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B형간염 치료제 원외처방 하락세…아데포비르 성장

테노포비르, 엔테카비르, 베시포비르 등 치료제 처방 감소


주요 B형간염 치료제 시장이 소폭 줄어든 가운데 아데포비르 성분의 B형간염 치료제들은 규모가 확대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요 B형간염 치료제들의 원외처방은 2024년 3분기 4138억원에서 2025년 3분기 3960억원으로 4.3% 감소했다.

이 중 테노포비르 성분의 치료제들은 2024년 3분기 2604억원에서 2025년 3분기 1418억원으로 5% 증가했다.

주요 5개 제품들을 보면, 길리어드의 제품 중 비리어드가 681억원에서 473억원으로 30.4%, 베믈리디가 2024년 3분기 521억원에서 2025년 3분기 470억원으로 9.8%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삼일제약의 베믈리노는 15억원에서 27억원으로 77.8%, 동아에스티의 비리어드는 11억원에서 21억원으로 89.7% 증가했고, 종근당의 테노포벨은 24억원대를 유지했다.

엔테카비르 성분 치료제들은 2024년 3분기 1460억원에서 1454억원으로 0.4% 감소했다.

마찬가지로 상위 5개 제품 중 가장 원외처방액이 높은 BMS의 바라크루드는 528억원을 유지하고 있었고, 동아에스티의 바라클은 79억원에서 70억원으로 11.3% 감소했다.

삼일제약의 엔페드가 27억원에서 30억원으로 9.9%, 대웅제약의 바라크로스가 25억원에서 26억원으로 5.2%, 종근당의 엔테카벨이 21억원에서 24억원으로 13.5% 증가했다.

또 아데포비르 성분의 치료제들은 2024년 3분기 42억원에서 2025년 3분기 44억원으로 4.7% 확대됐다.

먼저 부광약품의 부광아테포비어가 19억원에서 18억원으로 3.2%, 동아에스티의 헵세비어가 9억 9000만원에서 9억 5900만원으로 3.1% 줄어들었다.

종근당의 에버헤파와 녹십자의 아뎁세라가 4억원에서 5억원으로 증가했고, 제일약품의 아뎁틴은 2억원에서 3억원으로 증가했다. 반면 동국제약의 헵세론은 2억원에서 1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이 밖에도 기타 성분의 B형간염 치료제 원외처방액을 살핀 결과, 일동제약의 베시보가 16억원에서 15억원으로 8.4% 줄어들었고, 부광약품의 제품 중 세비보는 8억원대에서 3억원대로 52%, 레보비르가 5억 6400만원에서 5억 2500만원으로 6.9% 축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