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 이하 연구원)은 코로나19 백신 플랫폼 중 하나로 바이러스유사체 기반 백신 후보물질 제작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본 백신 후보물질은 연구원 자체 내부과제 성과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구조단백질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Spike) 항원을 탑재한 형태의 바이러스유사체 백신 후보물질로 보고됐다.
연구원 측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허가를 취득한 적이 있고 인플루엔자 범용백신 개발 및 신·변종바이러스 대응을 위해 다양한 백신 플랫폼 개발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투자한 결과로 본 후보물질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었다”며 “민관이 협력해 합성항원(서브유닛)백신 등의 후보물질도 신속히 개발하고 있고 실험동물에서 다양한 백신후보물질의 효능도 분석·평가해 효능이 입증된 후보물질 선별 시 해당 연구의 성과를 이어받아 비임상·임상시험 등 실용화 연구도 적극지원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김성순 감염병연구센터장은 “백신 개발은 기초 개발부터 임상시험까지 오랜 기간이 소요된다”며 “향후 비임상 및 임상 수행 과정에서 국내 연구기관 및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신속한 코로나19 백신 자급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