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를 비롯해, 치매, 당뇨병성 황반부종, 대장내시경 등 다양한 적응증들의 약제들이 2025년 첫 달 특허 등재에 성공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나라를 통해 지난 1월 특허등재 현황을 확인한 결과 한 달 동안 10건의 특허 등재가 이뤄졌다. 가장 먼저 특허가 만료되는 제품은 사이넥스의 피부 T세포 림프종 치료제인 ‘레다가겔(성분명 클로르메틴)’로, 지난 21일 특허 등재돼 오는 2026년 3월 14일 특허존속기간이 만료된다. 레다가겔은 겔타입으로 국소도포해 사용되며, Study 201 임상시험을 통해 유효성을 입증했다. 전반적인 CAILS 반응은 59.7%(대조군 48%)이었고, 완전반응은 14.3%(대조군 11.4%), 부분반응은 45.4%(대조군 36.6%)였다. 또 전반적인 SWAT 반응은 49.6%(대조군 46.3%), 완전반응 6.7%(대조군 3.3%), 부분반응 42.9%(대조군 43.1%)로 나타나며 모든 수치에서 대조군 대비 우월하게 나타났다. 제일약품의 ‘론서프정15, 20(성분명 트리플루리딘, 티피라실)’도 특허 등재됐으며 모두 2034년 9월 5일 만료 예정됐다. 론서프정은 전이성 결장 직장암, 전이성 위암, 위식도 접합부 선암 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 안전나라에 의하면 지난 26일을 기준으로 이번 12월 27건의 특허등재가 이뤄진 것이 확인됐다. 가장 먼저 특허 존속일을 앞둔 제품 중 한국릴리의 원형탈모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올루미언트정(성분명 바리시티닙)’ 1mg 제품은 3건의 특허 등재를 이뤄내 이 중 두 건은 2031년 11월 2일에, 나머지 한 건은 2032년 7월 22일에 만료를 앞두고 있다. 다음으로는 한국유씨비 제약의 건선치료제 ‘빔젤릭스오토인젝터주(성분명 비메키주맙)’가 특허만료일이 빨리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일 특허등재된 빔젤릭스오토인젝터주는 오는 2032년 1월 11일 특허가 만료된다. 한국노바티스의 야간혈색소뇨증 치료제 ‘파발타캡슐’ 200mg도 이 달에 특허 등재에 성공, 2034년 7월 14일에 특허가 만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화이자제약의 원형탈모증치료제 ‘리트풀로캡슐50mg(성분명 리틀레시티닙)’도 두 건의 특허등재에 성공한 가운데, 2034년 11월 20일과 2039년 10월 21일에 특허가 만료될 예정이다. GSK의 골수섬유종 치료제 ‘옴짜라정’은 100mg 2건, 150mg 2건, 200mg 2건으로 총 6건의 특허등재에 성공
의약품안전나라에 따르면 2024년 11월에만30건의 특허등재가 이뤄졌다. 특히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에서 가장 다양한 제품에 대한 특허를 획득했으며, 특허건수는 한국릴리가 가장 많았다. 적응증별로 보면 건선, 아토피 등 피부질환을 비롯해 골관절염 치료제, 피임약, 비만∙당뇨약은물론, 급성골수성백혈병·담관암, 외투세포림프종과 같은 희귀의약품 치료제들도 있었다. 또 폐렴구균, 수막구균 등에 대한 백신도 있었다. 가장 빨리 특허가 만료되는 제품은 한국노바티스의 IL-17 억제제‘코센틱스(성분명 세쿠키누맙)’으로 2건의 특허 현황이 확인됐다.코센틱스는 2035년 12월에 만료되는 특허도있었지만 2028년 2월 27일에만료되는 특허가 포함돼있어 11월 특허등재 제품 중 가장 특허가 빠르게 만료될 전망이다. SK케미칼의 골관절염 치료제 ‘조인스에프정300mg’도 2건의 특허를 획득해 각각 2030년 7월 14일과2034년 4월 11일에특허가 만료된다. 현대약품은 에스트로겐 없는 피임약으로 내세우고 있는 ‘슬린다4mg(성분명 드로스피레논)’에 대한 특허를 등재시켰는데 3건의 특허 모두 2031년 6월28일까지 특허가 존속될 예정이다. 소아 간내 담즙 정체증 소양
항암제를 비롯해 편두통 예방약, 아토피 치료제 등 다양한 약물에 대한 특허가 등재됐다. 식약처 의약품 안전나라에 따르면 2024년 9월, 총 16건의 의약품 특허등재가 이뤄졌다. 한국다케다제약은 난소암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제줄라정10mg(성분명 니라파립)’에 대한 특허를 3건 획득해 각각 2028년 6월 22일, 2029년 6월 23일, 2037년 6월 29일에 만료될 예정이다. 특히 제줄라는 이 달부터 급여 확대가 결정돼 더 많은 환자들에게 혜택을 부여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환자들의 연간 부담금은 4000만원을 상회했으나 200만원대로 부담액이 확 줄어들게 됐다. 제줄라는 기존에 유전자 검사에서 난소암 관련 BRCA 변이 양성인 경우에 급여를 적용받았다. 그러나 이번 급여 확대를 통해 유전자 검사에서 난소암 관련 유전체 불안전성인 경우가 추가돼 1차 백금기반요법에 반응한 특정 유전자 변이가 있는 진행성 상피성 난소암, 난관암, 일차 복막암 유지요법’에서 급여가 가능하도록 사용범위가 확대됐다. 애브비는 편두통 예방을 위한 경구약 ‘아큅타(성분명 아토제판트)’에 대해 특허를 등재시켰다. 10mg 용량에 대해 2건, 60mg 용량에 대해 2건을 특허등재시켰
