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분야에서 글로벌 중심국가로 도약하려면 산·학 간 유기적 협력이 기반해야 하며, 제품 개발을 활성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제언이 제기됐다.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주최하고 한국규제과학센터와 대한약학회에서 주관하는 ‘제5회 규제과학 혁신포럼’가 ‘바이오 헬스 글로벌 진출을 위한 규제과학 전략’ 주제로 개최됐다. 이날 성균관대학교 이의경 교수는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글로벌 중심국가로 도약하려면 ▲규제과학 기반의 역량 강화 ▲바이오헬스 전문 인력 양성 ▲인프라 구축 ▲정부의 지원 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이 교수는 규제과학 기반의 역량의 경우 기초연구 성과에서 머무르지 않고 임상적 유용성 확보와 제품화까지 이뤄질 수 있도록 응용 중개 연구 투자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규제 과학이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새로운 평가 기술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음을 언급하며, 우리도 첨단 바이오헬스 제품에 대한 새로운 안전성·유효성·품질 평가 기술을 개발하고, 신기술·신개념 제품에 대해 선제적으로 규제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과거에는 임상시험에서 나온 데이터가 중심이었다면 현재는 리얼 월드 에비던스(R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주최하고 한국규제과학센터와 대한약학회에서 주관하는 ‘제5회 규제과학 혁신포럼’가 20일 오후 4시 제주신화월드(제주 서귀포시 소재)에서 개최됐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이번 포럼은 ‘바이오 헬스 글로벌 진출을 위한 규제과학 전략’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바이오 헬스 전문가들이 우리나라가 글로벌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규제과학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구체적으로 성균관대학교 이의경 교수가 ‘바이오헬스산업의 글로벌 진출과 규제과학’을 주제로 기조 강연한다. 이어서 SD바이오센서 원유덕 부사장이 ‘국제 규제조화의 중요성과 에스디바이오센서의 국내외 등록사례’를 소개하며, 셀트리온 박재휘 상무가 ‘제약산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규제과학 전략 및 사례’를, SK바이오팜 박정신 부사장이 ‘뇌전증 치료제 신약 XCOPRI의 글로벌 진출 사례’에 대해 각각 발표한다. 다음으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상무이사가 ‘한국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시장 도약’에 대해 발표를 진행하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곽수진 팀장의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에 대해 주제 발표 및 소개한다. 이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