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주요 의약품의 원외처방액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가운데 남은 하반기에는 상위 3개 제품들의 순위 경쟁이 주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상위 50위를 달성한 제품들은 원외처방액이 총 2조 1701억원 규모로 2024년 상반기 2조 10억원 대비 8.4% 증가한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반기인 2024년 하반기에 비해서는 2조 1705억원에서 약 0.2% 줄어든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상위 5개 제품은 1위자리를 놓고 본격적인 쟁탈전이 예고됐다.2, 3위 제품들이 맹추격하며 금년 내 새로운 순위 재편이 기대되는 것이다. 한미약품의 로수젯은 2025년 상반기 1102억원을 기록하면서 2024년 상반기 1000억원 대비 10.2%가 증가했다. 2, 3위 제품들의 세부 실적을 살펴보면 2위 제품인HK이노엔의 ‘케이캡’은 2024년 상반기 918억원에서2025년 상반기 1046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14% 증가했다. 특히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도 2024년 상반기 602억원에서2025년 상반기 902억원으로 49.8% 증가하며맹추격을 하고 있다. 반면 비아트리스의 ‘리피토’는 2024년 상반기 93
올해 상반기 국내 주요 제약사들의 원외처방 매출이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기록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상위 50개 제약사의 총 매출은 7조 1584억원으로, 전년 동기인 2024년 상반기 6조 7621억원 대비 5.9% 증가했다. 달성률은 2024년 총 원외처방인 14조 138억원의 51.1%로 집계됐다. 전체 267개 제약사 기준으로는 상반기 원외처방 매출이 10조 407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9조 8668억원 대비 5.5% 성장했다. 달성률은 2024년 원외처방 20조 3882억원으로 51.0%로 나타났다. 먼저 상위 5개사를 살펴보면 한미약품은 올 상반기 원외처방액이 5004억 4200만원으로 2024년 상반기 4813억 대비 4.0% 증가하며 1위를 유지했다. 이어 종근당은 2025년 상반기 3743억원으로 전년 동기 3616억원보다 3.5% 늘어나며 2위를 차지했다. 대웅제약은 상반기 원외처방액이 3068억원으로 전년 동기 2978억원 대비 3.0% 증가해 3위를 기록했다. 4위에 오른 유한양행은 2025년 상반기 2846억원으로 전년도 상반기 2627억원 대비 8.3%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HK이노엔
2025년 1분기 주요 표적항암제의 원외처방액이 지난 해 4분기보다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주요 표적항암제 시장에서 타그리소와 렉라자의 점유율만 40%를 넘기면서 600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주요 표적항암제의 원외처방액은 1444억원을 달성했으나 이번 2025년 1분기 1439억원으로 0.3% 줄어들었다. 백혈병, 유방암, 난소암, 간암 등 여러 적응증에서 모두 감소세를 보였지만 폐암 치료제 중 EGFR을 표적하는 폐암 치료제들만큼은 원외처방액이 증가한 모습이었다. EGFR 표적 폐암치료제들은 2024년 4분기 627억원에서 2025년 1분기 665억원으로 6.1% 증가했다. 여기에는 주력 제품들의 영향이 컸다.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가 400억원에서 429억원으로 7.2%, 유한양행의 ‘렉라자’가 153억원에서 176억원으로 15% 확대된 것. 반면 베링거인겔하임의 ‘지오트립’이 35억원에서 30억원으로 13.6%, 아스트라제네카의 ‘이레사’가 27억원에서 21억원으로 23.6%, 로슈의 ‘타쎄바’가 9억원대에서 7억원대로 21.1% 줄어들었다. ALK 표적 치료제들은