2024년 8월 총 4개 제품이 11건의 특허등재에 성공했다.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에 따르면 올 8월, 백혈병 및 담관암, 전립선암, C형간염 치료제, RSV 예방주사 등 다양한 약품들이 특허를 등재시켰다. 한국세르비에는 급성골수성백혈병 및 담관암 치료제 ‘팁소보정(성분명 이보시데닙)’에 대한 허가를 4건 획득했으며, 이 중에서 2건은 2033년 1월 21일, 나머지 두 건은 2035년 3월 13일에 특허 존속기간이 만료된다. 팁소보정은 변이된 IDH1 효소를 억제해 대사물질(2-HG)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종양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 팁소보정은 IDH1 변이 양성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새롭게 진단받은 △만 75세 이상 또는 △집중유도 화학요법이 적합하지 않은 동반 질환이 있는 성인 환자에게 아자시티딘과 병용해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이전 치료 경험이 있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관암 성인 환자에게 단독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국노바티스 전립선암 치료제 ‘플루빅토주(성분명 루테튬(177Lu) 비피보타이드테트라세탄액’에 대한 특허를 5건 등재시킨 가운데 2건은 2033년 11월 14일, 3건은 2034년 10월 17일 특허
6개 제품, 12개 품목의 의약품이 지난 2024년 6월 특허 등재에 성공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공하는 의약품안전나라를 통해 지난 달의 특허 등재 현황이 확인됐다. 이들 중 가장 먼저 특허가 만료되는 제품은 노보노디스크제약의 주1회투여 성장호르몬제 ‘소그로야프리펠드펜(소마파시탄)’으로 2031년 1월 24일 특허가 만료될 예정이다. 특허 대상에 오른 용량은 5mg/1.5mL, 10mg/1.5mL, 15mg/1.5mL이었으며 발명 이름은 ‘장기적 생체 내 효능을 갖는 성장 호르몬’이었다. 이어 한국MSD의 HIV 치료 복합제 ‘델스트리고정(성분명 라미부딘, 테로포비르, 도라비린)’이 특허를 등재시켜 2034년 11월 19일까지 특허가 존속될 전망이다. 특허 발명 이름은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 효소 억제제의 조성물’로, 조성물과 제조공정을 아우르는 내용이 담겨있다. 바이엘코리아의 고형암치료제 ‘비트락비’는 캡슐 25mg, 100mg과 액 제형에 대해 특허를 획득해 2035년 11월 16일까지 특허가 보장된다. 이번 특허의 발명 명칭은 ‘(S)-N-(5-((R)-2-(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1-일)-피라졸로[1,5-A]피리미딘-3-일)-3-히드록시피
2024년 4월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위장약, 당뇨약, 조현병 치료제 등 다양한 적응증의 제품들이 특허 등재에 성공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 안전나라에 따르면 2024년 4월 총 16건의 특허 등재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먼저 특허가 만료되는 제품은 한국릴리의 궤양성대장염 치료제 ‘옴보(성분명 미리키주맙)’으로 총 6건의 특허를 등재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옴보프리필드펜주100mg/mL, 옴보프리필드시린지주100mg/mL, 옴보주 20mg/mL가 각각 2건씩 특허를 등재시킨 가운데, 한 특허는 2034년 3월 4일에, 다른 한 특허는 2039년 3월 28일 특허가 만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한국로슈의 PD-L1 면역항암제 ‘티쎈트릭주(성분명 아테졸리주맙)’의 특허 만료기간이 빠른 것으로 확인됐다. 티쎈트릭주는 2034년 12월 17일 특허가 만료된다. 이어 한국로슈의 또다른 제품으로 암종불문 항암제 ‘로즐리트렉캡슐(성분명 엔트렉티닙)’이 100mg와 200mg를 특허 등재시키며 두 제품 모두 2035년 2월 19일에 특허 존속기간이 만료될 예정이다. 한국얀센은 조현병 치료제인 ‘인베가트린자주사(성분명 팔리페리돈팔미테이
