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 때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접종 꼭 챙겨주세요!” 질병관리청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Papillomavirus, HPV) 감염증 예방을 위해 이와 같은 당부를 전하며, 12~17세 여성청소년은 여름방학 동안 예방접종을 완료해 줄 것을 30일 요청했다. HPV 예방접종은 HPV 감염으로 유발되는 자궁경부암 등의 주요질환에서 90% 이상의 예방효과가 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38개국 중 36개국과 전 세계 122개국에서 예방접종하는 안전한 백신이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12~17세(’05~’11년생) 여성 청소년과 18~26세(’96~’04년생) 저소득층 여성을 대상으로 HPV 예방접종을 무료 지원하고 있으며, 이번 연도 마지막 대상(2005년생, 1996년생 저소득층)은 올해 12월까지 접종 지원이 가능하다. 아울러 질병관리청은 학기 중 학업 등으로 의료기관 방문이 어려웠던 청소년이 여름방학을 이용해 접종을 완료할 수 있도록 8월 초 개별 알림 문자를 통해 안내할 예정이다. 한편,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자는 가까운 지정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 방문해 접종할 수 있으며, 아직까지 접종하지 못한 여성 청소년은 예
정부의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대한 국민들의 만족도·이용 의향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022년 대상자가 확대된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과 올해 국가예방접종 사업으로 신규 도입되는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먼저 HPV에 대한 인지도는 82.0%이며, ‘HPV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68.3%로 나타났다. 이어서 예방접종 참여의향은 70.1%이며, 접종 의향이 없는 경우는 이상반응 및 부작용에 대한 우려(46.8%)가 주된 원인으로 조사됐다. HPV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대해서는 70.7%가 알고 있으며, 만 12세 여아 자녀를 둔 부모의 인지도가 87.0%로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기록했다. 인지 경로는 병원·보건소 내 전단지 등을 통해 주로 인지(35.5%)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청소년은 학교 홍보·알림을 통해 인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는 응답자의 절반 정도인 53.0%가 알고 있었으며, 국가예방접종사업을 통해 정부 신뢰도의 경우 ▲신뢰도 높아짐 41.8% ▲변화없음 49.8% ▲신뢰도 낮아짐 8.4%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정부 신뢰도가 높아졌다는 응답 비
질병관리청이 초·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겨울방학을 계기로 각종 암 예방에 효과가 높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을 맞을 것을 17일 권고했다.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은 자궁경부암 및 항문암 90%, 질암 및 구인두암 70%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정도로 ▲자궁경부암 ▲항문암 ▲질암 ▲구인두암의 주요 원인으로, 예방접종을 통해 해당 암의 70~90% 이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감염되기 전에 접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의 주요 원인인 성 경험 이전에 예방접종을 맞도록 권장하고 있다. 현재 질병관리청은 만 12~17세(2005년 1월 1일~2011년 12월 31일) 여성 청소년과 만 18~26세(1996년 1월 1일~2004년 12월 31일) 저소득층 여성에게 무료로 예방접종을 맞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자는 가까운 지정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 방문해 접종을 맞을 수 있다.
효과적인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예방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여성에게만이 아닌 남성에게도 HPV 예방 백신을 접종할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펼쳐졌다. 국민의힘 백종헌 국회의원 주최,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주관으로 ‘사람유두종바이러스, HPV 예방대책을 위한 토론회’가 8월 23일 10시,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렸다.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만 12세 여아를 대상으로 HPV 예방백신을 국가예방접종에 도입했으나, 남아가 제외돼 있어 성접촉으로 감염되는 HPV를 예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백종헌 국회의원은 작년 국정감사에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남아도 HPV 국가예방접종에 포함시키는 감염병예방관리법 개정안을 발의, 통과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HPV와 그 백신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한 HPV 예방백신 남아 확대의 필요성과 비용 효용성을 점검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장, 가톨릭의대 비뇨의학과 이승주 교수는 “HPV는 아주 흔하고 종류가 다양한데 자궁경부암 쪽에 중점을 뒀다가 최근에는 남성 두경부암 쪽도 발병이 느는 추세로, 국민건강목표에서 토론회가 이뤄지게
사람유두종바이러스(이하 HPV) 예방대책을 위한 국회 정책토론회가 국민의힘 백종헌 국회의원 주최,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주관으로 8월 23일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렸다. HPV는 여성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면서, 남성에게는 두경부암을 일으키는 원인인자가 되기도 한다. 두경부암은 최근 발병횟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남성 주요 암 중 하나다.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장인 이승주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중앙의대 이비인후과 이세영 교수가 ‘국내 두경부암 현황과 원인 그리고 예방을 위한 대책’, 가톨릭의대 비뇨의학과 배상락 교수가 ‘남성 HPV감염 유병률 현황 및 예방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