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년보다 유난히 폭염이 길었던 올 여름에 응급실을 방문한 온열질환자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024년 여름철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의 운영(5월 20일~ 9월 30일) 결과를 발표했다고 10월 13일 밝혔다. 2024년(’24.5.20~9.30)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총 3704명으로 전년(2818명) 대비 31.4% 증가했으며, 사망자 수는 34명을 기록했다. 신고된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총 34명(남자 20명, 여자 14명)으로 80세 이상 연령층(10명, 29.4%), 실외 발생(28명, 82.4%)이 많았고, 사망자의 추정사인은 주로 열사병(94.1%)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경남(6명, 17.6%)이 가장 많았고, 충남, 전남, 경북 각각 5명, 서울, 경기, 강원 각각 2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는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가장 많았던 2018년(48명) 이후 두번째로 많이 발생(34명)했으며, 이 중 60대 이상은 23명으로 작년(27명) 대비 14.8% 감소했으나, 60대 미만에서는 11명으로 작년(5명) 대비 120% 증가했다. 전체 온열질환자의 28.2%(1045명)가 8월 초
8월 21일을 기준으로 온열질환자가 2023년 누적 환자 발생 수(2818명)를 넘어서는 3019명이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은 열사병과 열탈진 등 온열질환에 대한 지속적인 주의를 8월 23일 당부했다.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5.20~8.21)에 따르면 추정 사망자 28명을 포함한 총 3019명의 온열질환자가 신고돼, 역대 온열질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던 2018년(4526명)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현재까지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65세 이상이 31.4%를 차지했고, 남성(77.6%)이 여성보다 많이 발생했다. 온열질환은 야외작업장(31.3%)과 논밭(14.6%) 등 주로 실외에서 78.0% 발생했고, 연령대별로는 50대 558명(18.5%)와 60대 557명(18.5%)로 나타났으며, 65세 이상 노년층이 전체 환자의 31.4%를 차지했고, 질환은 열탈진(55.6%)과 열사병(20.7%)으로 조사됐다. 시간별로는 12시~18시의 발생이 56.2%로 절반이 넘었으며, 6시~12시에는 26.9%, 18시~익일 6시에 16.9%가 발생한 것으로 신고되고 있어, 낮 시간대뿐만 아니라 밤 시간대에도 온열질환에
질병관리청이 ‘2024 파리하계올림픽·패럴림픽대회’ 참가시 감염병·온열질환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2024 파리 하계올림픽·패럴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단과 방문자들에게 프랑스 및 유럽 지역의 주요 감염병 정보와 예방수칙을 7월 16일 안내했다. 최근 프랑스와 유럽에서는 호흡기 감염병인 홍역·백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올림픽 개최지인 프랑스 파리에서는 현지의 기온 상승에 따른 모기 증가로 뎅기열 등 모기매개 감염병과 온열질환에 대한 주의도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질병관리청은 ‘2024 파리올림픽·패럴림픽대회 감염병 대응 계획’을 통해, 올림픽 개최 지역의 감염병 위험평가와 함께, 주의가 필요한 감염병에 대해 현지를 방문하는 국민들이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특히, 홍역·백일해 등 호흡기 감염병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A형 간염 ▲홍역(MMR)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Tdap)에 대해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거나 추가접종이 필요한 경우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또한, 뎅기열과 같이 모기가 옮기는 감염병을 방지하려면 모기 기피제를 비롯해 밝은색 긴팔 상의와 긴바지 등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며, 많은 국가로
질병관리청이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열사병과 열탈진 등 온열질환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2024년 5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는 전국 500여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 관할 보건소 및 시·도, 질병관리청과 협력해, 응급실에 내원한 온열질환자를 파악하고 폭염의 건강영향을 감시하기 위해 운영한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지난 2023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로 파악된 온열질환자는 총 2818명으로, 전년(2022년) 1564명 대비 80.2% 증가했다. 폭염으로 인한 일일 사망자 수는 온열질환 감시가 시작된 2011년 이후 7명으로 최다 발생했고, 연도별 사망자 수도 48명을 기록한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32명(추정사망자)으로 집계됐다. 신고된 온열질환자의 주요 발생 특성으로는 남자가 77.8%로 많았고, 50대(21.3%)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연령대별로는 65세 이상 노년층이 전체 환자의 29.5%를 차지했고, 인구 10만명당 온열질환자 수는 80세 이상(11.5명)에서 가장 높았다. 질환별로는 열탈진이 1598명(56.7%)으
소방청이 ‘2024 폭염 대비 구급활동 대책’을 본격 추진한다. 소방청은 폭염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24년 폭염 대비 구급활동 대책’을 마련하고, 오는 20일부터 폭염대응 구급출동 태세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 소방청의 폭염대응 구급활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연평균 응급처치 환자 수는 1265명이며, 이 중 의료기관으로 이송한 인원은 1169명으로 여름철 기간 동안 해마다 천명 이상의 온열질환자를 응급처치 및 이송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023년 여름철 폭염대응 구급활동 세부 현황으로는 온열질환자가 2436명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2153명을 이송했고, 전년 대비 8월과 9월에 300% 이상 증가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해당기간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행사로 온열질환자가 크게 증가한 영향이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장소별 구급활동 현황으로는 주차장과 같은 도로 외 교통지역 및 바다/강/산/논밭과 같이 야외에서의 발생 환자가 각각 16%를 차지할 만큼 높았으며, 집과 같은 실내에서의 발생도 비슷한 비율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증상으로는 야외 활동으로 인한 수분 손실로 발생하는 열탈진 1527명(62.
