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0,424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간호법이 제정되면 환자 안전을 위해 간호사들에게 적정 업무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또 간호사가 타 직역의 업무를 침해하는 것이 아니라 본연의 업무인 환자 간호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간호협회 최훈화 정책전문위원은 최근 경인방송 라디오 ‘김성민의 시사토픽’에 출연해 간호법 제정이후의 변화에 대해 이 같이 내다봤다. 최훈화 위원은 간호계에서 정의하는 간호법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법 제도 하에 (환자에게) 숙련된 간호사가 간호를 제공하고, 간호인력 수급 체계를 국가가 구축함으로써 간호사가 의료기관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장기근속을 할 수 있는 간호 정책의 근간을 마련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간호법 제정이 필요한 결정적 이유에 대해서는 “현행 의료법은 1944년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에) 의료인으로 동원하기 위해 통합된 형태로 제정된 법이 그대로 이어져 1951년 국민의료법에 기반하고 있다”면서 “자그마치 78년째 일제 잔재의 통합 형태의 의료법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 뿐만 아니라 간호와 관련된 법령이 11개 부처 90여 개 법에서 산재되어 있어 일관성 있는 간호 정책을 추진하는 데 한계가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홍성한, 이하 신약조합)은 산하 국내 산·학·연·벤처·스타트업 사업개발 전문가 단체인 제약·바이오 사업개발연구회(연구회장 이재현, 이하 K-BD Group)가 일산 킨텍스에서 ‘2022년도 제1회 유망바이오벤처·스타트업 투자포럼’을 6월 15일(수)부터 16일(목)까지 2일에 걸쳐 개최해 바이오헬스산업계 산·학·연·관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료했다고 밝혔다. 신약조합이 주최하고 K-BD Group, 아주첨단의료바이오연구원이 공동으로 주관한 이번 투자포럼은 국내 바이오헬스산업계 오픈이노베이션 촉진의 일환으로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및 벤처캐피털 등 투자기관에게 유망바이오벤처·스타트업기업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우수 아이템/플랫폼 발굴, 투자, M&A 등 상생협력 및 정보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 ㈜엔포유기술지주, ㈜대경기술지주,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숙명여자대학교기술지주㈜, 이화여자대학교기술지주㈜, 아주대학교기술지주㈜, ㈜에스와이피, 홍릉강소특구사업단, 서울아산병원 바이오 Core Facility 센터 등 총 9개 기관/대학이 협력기관으로 참여했다. K-BD Group 이재현 연구회장과 아주첨단의료바
한국백혈병환우회는 지난 6월 15일 서울여성플라자 아트센터에서 ‘글리벡에서 킴리아까지’ 주제로 창립 2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김형기 아나운서가 사회를 맡았고, ‘서로가 함께한 1년’ 제목의 활동 영상과 백혈병환우회 홍보대사인 방송인 김미화 씨의 축하 영상 상영으로 시작됐다. 2014년 창단된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젊은 예술가들의 모임 ‘앙상블 토브’(TOV)는 오프닝 공연을 했고, 완치된 백혈병 환우인 유진혁 군은 축하공연으로 가수 임재범 씨의 ‘이 또는 지나가리라’를 열창했다. 이날 행사의 하이라이트인 백혈병환우회 창립 후 20년 동안 있었던 대표적인 10대 성과 ① 글리벡 약가인하 운동, ② 혈소판 사전예약제 도입운동, ③ 백혈병 의료비 임의비급여 개선운동, ④ 백혈병 환자 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불합격 판정기준 개선운동, ⑤ 헌혈운동, ⑥ 조혈모세포기증운동, ⑦ 울타리/힐링캠프/후지산 원정대, ⑧ 무균차량 클린카와 무균극장 클린시네마, ⑨ 서드커 치료비 모금운동과 몽골백혈병환우회 창립 지원, ⑩ 킴리아 건강보험 등재운동 영상으로 상영됐다. 축사는 더불어민주당 원내 대변인을 맡고 있는 이수진 의원과 백혈병환우회 제1회 수가공모전에서 대상을
충남대학교병원(원장 윤환중)과 세종충남대학교병원(원장 신현대), 네이버클라우드(대표 박원기)는 오는 20일(월) 오후 4시부터 대전 오노마 호텔에서 ‘2022 대전 디지털 헬스케어 라운드 테이블’포럼을 공동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충남대학교병원을 비롯한 중부권 병원 협의체 9개 의료기관과 정부기관 관계자, 바이오·디지털 헬스케어 및 과학기술 분야 관계자들이 참석하며 디지털 전환 패러다임과 다양한 최첨단 클라우드 기술이 소개된다. 특히, 충남대학교병원과 세종충남대학교병원 등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중부권 병원중심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산·학·연·병·관(산업체·대학·연구소·병원·정부기관) 오피니언 리더간 협력 네트워킹 및 바이오·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현황 분석, 향후 발전 방안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이날 행사는 충남대학교병원 윤환중 원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네이버클라우드 류재준 리더의 ‘Cloud Based Healthcare Business’, ▲충남대학교병원 고영권 교수의 ‘병원중심 광역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중부권 병원 협의체 활동’, ▲충북대학교병원 박승 교수의 ‘딥러닝 기반 중환자 예후 예측’, ▲단국대학교병원 현정근 교수의 ‘인