테노포비르·엔테카비르·아데포비르 등 B형간염 주요 치료제들이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유비스트에 따르면 주요 B형간염 치료제들의 원외처방은 2024년 4분기 7790억원에서 2025년 1분기 718억원으로 9.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테노포비르 성분의 치료제들은 2024년 4분기 34억원에서 2025년 1분기 449억원으로 8.4% 줄어들었다. 주요 제품 중 길리어드의 ‘비리어드’가 240억원에서 218억원으로 9.1%, ‘베믈리디’가 191억원에서 177억원으로 7.3% 감소했으며, 삼일제약의 ‘베믈리노’가 7억원대에서 8억원대로 5.7% 증가했다. 종근당의 ‘테노포벨’이 8억원대에서 7억원대로 15.5%, 동아에스티의 ‘베믈리아’가 6억원대에서 5억원대로 13.8% 줄어들었으며 기타 테노포비르 성분의 치료제들은 34억원에서 31억원으로 9.5% 감소했다. 엔테카비르 성분 치료제들은 2024년 4분기 273억원에서 2025년 1분기 28억원으로 14.3% 하락했다. 엔테카비르 성분 치료제들 중 69.3%로 가장 점유율이 높은 BMS의 ‘바라크루다’는 190억원에서 171억원으로 10.1% 감소했고, 동아에스티의 ‘바라클’은 24억원에서 21억원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주요 C형간염 치료제들의 원외처방이 2024년 4분기 46억원에서 2025년 1분기 45억원으로 2% 줄어들며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애브비의 마비렛만큼은 지난 4분기 대비 원외처방액이 확대된 모습이다. 길리어드가 담당하는 제품은 2024년 4분기 25억원대에서 2025년 1분기 23억원대로 8% 감소했다. 이 중 ‘엡클루사’의 원외처방이 2024년 4분기 24억원에서 2025년 1분기 22억원으로 7.4% 감소하면서, 점유율도 49.5%로 줄어들었다. 보세비의 경우 2024년 4분기 9700만원을 기록했지만 2025년 1분기에는 7500만원대로 22.75% 하락했다. 길리어드의 제품 중 ‘하보니(ledipasvir, sofosbuvir)’는 지난 해를 끝으로 자취를 감췄다. 하보니의 마지막 해 원외처방은 2억 6100원이었다. 애브비의 ‘마비렛’은 2024년 4분기 21억원대로 주요 C형간염 치료제 시장에서 45.5%를 차지했다. 그러나 올해 1분기에는 22억원대로 원외처방이 5.2% 증가해 48.9%의 점유율을 보였다. 한편 정부의 C형간염 국가검진 포함 정책에 각 지자체 등에서도 C형간염 검사를 독려하는 모습
2025년 1분기 주요항응고제 시장이 6.2% 감소한 가운데, 리바록사반 성분치료제 시장은 오리지날 제품과 제네릭 제품들이 규모가 거의 비슷해지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주요 항응고제 치료제의 원외처방은 2024년 4분기 574억원에서 538억원으로 6.2% 감소했다. 주요제품 모두에서 원외처방액 감소가 확인됐지만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만큼은 점유율이 소폭 확대됐다. 릭시아나는 2024년 4분기 317억원에서 2025년 1분기 302억원으로 4.6% 감소했다. 점유율은55.3%에서 56.2% 늘었다. BMS의 ‘엘리퀴스’는 2024년 4분기 149억원에서 2025년 135억원으로 9.8% 줄어들면서 점유율은 25.1%로 나타났다. 특히 바이엘의 ‘자렐토’는 2024년 4분기 82억원에서 2025년 1분기 76억원으로 6.6% 줄어들었다. 리바록사반 제네릭 역시 규모가 줄어들기는 했으나, 오리지날과 거의비슷한 규모로 성장한 모습을 보인다. 제네릭 제품은 총 30개가확인됐는데, 2024년 4분기 74억원에서 2025년 1분기 69억원으로 6.5% 감소했다. 대표적인 제네릭 제품들을 보면 같은
2025년 1분기 주요 SGLT-2 억제제들의 원외처방이 지난 해 4분기와 비슷한 규모를 유지하는 가운데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 분석 결과 주요 SGLT-2 억제제들의 원외처방 합계는 2024년 4분기 425억원대에서 이번 2025년 1분기 428억원으로 0.7% 증가했다. 이 중 엠파글리플로진 성분을 다루고 있는 베링거인겔하임은 작년 4분기 328억원에서 이번 1분기 333억원으로 1.7% 증가하면서 SGLT-2 억제제 시장에서 78%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단일제인 ‘자디앙’이 2024년 4분기 182억원에서 2025년 1분기 189억원으로 4.1% 증가하며 44.3%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다만 복합제 중 ‘자디앙듀오’가 110억원에서 108억원으로 1.7% 감소했고, ‘에스글리토’ 역시 35억원대를 보이기는 했으나 0.2% 줄어들었다. 다파글리플로진 성분을 다루는 아스트라제네카는 SGLT-2 억제제 제품들의 규모가 2024년 4분기 95억원에서 2025년 1분기 93억원으로 2.2 줄어들었다. 다파글리플로진 단일제인 포시가가 떠나고 여러 복합제들이 빈 자리를 채우고 있는 가운데, 가장 원외처방액이 높