2023년 여름철에 발생한 온열질환자 2818명으로 전년 대비 8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23년 5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한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의 운영 결과를 6일 발표했다. 5월 20일~9월 30일 기간 동안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총 2818명(사망 32명)으로 전년 온열질환자 1564명(사망 9명)과 대비 8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된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총 32명(남자 18명, 여자 14명)으로 80세 이상 연령층(16명, 50.0%), 실외 발생(26명, 81.3%)이 많았고, 사망자의 추정사인은 주로 열사병(90.6%)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충남(8명, 25.0%)이 가장 많았고, 경남 6명, 경북, 전북 각각 4명, 충북, 전남 각각 3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는 폭염으로 인한 일일 사망자 수가 온열질환 감시가 2011년 시작된 이후 폭염일수가 가장 많았던 2018년(6명)보다 많은 7명으로 최다 발생했으며, 연도별 사망자 수도 2018년(48명) 이후 두 번째로 많은 32명이 발생했다. 또한, 전체 온열
‘말 많고·탈 많은’ 제25회 잼버리에서, 환자 대응을 위해 곳곳에서 달려온 국내 의료진들의 수고는 돋보였다. 개최 후 연일 운영 관련 문제가 제기됐던 ‘제25회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가 결국 7일 오후 태풍 카눈의 북상으로 조기 철수가 결정됐다. ‘제25회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는 세계스카우트연맹 주관으로, 4년 주기로 열리는 국제 행사다. 우리나라에서는 제17회 강원도 고성 대회에 이어 32년만에 전북 새만금 간척지에서 열렸으며, 8월 1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될 예정이었다. 행사 기간동안 새만금 간척지 곳곳의 물 웅덩이와 습한 바닷바람으로 인한 높은 습도에 더해 8월의 높은 기온과 해충으로 인해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했으며, 이에 주최측의 준비 및 운영 미흡이 논란이 됐다. 주최측은 행사장에 1개의 잼버리 병원과 5개의 클리닉을 구축했지만, 총 4만여 명이 참여한 잼버리 행사에서 기후 등으로 인해 속출하는 환자를 모두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대한병원협회는 지난 4일 회원병원에 긴급 협조 공문을 발송했고, 고려대의료원, 세브란스병원, 중앙대병원에서는 각각 의료진을 구성해 파견했다. 국립중앙의료원도 앞선 8월 3일부터 지원단을 파견했다. 먼저
장마 종료 후 폭염으로 온열질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장마가 종료된 지난 7월 26일 이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628명으로, 전체 환자의 45.3%를 차지했다면서 무더위로 인한 온열질환 발생에 주의를 4일 당부했다. 5월 20일부터 8월 2일까지 감시체계로 확인된 온열질환자는 1385명(추정 사망자 포함)으로 전년 동기간 1074명(추정 사망자 6명 포함) 대비 29.0% 증가했다. 추정 사망자는 지난 주말 동안 10명이 발생하면서 최근 5일간 14명이 늘어나 총 18명으로 급증했으며, 지난 7월 29일에는 하루 동안 7명(사망일 기준)이 발생하면서 기록적 폭염이 있었던 2018년 8월 2일(6명) 때보다 이른 시기에 일별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열질환자는 주로 남자(77.4%)과 50대(20.0%)에서 많이 발생했고, 실외 작업장(31.9%)과 논밭(14.9%)에서 활동 중 증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발생시간은 15~16시(12.4%), 14~15시(10.0%), 16~17시(9.7%), 11~12시(9.6%) 순으로, 오후 2시부터 5시 뿐만 아니라 오전에도 많이 발생했으며, 지역별
장마 속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온열질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소방청이 온열질환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당부되고 있다. 17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해(`22년) 온열질환 관련 구급 출동 1153건 중 51%가 7월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올해도 온열질환 관련 구급출동이 322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병원이송 환자는 285명, 현장에서 응급처치를 받은 환자는 33명이었으며, 사망자는 4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 4명 모두 야외작업 중에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지난해(`22년) 119구급차로 이송한 온열질환자 중 사망자 10명도 모두 야외에서 활동 중에 발생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더욱이 지난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10명은 70대 2명, 60대 2명, 50대2명 순으로 50대 이상 고령 환자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나, 올해는 70대 1명, 50대 2명, 20대 1명으로 젊은 층에서도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남화영 소방청장은 “어린이와 노약자는 특히 무더위 속 폭염특보가 발효되면 외출을 자제하고 실내에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라며 “부득이한 야외활동 시 장시간 작업하거나 혼자 활동하는 것은 피하고, 열실신이나 열사병 등 온열질환자를 목격하면
올해는 엘리뇨 현상 등으로 무더위가 연일 이어지면서 역대급 폭염이 찾아올 것이라고 한다. 예년보다 더울 확률이 50%에 달한다는 게 기상청의 전망이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통계청의 폭염 사망자 수는 총 493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같은 기간 태풍과 호우에 의한 인명 피해를 합친 것보다 3.6배가량 많다. 폭염을 ‘보이지 않는 살인자’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본격적인 여름 무더위를 앞두고 온열 질환에 대한 주의가 각별히 요구되고 있는데,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 지재구 교수를 도움말로 우리가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는 무엇이 있는지를 알아본다. 인체가 더위를 느끼면 뇌의 시상하부는 체온을 끌어 내리기 위해 체온조절 시스템을 가동시킨다. 혈류량을 늘리고 땀을 배출시켜 체온을 낮추려고 하는 것이다. 혈액을 피부 쪽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호흡은 가빠지며 동시에 신체 다른 부위에 공급되는 혈액량은 부족해진다. 혈액 공급량이 줄어들면, 식욕이 없으며, 소화기능이 약해지며, 소변이 줄고, 인체대사과정이 떨어지며, 인지기능 등의 뇌 활동이 둔해 지고, 운동 능력이 평소보다 저하돼 다칠 위험이 높아진다. 그렇다면 단계별 온열 질환의 종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