밀라노, 2022년 6월 15일 /PRNewswire/ -- 35년 이상 가장 진보된 임상화학, 면역화학 및 분자진단 플랫폼을 위한 체외 진단기의 개발 및 생산에 주력하는 이탈리아 회사 Sentinel Diagnostics가 대장암 검진기관 및 대형 임상 연구소의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분변잠혈검사(Fecal Immunochemical Test)용 완전 자동 고처리량 시스템인 SENTiFIT(R) 800 분석기의 출시를 발표했다. 대장암은 가장 위험하고 치명적인 암 중 하나다. 서구에서 대장암은 암 관련 사망의 두 번째 주요 원인으로, 매년 약 200만 건의 신규 사례가 발생하고, 90만 명이 대장암으로 사망한다(www.iarc.fr). 대장암은 조기 진단시 대부분의 경우 치료가 가능하므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초기 단계에서 암을 식별하기 위해 국가 또는 지역 검진을 조직해 치료를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망률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있다. 이러한 진단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검사를 받고 있으며, 이는 실험실에서의 실무에 있어 새로운 도전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고
주한덴마크대사관이 14일(화) 서울시 성북구 대사관저에서 ‘한국-덴마크 일차보건의료 및 고령화’를 주제로 고위급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양국의 고령화 문제 해결 전략과 노인 인권에 대한 논의가 중심이 됐다. 이를 위해 양국의 일차보건의료 시스템 현황 소개 및 지식 공유와 더불어 복지 서비스와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복지 테크놀로지에 초점이 맞춰졌다. 세미나 1부는 덴마크의 ‘고령화 현황과 대응 전략, 그리고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복지 테크놀로지의 활용’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를 위해 ▲덴마크 노인복지부 이바 아이톱 과장 ▲덴마크 복지 테크놀로지 산업 협회 모른 라스무센 협회장 ▲덴마크 지방자치단체 위원회 내나 스코거드 고령 친화산업 부장이 발표를 진행했다. 이어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 이한석 사무관 ▲국민건강보험공단 강상백 실장이 한국의 고령화 해결 방안과 비전 그리고 노인과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해 발표하며 1부 세션을 마무리했다. 2부 세션은 ‘고령화가 삶의 균형 등 사회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를 위해 존엄한 노화와 노인 생활 지원, 노인 인권을 주제로 덴마크 업체 테이크 어 워크VR의 예스퍼 로이 대표, 아
대한항암요법연구회(회장 장대영)는 2022 미국임상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이하 ASCO)에서 발표된 주요 임상 결과를 분석, 암 치료에 있어 치료효과를 높이고 개인 맞춤형 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한 최신 치료 지견을 공유했다. ◆표적치료제+세포독성항암제, 항체-약물결합체(ADC)로 효과는 높이고 독성은 줄이는 시대 올해 ASCO에서 큰 주목을 받은 치료제는 단연 ‘항체-약물결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다. 항체-약물결합체는 세포독성항암제와 항체를 링커로 연결해 특정한 표적을 발현하는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약제로, 표적이 발현되는 암 조직에 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해 강력한 항암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전신 독성은 줄인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유방암 분야에서 항체-약물결합체가 사람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HER2) 유전자 저발현 환자에게 의미 있는 지표를 보여주며 두각을 나타냈다. 이번 ASCO에서는 이전 항암화학치료를 받은 HER2 저발현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표준요법인 항암화학요법 대비 HER2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약물결합체 엔허투(Trastuzumab Deruxtecan
