이번 ‘생동성 조작 파문’으로 대체조제에 강력히 반대 입장을 견지해 왔던 기본 자세에 명분을 확보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정부와 약사회는 보험재정 절감을 위해 대체조제 확대를 권고해 왔으며, 약사들도 대체조제 확대를 요구해 왔다.
그러나 이번 ‘생동성 조작 파문’으로 정부와 약사들의 ‘대체조제’ 요구가 설득력을 잃을 것으로 보여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의사협회는 이번 ‘생동성 조작파문’과 관련, “오리지널약과 카피약의 효능이 갖지 않다는 것이 증명 됐으며, 대체조제 확대 주장이 설득력을 잃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의협은 “그동안 의사들은 효능과 효과가 인정된 약을 처방해 왔으며, 약사들이 임의로 약을 대체조제 하는 것은 결코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약사회는 ‘생동성 파문’과 관련, “정부의 의약품 관리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환골탈퇴의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약사회는 26일 “이번 파문이 침소봉대 되거나 본질 왜곡으로 모든 의약품이 불신을 받는 등의 선의의 피해가 생기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이번 사태와 관련, 성분명 처방이나 대체조제의 당위성을 호도하려는 의사협회의 주장에 대해 강력히 비판했다.
약사회는 “그 약들이 의사의 처방에 의해 투약 되었으며, 무슨 근거로 그 약을 처방 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의약계는 ‘생동성 조작파문’과 관련, 사태진전을 예의 주시하면서 정부의 대체조제 정책을 둘러싸고 의사협회는 대체조제의 부당성을, 약사회는 당위성을 더욱 주장해 나갈 것으로 보여 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6-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