1분기부터 주요 제품들이 원외처방 누계가 1조원을 돌파하며 순항을 하고 있다. 특히 상위권 의약품에서 지각변동이일어났다. 케이캡이 로수젯을 맹추격하고 있는 가운데, 리피토는 3위를 차지하며 케이캡에 순위를 내준 것. 또 타그리소가 크게 성장하며 4위로 안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를 통해 2025년 1분기 상위 50위 이내의 제품들의 원외처방 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합계는 2024년 1분기 9981억원에서 2025년 1분기 1조 732억원으로 7.5% 증가했다. 상위 5개 제품을 살펴보면 한미약품의 ‘로수젯’은 2024년 1분기 488억원에서 2025년 1분기 52억원으로 11% 증가했고, HK이노엔의 ‘케이캡’은452억원에서 514억원으로 13.7% 증가했다. 비아트리스의 ‘리피토’는 2024년 1분기 469억원에서 2025년 1분기 447억원으로 4.5% 감소한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는 2024년 1분기 279억원에서 2025년 1분기 429억원으로 53.7% 확대됐다. 또 대웅바이오의 ‘글리아타민’이 381억원에서 422억원으로10.9% 증가했다. 타그리소가 순위권에 진입한 만큼, 또 다른 비소세포폐암 치
주요 제약사 5곳 중 4곳의원외처방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상위 50개사의 원외처방은3억 5535억원 규모로 2024년 1분기 3억 3590억원대비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원외처방 대비달성률도 25.4%로 순조롭게 출발한 모습이다. 올 1분기 원외처방액이 확인된266개사사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1분기 4조 9079억원에서 2025년 1분기 5조 1679억원으로 5.3% 증가했으며,2024 원외처방액인 20조 4503억원보다 25.3% 확대됐다. 상위 5개사의 원외처방 실적부터 살펴보면 한미약품은 2024년 1분기 2406억원에서 2025년 1분기 2509억원으로 4.3% 증가했고, 종근당은 동기간1810억원에서 1866억원으로 3.1% 확대됐다. 또 3위인 대웅제약은 2024년 1분기 1485억원에서 2025년 1분기 1537억원으로 3.5% 상승한가운데, 유한양행은 1314억원에서 1430억원으로 8.8%, 대원제약은 1145억원에서 1246억원으로8.9% 증가했다. 원외처방액 증가율이 높았던 제약사 중에서는 마더스제약이 가장 높았는
주요 표적항암제들이 지난 2월까지955억원 규모를 달성하면서 1분기 내 1000억원달성을 예고했다. 특히 급여로 인한 접근성 개선이 이뤄지면서 타그리소와 렉라자의 원외처방액이 무서운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유비스트 자료를 통해 지난 2월까지의 주요 표적항암제 원외처방액이확인됐다. 그 결과 주요 표적항암제들은 전년 동기인 2024년 2월 821억원에서 이번 2025년 2월 95억원으로 16.4% 증가했다. 폐암 치료제들 중 EGFR 표적 치료제는 2024년 2월 304억원에서 2025년 2월 434억원으로 42.9% 증가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눈여겨볼만한 것이 타그리소와 렉라자다. 아스트라제네카의‘타그리소’가 184억원에서 279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51.6% 증가하며 표적항암제 시장에서 30% 가까운 점유율을 기록했다. 유한양행의 ‘렉라자’ 역시 같은 기간 동안 57억원에서 113억원으로 97.3% 증가하며11.9%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반면 베링거인겔하임의 ‘지오트립’이 27억원에서 21억원으로22.5%, 아스트라제네카의 ‘이레사’가 24억원에서 14억원으로38.9%, 로슈의 ‘타쎄바’가 10억원에서 5억원으로 49.1% 하락했다. EGFR 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