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이 대규모 재난 등 발생 시 이동형 병원의 신속한 출동과 원활한 현장 운영 훈련을 펼친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는 6월 10~13일 4일간 ‘2024년 이동형 병원 설치 및 운영 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동형 병원’은 각종 재난에 대비해 대규모 또는 장기 의료지원이 필요한 재난 현장에 설치하는 의료소를 말한다. 응급실·수술실·중환자실 등을 포함해 기본 50병상(최대 100병상)으로 구축 가능하며, 재난 상황 및 규모에 따라 맞춤형 운영이 가능하다. 이번 훈련은 중앙 DMAT 대상으로 이동형 병원(Level Ⅲ) 시설의 설치·철수를 비롯해 물류 운영 전 과정에서의 능력 향상을 목표로 이뤄진다. 교육생·운영인력 등 약 113명이 참가하는 이번 훈련은 ▲Level Ⅰ 출동 및 설치 훈련 ▲Level Ⅲ 설치 및 운영 훈련 ▲국내 재난의료체계 및 이동형 병원 개괄 등 이론교육 ▲텐트 설치 및 철수, 물품배치 등 현장실습으로 운영되고, 훈련 종료 후 이동형 병원 시설·물품·정보시스템 등에 대한 점검도 진행한다. 또, 금번 훈련 기간 중 카메룬 보건부와 일본 재난의료대응 부서(JDMAT Secretariat) 등에서 약 22명이 이동형 병원
지난 10월 29일 이태원에서 159명이 압사에 의해 사망하고 수많은 부상자들이 발생하는 재난이 발생했다. 특히, 사고 당시 수습하는 과정에서 가까운 병원으로 환자들이 몰리는 혼란이 발생한 것에 대한 지적을 비롯해 여러 지적·비판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재난 시 의료서비스를 제때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인병대한재난의학회이사장(명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과 만나 이태원 사고 당시 재난의료체계가 제대로 작동했으며, 개선이 필요한 것은 없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Q. 코로나19와 이태원 참사 등으로 재난 대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재난 대응 수준은 어떠한가요? A. 먼저 재난에 대한 완벽한 시스템은 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 경우를 보더라도 1990년대 삼풍백화점 사고와 성수대교 붕괴를 계기로 재난의료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뤄지게 됐고, 관련 제도 정비가 시작됐습니다. 응급의료체계 이야기도 그때 생겼고, 응급의학과 전문의와 응급구조사 제도가 만들어졌으며, 보건복지부 내에 응급의료과가 신설됐습니다. 또 중앙응급의료센터가 만들어졌으며, ▲대구 지하철 사고 ▲세월호 사고 ▲마우나 리조트
2월 8일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제4차 응급의료기본계획 공청회가 개최됐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지역완결적 응급의료체계 구축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에서 제도·체계 등을 개선하겠다는 정부의 의지와 함께 어떻게 우리나라의 응급의료체계 개편 및 응급의료 인프라를 확충할 것인지를 담은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이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해 공개됐다. 특히, 이태원 사고 대응과 관련해 의료현장에서 제언된 개선점 등이 반영된 재난응급의료 대응체계 개선 방향 등도 제시된 가운데, 이번에 공개된 ‘응급의료 기본계획’에 담긴 재난의료 개선책이 실효성이 있을 것인지, 부족한 점은 없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김인병 대한재난의학회 이사장(명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과 이야기를 나눠봤다. Q.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이 발표됐습니다. 재난의료와 관련된 계획으로는 무엇이 있으며, 부족하거나 아쉬운 점, 우려스러운 점 등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A. 이번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에는 전문 분야별 대응 방향으로 재난대응 분야가 포함됐습니다. 재난 의료에 대한 현장 대응 매뉴얼이 올해 상반기 다시 개정 작업에 들어가며, 소프트웨어 연결이 미비한 점에 대한 보완이
최근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돌아보며,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재난의료에 대해 논의하는 장이 열렸다. 대한병원협회 국제학술대회 korean healthcare congress 2022(KHC 2022)에서 ‘10.29 참사를 계기로 한 재난의료의 과제와 대책’을 다룬 포럼 세션이 열렸다. 동군산병원 이성규 이사장이 좌장을 맡고, 국내에서 유일하게 다중밀집상태에 대한 논문을 작성했던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왕순주 센터장(대한재난의학회 전임회장)이 발제를 했다. 패널로는 김인병 대한재난의학회 이사장,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이형민 교수, 참사 당시 가장 많은 환자를 치료했던 병원인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조영신 과장이 참여했다. 발제를 맡은 왕순주 센터장은 “오늘로 10.29 이태원 참사 발생 한 달이 됐다”며, “다른 재난보다 이태원 참사의 원인에 해당하는 다중밀집상태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야기하겠다”고 말문을 열었다. 왕순주 센터장은 먼저 ▲대규모 압사는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도 발생한다. ▲군중 압박 사고는 예방하기 힘들다. ▲군중 압박 사고는 신속한 대응으로 가장 피해를 줄이기 어려운 재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