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병원/의원

지혈제사용 난소절제술, 난소 기능 보존 탁월

수술 후 난임과 조기폐경 방지 도움 기대

난소 낭종 절제 수술에서 지혈제를 이용한 난소 지혈법이 난소 기능의 보존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호철) 산부인과 김우영 교수는 복강경 난소 낭종 절제수술을 받은 가임기 여성 129명을 대상으로 수술 중 지혈법의 차이에 따른 수술 후 난소 기능의 변화를 비교했다.

비교 결과 기존의 난소 지혈법인 양극성 전기 소작기를 사용한 여성 43명은 수술 후 약 41 %, 새롭게 시도한 난소 지혈법인 지혈제를 사용한 여성 86명은 약 16 % 난소 기능이 감소했다. 지혈제를 사용한 수술이 손상된 난소 제거 후 남아있는 난소 기능을 더 많이 살린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소작기를 이용한 지혈은 지혈이 필요한 조직과 혈관뿐 아니라 정상 난소 조직에까지 전기적 열손상을 주어 난소 기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반면에 인체조직에 흡수되는 흡착포를 이용해 지혈제를 부착하는 지혈법은 조직손상을 최소화하여 난소 기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수술 후 난소기능 평가는 혈청 항 뮐러 호르몬(Serum anti-Müllerian hormone, 이하 AMH) 검사로 실시하였다. AMH는 난소의 낭포에서만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진 호르몬으로 난소 기능 평가 중 가장 정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소 낭종을 제거하면 정상적인 낭포도 낭종에 붙어 일부 같이 제거되고 지혈하는 과정에서도 낭포가 손상을 입으면 AMH가 많이 감소하게 된다.

난소는 임신을 위한 난자의 성숙과 배란, 여성호르몬 분비와 같이 여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관이다. 이러한 난소에는 양성부터 악성까지 다양한 종양이 발생한다. 양성 낭종은 기능성 낭종, 기형종, 자궁내막종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비교적 흔하게 발생한다.

치료법은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낭종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기능성 낭종은 경과관찰이 가능하지만 기형종과 자궁내막종은 수술이 필요하다. 복강경 난소 낭종 절제수술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종양에 있어서 현재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는 수술법이다.

복강경 난소 낭종 절제수술은 복부에 1개(단일공법 복강경) 또는 3~4개(다공법 복강경)의 복강경 통로를 만들어 카메라와 복강경 기구를 사용하여 난소 낭종을 정상 난소 조직으로부터 분리 한다.
김 교수는 “난소 지혈법은 자궁내막증으로 수술하는 여성에서 난소 기능의 급격한 감소로 조기 폐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며, “젊은 여성의 경우 난소 기능의 보전으로 가임력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새로운 지혈법의 장점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유럽산부인과생식의학회지 8월호에 게재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