-- 코로나 이후의 경제 불확실성과 분쟁에 기인 런던 , 2022년 6월 15일 /PRNewswire/ -- 오늘, 국제 싱크탱크인 Institute for Economics & Peace(IEP)가 제16차 Global Peace Index(GPI)를 발표했다. 주요 결과- 현재 미국의 평화 수준은 2008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 전 세계 생활비 상승으로 인해, 전 세계적인 식량 불안정과 불안이 증가했으며, 아프리카, 남아시아 및 중동은 가장 큰 위협에 처해 있다. - 폭력으로 인한 세계 경제 영향은 2021년에 16조5천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세계 GDP의 10.9%(1인당 2,117달러)에 해당한다. - 폭력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10개 국가에서 폭력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2021년에 GDP의 34%를 차지했으며, 가장 적게 영향을 받은 10개 국가의 경우에는 3.6%를 차지했다. 갈등과 이주- 현재 망명 신청자로서 난민과 국내 실향민 그리고 유엔난민기구(UNHCR)의 기타 우려 대상은 8천800만 명 이상이다. 이들은 분쟁으로 인해 어떤 식으로든 강제 이주된 사람들이다
KMI한국의학연구소 연구위원회는 여름철 여행지의 불청객인 모기와의 거리두기를 위해 감염병 전문가의 제언을 담은 건강정보를 15일 제공했다. 최근 코로나19가 안정세에 접어들고 날이 따뜻해지면서 여행 수요가 꿈틀대고 있다. 특히 해외여행의 빗장이 풀리고 호텔, 리조트 뿐 아니라 차박 캠핑 등의 다양한 숙박 형태의 여행이 늘어나고 있다. 낯선 여행지에서 여행자를 가장 큰 위험에 빠뜨리는 두 가지는 바로 감염병과 교통사고다. 특히 모기 매개 감염병은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에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모기와의 거리두기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모기기피제’ 사용이다. KMI 연구위원회 신상엽 상임연구위원(국제여행의학회 여행의학 인증의, 감염내과 전문의)은 “모기기피제는 식약처의 의약외품 승인을 받은 제품 중에서 연령과 효과 지속시간을 고려해서 선택하고 올바른 투여 방법으로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자외선 차단제와 같이 사용할 때는 자외선 차단제를 먼저 바르는 것이 중요하며, 대부분의 모기기피제는 모기 뿐 아니라 진드기 등의 여러 해충에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여행 전 필수적으로 챙겨야 할 준비물이다”고 조언했다. KMI한
- 연결된 풀 서비스 외과 플랫폼의 제품 확장 가속화 도모 - Advent Life Sciences 주도의 자금 조달 라운드, Emerson Collective, SoftBank Vision Fund 2, British Patient Capital, Mubadala 및 Minderoo Foundation 등 신규 투자사 참여 - 조달된 자금은 연결된 외과적 치료를 제공하는 중앙식 플랫폼 'Proximie의 Operating System for the Operating Room'의 발전과 확장 가속화에 사용될 예정 런던 , 2022년 6월 14일 /PRNewswire/ -- 여러 수술실(Operating Room, OR)을 디지털로 연결하는 글로벌 의료 기술 플랫폼 Proximie [ https://proximie.com/ ]가 시리즈 C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8천만 달러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 투자가 있기 전, Proximie는 1년 동안 총 거래액을 크게 늘렸고, 13,000건이 넘는 수술을 지원했으며, 자사의 국제적 풋프린트를 100개국으로 확장했다. Proximie's platform in action in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은 여러 국가 및 특정 기관과의 비교연구가 가능한 국제표준 공통데이터모델(CDM) 개방 일정을 공개하고 연구자 이용 신청을 접수받는다고 13일 밝혔다. 제공 데이터는 2021년 한 해 동안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전체 환자 층별 20%(약 1천만 명) 표본 추출, 대상 환자의 2018년 1월부터 2022년 4월까지의 청구데이터를 CDM으로 변환한 데이터로, 신청기간은 7월 4일부터 같은달 29일 18시까지 26일간이다. 제출서류는 심사평가원 홈페이지 및 개방시스템 공지사항 게재돼 있으며, 제출방법은 전자우편(cdm@hira.or.kr)으로 송부하면 된다. 심사평가원은 7월 한 달 간 접수 받은 연구계획서 중 선정위원회 심의를 통해 우선적으로 개방할 10개의 연구 과제를 선정하고, 공공데이터제공 심의위원회를 거쳐 8월 중순부터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번에 개방하는 공통데이터모델(CDM)은 개인정보 유출 위험 없는 안전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이용 수수료는 없다. 김무성 빅데이터실장은 “이번 개방을 통해 연구자들은 심사평가원의 국가 단위 데이터와 의료기관의 임상데이터 및 다국가 보유 데이터까지 연계한 연구가 가능해 질 것”이라고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은 EGFR 유전자 변이 중 세 번째의 유병률을 보이며, 전체 EGFR 변이의 약 12%를 차지한다. 그러나 그간 승인된 치료제가 없었고, EGFR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 이하 TKI)와 같은 기존 표적 치료제에 제한적인 효능을 보여 환자들의 예후가 좋지 않았다. 