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체자원의 산업활용 촉진과 안정적 보존을 위한 시행계획을 공표했다. 질병관리청이 국내 병원체자원에 대한 주권 강화와 감염병 대응 및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활용 촉진을 위해 지난 2021년 수립된 ‘제1차 병원체자원관리종합계획(’21~’25)’의 단계적 이행을 위한 ‘2024년 병원체자원관리 시행계획’을 수립해 6월 28일 공표했다. 병원체자원의 국가 책임기관인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보존가치가 있는 병원체를 수집해, ‘병원체자원 보존·관리 목록’에 등재·공개하고, 연구자·보건의료 산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분양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2024년 시행계획’을 통해 ▲수요 맞춤형 자원의 우선 확보 ▲병원체자원 기탁 활성화 및 자원 품질 신뢰성 강화 ▲병원체자원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2024년 시행계획’에는 병원체자원의 수집·관리·분양 활용에 관한 전반적이고 구체적 계획인 3개 중점전략과 7개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유용 병원체자원 확보 및 안정적 보존관리 역량 제고 우선 병원체자원의 질적·양적·전략적 수집을 확대한다. 정부는 인체 외 다양한 분리원 유래 병원체자원을 5건 이상 수집하는 등 분리원을 확대한 병원체자원에 대한 수집
정부가 병원체자원의 국가적 관리를 위해 2025년까지 분양 가능 유용 병원체자원 1만3000주를 등재하고, 연간 4000주 분양 및 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해 10개 기관과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시행한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국내 병원체자원에 대한 주권 강화와 감염병대응 및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활용 촉진을 위해 2021년 수립된 ‘제1차 병원체자원관리종합계획’의 단계적 이행을 위한 ‘2023년 병원체자원관리 시행계획’을 10일 수립·공표했다. 우선 ‘2023년 시행계획’은 병원체자원의 수집, 관리 및 분양 활용에 관한 전반적이고 구체적인 계획이 3개 중점전략 및 7개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유용한 병원체자원 확보 및 안전적 보존관리 역량을 제고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첫째로 병원체자원의 질적, 양적, 전략적 수집을 확대한다. 정부는 항생제내성균과 인수공통감염병 원인균 등 인체 외 다양한 분리원 유래 병원체자원을 50건 이상 기탁하는 방식 등으로 분리원을 확대한 병원체자원에 대한 수집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국가전략병원체연구자원 목록 개선 및 5건 이상 수집하는 등의 국가전략병원체연구자원 수집방안을 마련하고, 병원체자원 기탁절차
분야별 병원체자원 전문은행에서 병원체자원을 분양한다.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병원체자원은행 고시’를 제정·시행 함에 따라 분야별병원체자원전문은행에서 해당 병원체자원을 분양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그간 국가관리 ‘병원체자원 보존·관리목록’에 등재된 자원은 국립보건연구원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만 분양 가능했으나, 전문은행에서도 분양이 가능하도록 분양체계를 개선했다. 분야별 병원체자원 분양이 가능한 전문은행은 항생제내성균주전문은행(서울여대), 다제내성균전문은행(약제내성연구과), 구강세균전문은행(조선대) 등 총 3곳이다. 전문은행별 분양 가능한 병원체자원으로는 ▲항생제내성균주전문은행(서울여대) Salmonella Typhimurium 등 10주 ▲구강세균전문은행(조선대) Fusobacterium hwasookii 등 12주 ▲다제내성균전문은행(약제내성연구과) Acinetobacter baumannii 등 1080주 등이며, 다제내성균전문은행은 9월 말부터 분양을 개시할 예정이다. 전문은행에서 분양 가능한 병원체자원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병원체자원 분양신청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내 ‘병원체자원 온라인 분양창구’
충남대학교병원이 내년 4월 개소를 목표로 고위험 병원체자원 공용연구시설 공사를 진행 중이다. 충남대병원은 지난해 ‘고위험 병원체자원 공용연구시설 구축·운영 실증사업’ 참여기관으로 선정돼 의생명융합연구센터 6층에 연구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병원체자원 공용연구시설은 대전지역 바이오메디컬산업의 혁신성장동력으로 중소벤처기업부와 대전광역시가 총 152억 8000만원(국비 76억 4000만원, 지방비 76억 4000만원)을 투입해 생물 안전 3등급(BL3)의 공용연구시설(연면적 671.36m2)이 구축된다. 지난 10월 말에 착공해 2022년 상반기에 준공 예정인 ‘BL3 공용연구시설’은 감염병대응 연구목적으로 대전테크노파크, 충남대학교병원이 주축으로 설치·운영되며 신종 감염병 관련 분석, 진단, 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 지역 내 중소·벤처기업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BL3 등급의 공용연구시설로 감염병대응 안전관리 기준을 충족하고 관련 연구 장비와 전문인력을 갖춰 기업지원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기업의 감염병 관련 치료제, 백신, 진단기기를 개발하고 조기 상용화를 실현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간 신종 감염병에 대한 진단, 백신개발, 치료제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