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에서는 정부는 물론 민간기업들도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으나 국내 기업들은 현혀 관심조차 갖지 않은채 무대책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정부 차원에서도 조류인플루엔자 피해 우려와 관련, 민간 기업들을 대상으로 대책 마련이나 홍보계획도 마련하지 못하는 등 관심이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금융기관을 포함한 국내 기업 가운데 AI 확산의 심각성을 우려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민간기업으로는 SC제일은행이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나마 외국계인 SC제일은행은 급성호흡기증후군(SARS)과 AI 등이 자주 발생했던 홍콩이 주요 거점으로 본사 차원에서 AI 대비하여 태스크포스팀을 조직하고 직원들이 조류인플루엔자에 감염 되더라도 업무가 중단되지 않도록 업무지속계획(Business Continuity Plan)을 수립해 놓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 기업 대부분들은 아직 국내에서 구체적 감염사례가 없고 방역 당국에서도 아직 조치가 없어 차원에서 대비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한은이 26일 발표한 ‘조류인플루엔자가 경제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조류인플루엔자 유행은 정도가 약하더라도 노동공급 축소, 무역·여행·관광 등의 급격한 감소 등으로 세계 경제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호주 국가전략연구소(Lowy Institute)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조류인플루엔자 유행시 한국은 단계에 따라 1만∼118만명이 사망할수 있고 국내총생산(GDP)도 0.8%~15.1%까지 감소할수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미주·유럽 지역 보다는 동아시아 지역이 AI에 취약해 자본이 아시아지역 개발도상국에서 미국이나 유럽으로 이동할 수 있어 최악의 경우 전세계 사망자가 1억4천만명에 이르는등 GDP는 12.6% 위축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보험업의 경우 AI 환자와 사망자가 급증하면 보험료 지불로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외국에서는 보험사들이 AI 비상계획 수립에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은행은 이에 따라 금융기관의 업무지속을 위해 비상계획 수립을 위한 책임관리자 임명과 위험발생 분야별로 사태진전 단계에 상응한 대처방안을 갖추고 금융기관 간 정보채널을 구축 하도록 권고했다.
보건사회연구원 한 관계자는 “민간기업들의 경우 AI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 자체가 없는것이 큰 문제이며, AI 유행시 상상을 초월하는 경제·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민간 기업에 대한 교육과 비상계획 수립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6-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