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헴프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관련 기관들이 헴프의 효용성을 알리는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제도의 개선을 촉구했다. 경상북도와 안동시, 김형동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이 주관했으며, 대한칸나비스연구학회, 한국의료용대마연구회, 칸나비노이드연구회, 대한약침학회, 아시아태평양 칸나비스학회가 공동주관한 ‘2023 대한민국 헴프산업 공동 학술대회’가 11월 24일, 서울성모병원 대강당에서 열렸다. 대마의 종류는 다양하며, 그중 환각을 일으키는 성분이 거의 없는 의료용 품종을 ‘헴프’라고 하고, 이는 기호용 대마인 ‘마리화나’와는 구분된다. 헴프의 주 성분인 ‘칸나비디올(CBD)’의 의료 효과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현재 경상북도 안동에는 ‘헴프규제특구’가 운영되고 있으며, 기간은 2020년 8월부터 2024년 7월까지다. 헴프를 산업화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연구 및 개발하는 34개의 기업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헴프 사용은 실험실 내부과 동물 실험 등에만 가능하며, 임상 시험 진행과 연구용으로 해외에 반출되는 것이 제한돼 있어 발전에 어려움이 있다.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최정두 센터장은 “헴프의 성분인 칸나비디올, CBD 관련 시장
많은 사람들이 대마에 대한 오해를 갖고 있다. ‘대마(大麻)’ 하면 왠지 ‘마귀 마(魔)’를 쓸 것 같고, 절대 하면 안 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대마가 현행법 상 재배 및 소지가 불가한 것은 맞지만, 사실 대마의 마는 ‘삼 마(麻)’이다. 또한 모든 대마가 심각한 환각 작용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현재 우리나라 경북 안동 헴프규제자유특구에서는 환각작용을 일으키는 성분이 적은 의료용 대마 ‘헴프’가 관리감독 하에서 재배 및 연구되고 있다. 대마의 활용법은 옷감, 건축재 등 다양하지만, 특히 대마의 성분인 CBD(칸나비디올)의 의학적 효능이 밝혀져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식약처도 지난 8월 대마 성분 의약품 제조와 수입의 허용에 관한 법 개정을 예고한 바 있다. 이처럼 전세계적으로 의료용 대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칸나비스(대마)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진행하는 대한칸나비스연구학회의 초대 회장인 서울성모병원 김세웅 교수를 만나봤다. Q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이며, 2021년 11월 서울성모병원 의생명산업연구원에서 대한칸나비스연구학회 창립학술대회를 시작으로 의료용 대마 연구
전세계적으로 연구 및 활용되고 있는 칸나비스(=대마)의 의료적 활용을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한 연구와 함께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의견이 모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지난 8월에 발표한 ‘식의약 규제혁신 100대 과제’에는 신산업 지원 분야에 ‘대마 성분 의약품 제조·수입 허용’이 포함됐다. 기존 공무·학술연구·제한적 의료목적으로만 허용됐던 대마의 의료목적 허용 범위를 확대해 국내 제조와 수입을 허용한다는 내용으로, 식약처는 이를 위한 조치사항으로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을 2024년 12월에 예고했다. 세계적으로 칸나비스에 대한 규제는 완화되는 추세이다. 2020년 UN은 WHO의 권고에 따라 칸나비스의 의학적 효과를 인정했고, 칸나비스 연구 및 상업적 이용에 대한 움직임이 각 나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칸나비스는 헴프와 마리화나를 포함한다. 이 중 환각 작용을 일으키는 THC 성분이 0.3% 이상인 품종을 마리화나, 0.3% 이하인 품종을 헴프라고 한다. 대신 헴프에는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고 향정신성 약물 특성이 없는 CBD(칸나비디올) 성분이 최대 18%까지 함유돼 있다. 미국의 경우에도 2018년 농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