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26일 ‘COVID-19와 제약바이오산업’ 특집으로 마련한 KPBMA Brief 제20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본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한국제약바이오산업의 선택 ▲제약바이오 육성과 민·관의 역할 ▲제약바이오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 ▲산업 동향 및 이슈 ▲KPBMA 플라자 등의 큰 주제로 구성됐으며 각 주제별로는 세부적인 주제를 담아 관련 내용을 충실히 담아냈다.
코로나19 이후, 한국제약바이오산업의 선택에서는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가는 길(송시영 국가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추진위원장) △K-Pharma, Post-Covid-19 글로벌 성공전략(우정훈 BW Biomed LLC 대표) △백신 자급화를 위한 과제(이경호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바이오팀 PL) 등을 주제로 설명했다.
제약바이오 육성과 민·관의 역할은 △미국·일본의 사례와 시사점(박예지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전략팀 책임연구원) △신약개발과 정부의 효율적 투자전략(김태억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사업본부장) △현장에서 본 신약개발 성공의 열쇠(최성구 일동제약 연구소장) △건강보험과 산업육성 공존의 해법(변영식 법무법인 광장 수석전문위원) 등을 주제로 자세하게 설명해 관련 사안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제약바이오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은 △데이터3법 통과와 산업 활성화 방안(권헌영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중국 디지털헬스케어 정책의 시사점(차경민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 선임연구원) 등을 주제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ICT 관련 주요 논점에 대해 설명했다.
산업 동향 및 이슈에서는 △글로벌 경쟁력 향상의 선결과제, 윤리경영(조석제 일동제약 전무)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전망(박승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홍보조사팀 ST) △국회 입법 동향(박지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비서실장) 등을 수록해 제약바이오산업의 국내외 현안과 과제를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KPBMA 플라자에서는 제약 자국화의 기반을 지키기 위한 대정부 건의를 주제로 정부·산업계의 긴밀한 협력과 지원으로 COVID-19 국난 극복에 나서야 한다는 협회의 대정부 건의문도 수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