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한 해 급성심정지 환자는 33000여명에 달하고, 절반 이상이 70세 이상 고령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이 2023년 한 해 동안 119구급대가 의료기관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를 12월 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23년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3586건(인구 10만 명당 65.7명) 발생했다. 여자(35.4%)보다 남자(64.5%)에서 더 많이 발생했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70세 이상에서의 발생이 전체의 53.4%를 차지했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의무기록조사를 완료한 환자는 3만3402건(완료율 99.5%)이며,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주요 발생 원인은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경우가 76.7%를 기록했다. 이어서 추락과 운수사고 등 질병 외인으로 인한 경우가 22.7%로 조사됐고, 심장 자체의 기능부전에 의한 심인성 원인이 전체의 7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도로/고속도로, 상업시설 등의 공공장소(17.7%)보다 비공공장소에서 많이 발생(65.0%)했으며, 특히 가정에서의 발생이 전체의 47.0
2023년 상반기 기준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 및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등이 모두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2023년 상반기(1월~6월)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급성심장정지는 심장 활동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로, 2023년 상반기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수는 전체 1만6592건이고, 이 중 1만6391건(98.8%)에 대한 조사가 완료됐다. 조사 결과, 발생 원인은 주로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경우가 77.4%였으며, 추락, 목맴, 운수사고 등 질병 외에 의한 경우가 21.7%로 분석됐다. 발생 장소는 주로 가정·요양기관 등 비공공장소가 65.9%였고, 상업시설과 도로·고속도로 등 공공장소가 17.7%였으며, 특히 비공공장소 중 가정에서의 발생이 전체 발생 장소의 48.4%로 가장 많았다. 생존 상태로 퇴원한 환자 수는 1442건으로 생존율은 8.8%로 2022년 대비 1.0%p 증가했으며,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상태로 퇴원한 환자 수는 922건으로 뇌기능회복률은 5.6%를 기록하며 2022년 대비 0.5%p 증가한 것으로 나
2022년 119구급대 이송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3만5000여명에 달하며,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과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모두 전년 대비 개선됐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12월 13일 2022년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환자 3만여명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2년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3만5018명(인구 10만명당 68.3명) 중 남자(63.9%)가 여자(36.1%)보다 많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발생 환자가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70세 이상의 발생이 전체의 53.9%를 차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발생이 전체의 78.3%를 차지했으며, 추락·운수사고 등 질병 외인으로 인한 발생이 20.9%로 나타났다. 장소별로는 공공장소보다 비공공장소에서 많이 발생(64.5%)했는데, 특히 가정에서의 발생이 1만5587건(44.7%)으로 가장 많았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병원을 방문해 의무기록조사까지 완료한 환자는 3만4848명이었으며, 이 중 2701명이 생존하면서 생존율은 7.8%을 기록해 전년도(7.3%)보다 0.5%p 개선됐다. 또한, 일상생활
2022년 상반기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1만7000여명이며, 10명 중 4명은 가정에서 발생했고, 질병에 의한 발생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022년 상반기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를 국가손상정보포털을 통해 공표한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코로나19 유행 이후의 의료환경 변화와 통계 이용자의 수요 등을 고려해 올해부터는 공표 주기를 1년(연 1회)에서 반기(연 2회)로 단축하기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2022년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부터 반기별로 통계가 공표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전체 1만7668명이었고, 주요 발생원인으로는 심장병 등 질병(80.1%)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질병 외로는 추락(4.7%)으로 인한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장소는 비공공장소에서 주로 발생했는데, 특히 가정에서의 발생이 7946건(45.2%)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2022년 상반기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중 생존 상태로 퇴원한 환자(생존율)는 7.3%였으며,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상태로 퇴원한 환자(뇌기능회복률)는 4.6%로 분석됐다. 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제고를 위해 마련된 급성심장정지 구급 품질 향상 워크숍이 개최된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오는 4월 6일 13시 30분 라마다호텔(전남 여수 소재)에서 ‘제6차 급성심장정지 구급품질 향상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급성심장정지 조사·감시업무 관계자와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초기 처치를 담당하는 소방의 119구급대원 등 130여명이 참여해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 제고를 위한 구급품질 개선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웝크숍은 ▲급성심장정지 발생 현황과 향후 정책방향 ▲2022년 심장정지 핵심지표 및 소방서별 현황 ▲구급대원 처치 경험과 급성심장정지 생존 결과 분석 ▲심폐소생술 무압박 시간단축(mechanical CPR) 노하우와 같이 신고단계부터 현장, 이송단계의 급성심장정지 환자 인지 및 처치의 중요성과 통계 등의 발표와 사례 공유로 진행된다. 1부 시작에 앞서, 질병관리청 배원초 손상예방관리과장은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여부에 따른 생존율(시행 시 11.6%, 미시행 시 5.3%) 등 ‘2021년 급성심장정지조사 주요 결과와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서울대학교병원 박정호 교수가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를
119구급대가 지난 2021년에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3만3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절반 이상은 70대 이상 환자이며, 생존율과 뇌 기능 회복률은 각각 7.3%와 4.4%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 15일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3235명으로 집계됐다.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64.7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성별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은 남성 82.4명, 여성 47.2명으로 남자가 여성보다 높았다. 연령별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10세 미만은 6.9명, 10대 8.2명, 20대 13.6명, 30대 17.9명, 40대 29.5명, 50대 51.6명, 60대 86.4명, 70대 199.2명, 80대 이상 513.5명 등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급성심장정지 발생률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제주가 101.8명으로 가장 높았고, 강원이 95.8명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전남 90.0명, 충남 89.2명, 충북 87.7명, 전북 84.5명, 경북 83.7명,
급성심장정지 구급품질 향상 워크숍이 개최된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9월 1일 오전 9시부터 대구EXCO에서 급성심장정지 생존율 제고를 위한 ‘제5차 급성심장정지 구급품질 향상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31일 밝혔다. 급성심장정지는 심장 활동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로, 사망위험이 높지만, 신속한 신고 및 심폐소생술 시행, 고품질의 구급활동 등 적절한 조치로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매년 119구급대가 3만여 명의 급성심장정지 환자를 이송하고 있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병원 전 단계에서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과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발굴하고 개선대책을 마련하기로 협의하고 2021년 5월부터 정기적으로 워크숍을 개최하고 있다. 소방청은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초기 처치를 전담하고 있으며, 신고부터 이송까지의 단계별 구급활동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구급품질 관리 및 생존율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소방청의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이송병원을 방문해 의무기록 조사를 실시하고 급성심장정지 예방관리 대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급성심장정지 생존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전략 및 구급
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을 받음 급성심정지 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전히 목격된 급성심정지 중에도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은 경우도 있어 일반인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30일 제10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2020년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3만여 명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 1652명으로,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61.6명이었다.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은 남자에서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시·도별로는 제주에서 인구 10만 명당 98.0명으로 가장 높고, 세종이 33.7명으로 가장 낮았으며, 경기를 제외한 8개 도 지역이 1~8위를 차지했고, 수도권과 광역시, 세종 등이 9~17위에 분포했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병원을 방문해 의무기록조사까지 완료한 환자는 3만 1417명이었으며, 이 중 2345명이 생존해 생존율은 7.5%였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2006년의 2.3%에 비해서는 개선된 수치이나, 2019년 8.7%보다 감소한 것이며, 시·도별로도 대체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