폐동맥 고혈압, 전립선암, 림프종, 다발혈관염, 황반변성 등 다양한 적응증의 치료제들과 폐렴구균백신이 지난 달 특허를 등재시켰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안전나라를 통해 2024년 1월 17건의 의약품 특허 등재 현황이 확인됐다. 1월 특허 등재 의약품 중 가장 먼저 특허존속기간이 만료되는 제품은 한국얀센의 폐동맥고혈압 치료제인 ‘업트라비정600㎍(성분명 셀레시팍)’으로 2026년 6월 4일에 만료되는 특허 1건, 2029년 8월 12일 만료되는 특허 2건으로 2건의 특허가 등재됐다. 이어 한국얀센의 전립선암 치료제 ‘아키가정(성분명 아비라테론아세테이트, 니라파립토실산염일수화물)’은 50/500mg, 100/500mg 두 개의 용량이 각각 두 건의 특허를 획득했다. 가장 먼저 만료되는 특허는 2028년 6월 22일에, 그 다음으로 만료되는 특허는 2029년 6월 23일에 특허가 만료된다. 한국MSD의 단백접합 폐렴구균 백신 ‘박스뉴반스’는 2031년 2월 3일까지 특허가 존속될 예정이다. 박스뉴반스의 이번 특허 등재 이름은 ‘15가 폐렴구균성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 백신 조성물’이다. 이어 한국로슈의 림프종 치료제인 ‘룬수미오주(성분명 모수네투주맙)’는
산성 스핑고미엘린 분해효소 결핍증, 다발성골수종, 혈우병, 비소세포폐암, 인플루엔자, 골관절염 등 다양한 적응증의 치료제가 지난 10월 특허를 획득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나라를 통해 2023년 10월 총 8개의 의약품 특허 등재가 이뤄진 것이 확인됐다. 이번에 허가된 제품들은 총 6개 품목 8개 제품으로, 제약사는 다국적 제약사가 많았다. 가장 먼저 특허가 만료되는 제품은 사노피-아벤티스의 산성 스핑고미엘린 분해효소 결핍증 치료제인 ‘젠포자임주(성분명 올리푸다제알파)’다. 지난 7월 국내 허가된 젠포자임은 10월 20일 특허 등재된 젠포자임은 오는 2030년 8월 28일까지 특허를 보장받는다. 젠포자임의 적응증인 산성 스핑고미엘린 분해효소 결핍증은, 지방물질 분해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는 유전 대사질환이다. 해당 물질인 스핑고미에린이 혈관, 림프샘 등에 축적될 경우 소화기관이 비정상적으로 커지고 호흡계인 폐 기능이 떨어지며 기억 지능 장애 등 각종 신경장애를 일으켜 사망할 수도 있다. ASCEND∙ASCEND-Peds 연구에 따르면, 치료 52주차 예측 폐 일산화탄소 확산능 검사 수치가, 젠포자임군은 22%, 위약군은 3%의 개선율을
마운자로가 지난 9월 특허 등재 의약품들 중 과반 이상의 특허 등재 건수를 차지하며 ‘철벽 방어’에 나섰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안전나라에서 2023년 9월 총 20건의 의약품 특허 등재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7개 제품이 특허 등재를 이뤘으며 이 중 마운자로가 12건으로 가장 특허 등재 건수가 많았다. 가장 첫 번째로 특허 등재 기간이 만료되는 제품은 최근 한국얀센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리브리반트주(성분명 아미반타맙)’였다. 지난 5월 총 2건의 특허 등재를 이뤘으며 존속기간 만료일자는 각각 2031년 3월 10일, 2033년 11월 21일이었다. 두 번째로는 지난 4일 특허 등재한 퍼제타+허셉틴 격인 한국로슈의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제 ‘페스코피하주사’가 600/600mg, 1200/600mg 용량에 대해 허가를 받아 2032년 10월 11일에 특허 존속기간이 만료될 전망이다. 한국로슈가 특허를 등재시켰던 또다른 제품인 HER 항체치료제 ‘퍼제타주(성분명 퍼투주맙)’ 역시 2032년 10월 11일 특허에 오를 예정이다. 코오롱제약의 손발톱 무좀 치료제 ‘넬클리어외용액(성분명 테르비나핀염산염)’은 지난 22일 특허를 등재해 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