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헬스를 반도체 산업에 이은 차기 주력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11만 핵심 인재 양성 등 인적 기반 확충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6일 제20회 국정 현안 관계 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월 발표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의 후속조치로서, ‘디지털·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도약 기반인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전략을 구체화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산업현장에 기반한 학교 교육 제공, ◆산업현장 기반 학교 교육 2023년 바이오헬스 마이스터대 2개교 6개 학과 도입 및 특성화고·마이스터고와 공공·민간 실습시설 연계 등을 통해 실습 교육을 확대하고, 디지털 치료기기 등 융복합 기술 발전에 대응하여 혁신융합대학 등 융복합 교육도 제공한다. 또한, 정부는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바이오헬스 중소기업 계약학과를 8개로 늘리고, 산업단지 내 바이오헬스 학과를 조성하는 산학융합지구를 2024년 충북지구와 강원지구로 확대하는 등 학교 교육의 산업현장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현장 수요 맞춤형 생산·규제과학 전문인재 양성 바이오헬스 산업현장에 즉시 투입이 가능한 생산·규제과학 인재를
정부가 바이오의약품 수요급증에 대응해 생산 전문인력 확충과 연구개발 및 규제과학 분야 융복합 인재 양성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24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제약산업 육성·지원 위원회를 개최하고, 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을 위한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월 28일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발표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의 후속 조치로서,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6대 강국을 달성하기 위한 4대 지원전략과 10대 중점 추진과제를 담았다. 이중 인재 양성 부문과 관련해 살펴보면, 우선 정부는 K-NIBRT(인천 송도), K-BIO 트레이닝센터(충북 오송), 제약산업 미래인력양성센터(전북 정읍), 백신 GMP 전문실습시설(전남 화순) 등 합성·바이오의약품 생산인력 양성센터를 구축하고 5년간(’23~’27년) 1만6000명의 제약바이오 생산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글로벌 수준의 임상시험 전문인력과 백신 등 의약품 규제과학 전문가를 5년간(’23~’27년) 1만3000명을 양성할 계획으로, 규제과학 분야에서는 대학원 교육과정을 통해 규제 이해도와 안전성·유효성 등 평가 역
향후 지역의료 및 공공보건의료 현장에서 활동할 미래 공공보건의료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이 실시됐다.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는 총 2차에 걸친 ‘미래 공공보건의료인력 양성을 위한 진로설계 캠프’를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캠프는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 중 각 1개교를 선정하여, 체험형 교육 방식으로 진행됐다. 1차 교육은 지난 7월 21~22일 양일간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 22명을 대상으로, 2차 교육은 8월 11~12일 양일간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재학생 6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나라 공공의료의 체계와 중요성 ▲응급·외상, 감염 분야 필수의료 탐색 ▲영역별 전문가와의 대화(공공의료, 공공보건, 국제보건) 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번 캠프와 관련해 한 교육생은 “졸업생 선배에게 듣는 직무이야기와 영역별 전문가와의 대화가 특히나 많은 도움이 됐다”라고 소회를 밝히는 등 참여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았다.국립중앙의료원 주영수 원장은 “예비 의료인력을 대상으로 지역의료와 공공의료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대학생 진로설계 캠프는 매우 의미있다”라며 “국립중앙의료원은 향후 공공보건의료 현장에서 활동할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