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2024 제40차 정기학술대회가 성료했다. 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는 부산 BEXCO 컨벤션홀에서 제40차 정기학술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1월 8일 밝혔다. 11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및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와 공동 주관하고, 안전보건공단 및 부산관광공사에서 후원했으며, 학계, 정부, 산업계 관계자 등 6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혁신적 독성과학: 더 건강한 사회를 위한 한계극복’의 주제로 국내외 저명학자들을 초청하여 독성학 분야의 학술 교류와 발전을 모색했다. 특히 동국대학교 김상건 교수를 비롯해 ▲대만독성학회 회장이자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의 Ying-Jan Wang 교수 ▲네덜란드 Utrecht University의 Hans Clevers 교수 ▲일본 Tohoku Medical and Pharmaceutical University 황기욱 교수 등 세계적인 석학들의 기조강연은 큰 관심과 호응을 받았다. 또한, 화학물질의 안전성·독성뿐만이 아니라 백신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한국독성학회가 미국독성학회와 학술국제교류를 강화한다. 한국독성학회는 지난 12일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솔트 팰리스 컨벤션센터에서 미국독성학회와 이 같은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최고의 독성 관련 학술단체로서 각 나라를 대표하는 양 기관은 학회 간 유대를 강화하고 독성학의 세계적인 발전을 위해 연례 학술행사의 상호 참여, 공동 심포지엄 구성 및 연자 초청, 독성학 발전을 위한 국제협력 등을 합의했다. 이로써 양 학회는 전문성을 상호 강화하고 연구자 교류 등의 역량을 제고해 지속적인 학술교류 활성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최경철 회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 독성학의 국제적인 권위와 위상을 크게 높이는 계기를 만들었다”며 “양 국가 간 독성연구자들의 소통과 협업을 촉진시키고, 국내 독성학 발전을 적극적으로 선도해 사회안전망 구축에 기여하고 국민보건 향상을 위해 보다 더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사)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회장 천영진)는 ‘Chemical and Human Health (화학물질과 건강)’의 주제로 2022년 제38차 정기학술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11월 7~9일까지 개최한 이번 학술대회는 국내외 최고의 연자들의 강연과 함께 다채로운 국제 학술행사가 진행됐다. 기조 강연자인 서울대학교 서영준 교수와 예일대학교 Yasuko Iwakiri 교수의 강연을 비롯해 총 6개 분야의 세션 및 특별 강연 등으로 구성됐다. 한국독성학회 운봉 독성학 학술대상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임경민 교수가 수상, 이와 관련된 특별강연이 이어졌다. 그 외에도 학술상 및 우수포스터상 시상, 독성전문가 인증식 등 다채로운 학술행사와 교류의 자리가 진행됐다. 이번 학술대회의 6개 세션은 각각 ▲ 질병에 대한 염증 미세환경 영향, ▲ 염모성분에 대한 안전성 및 위해성, ▲ 살생물제 안전성, ▲ 표적 장기 독성, ▲ 화장품 성분의 피부 독성 및 ▲ 젊은 독성학자 포럼 등으로 구성해 화학물질의 인체 안전성 및 건강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반영했으며, 특별 강연으로 국가신약개발재단 사업 소개 및 연구 특허 활용 가이드라인 소개를 통
(사)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회장 천영진)는 2022년 제38차 정기학술대회를 역사와 문화의 도시 경주에서 COVID-19 판데믹 이후 3년 만에 전면적인 오프라인 학술대회로 개최한다. 금번 추계 학술대회는 11월 7일(월)~9일(수) 기간 동안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Chemical and Human Health(화학물질과 건강)’을 주제로, 국내외 최고의 연자들의 강연으로 다채로운 국제 학술행사가 마련돼 있다. 학술대회는 기조 강연자인 서울대학교 서영준 교수와 예일대학교 Yasuko Iwakiri 교수를 비롯해 총 6개 분야의 세션 및 운봉 학술대상 수상 기념 강연, 특별 강연, 포스터 발표 등으로 구성됐다. 또한 학술상 및 우수포스터상 시상, 독성전문가 인증식 등 다채로운 학술행사와 교류의 자리가 진행될 예정이다. 본 학술대회의 각 세션에서는 질병에 대한 염증 미세환경 영향, 염모성분에 대한 안전성 및 위해성, 살생물제 안전성, 타겟 장기 독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 독성 및 젊은 독성학자 포럼 등으로 구성해 화학물질의 인체 안전성 및 건강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반영했으며, 국가신약개발재단 사업 소개 및 연구 특허 활용 가이드라인 소개를
(사)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회장 천영진) 2022년 춘계 학술대회는 독성 연구의 세계적인 발전 방향을 살펴보면서 한국 독성 연구의 위상을 점검하는 기회로 삼아 “첨단바이오의약품과 살생물제의 안전성 평가와 최신 이슈”의 워크샵 주제와 “바이오의약품 안전성 연구의 최신 동향(Current Issues in Biotherapeutics)”의 심포지움 주제를 연계하여 개최한다. 최근 바이오 분야의 급속한 발전을 통하여 백신, 항체치료제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의약품 및 유전자 치료제, 세포 치료제, 조직공학 제제 등이 포함되는 첨단바이오의약품들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는 임상연구를 통해 신약으로 승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난치성 질환에 대해서도 새로운 유형의 치료 방법들이 나타나 질병 극복을 위한 새로운 희망들이 싹을 피우고 있다. 하지만 이들 바이오의약품들에 대한 안전성 및 부작용 평가는 관련 바이오마커 부재 등의 원인으로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안전성·위해성에 대한 우려가 상존하고 있다. 올해 춘계 학술대회에서는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에 관한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안전성·위해성 관련 이슈를 워크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