때문에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생존율 개선을 위해 보다 효과적이고 내약성 높은 표적 치료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됐는데, ‘리브리반트’의 등장으로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부재한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한국얀센이 출시한 리브리반트TM주 (성분명 아미반타맙)는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승인된 최초의 완전 인간유래 이중특이적 항체다. 백금 기반 화학요법 치료 중 또는 치료 이후 질병이 진행된 EGFR 엑손 20 삽입 변이가 있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를 적응증으로 허가됐다. 리브리반트는 활성 및 저항성 EGFR 변이와 MET 변이 및 증폭을 보이는 종양세포를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병원장 이정재)은 6월 25일(토) 오후 1시30분부터 제10회 순천향 무수혈 및 환자혈액관리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온라인으로 개최하는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코로나 후유증 및 호흡기질환관리(김신애 이비인후과 교수), ▲급성 간부전(장영 소화기내과 교수), ▲무수혈 산모 빈혈관리 및 출산 전 준비(오정원 산부인과 교수), ▲위장관 출혈의 무수혈치료? 예방이 최선(박준석 소화기내과 교수), ▲진행성 두경부암 환자의 치료(변형권 이비인후과 교수), ▲정형외과적 수술 전후 무수혈 환자혈액관리(서기원 정형외과 교수)를 주제로 발표와 질의응답을 진행할 예정이다. 박선영 무수혈 및 환자혈액관리 센터장(마취통증의학과 교수)은 “20년 이상 무수혈 및 환자혈액관리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경험과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자 심포지엄을 준비했다”며 “관심 있는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사전 등록 방법 및 행사와 관련된 궁금한 내용은 02)709-9924 또는 musu9924@naver.com으로 문의하면 된다.
서울특별시 장애인치과병원 서병무(서울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병원장이 지난 9일 포스트타워에서 개최된 ‘제77회 구강보건의 날’ 기념식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보건복지부는 매년 구강보건의 날을 기념하여 국민의 구강건강에 기여한 유공자를 선정하여 표창을 수여해 왔다. 서울특별시 장애인치과병원은 2008년 4월부터 서울대치과병원에서 수탁운영을 시작하여 소외계층인 장애인 환자에게 포괄적 치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공공의료의 접근도를 높여왔다. 서병무 병원장은 제77회 구강보건의 날을 맞이하여 장애인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노력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교수로서 학술 및 연구 활동에 이바지한 공을 인정받았다. 또한 20년간 10개 국가에 구순구개열 수술을 시행하는 해외 의료봉사 활동을 통해 해당 국가의 어려운 환자들에게 새로운 삶의 기회를 제공하였고 현지 의료진과의 교류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와의 우호 증진에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서병무 병원장은 “서울특별시 장애인치과병원과 여러 학회 및 단체에서 그간 활동한 공로로 이번에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여하게 되었는데, 추천해주신 대한치과병원협회에 감사드린다”라며, “앞으로도 장애인의 구강건강과 치
결핵균 감염 이후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결핵이 악화돼 중증 결핵으로 진행되는 면역학적 기전과 원인이 밝혀졌다. 이번 연구로 결핵 환자의 치료와 차세대 결핵백신 개발의 기반과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신성재·권기웅 교수와 연세대 생명시스템대학 하상준·이인석 교수·강태건 박사 연구팀은 13일 마우스모델을 통해 결핵 감염 이후 바이러스 감염으로 중증 결핵으로 진행되는 면역학적 기전과 핵심인자를 밝혔다. 이를 통해 결핵 악화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과 원리를 제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IF 14.919)’ 최신호에 게재됐다. 결핵은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말라리아와 함께 WHO(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3대 감염질환 중 가장 심각한 감염병이다. 현재까지 전 세계 인구 중 약 20억명이 결핵균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과거에 비해 결핵 유병률이 많이 하락하고 있지만 2021년 결핵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 결핵 환자 중 활동성 결핵 환자는 심각한 폐 병
㈜헬릭스미스가 14일부터 4일간 진행되는 ‘제12회 국제의약품·바이오산업전’에 참가한다. 이번 행사에서 헬릭스미스는 세포유전자치료제 GMP 생산시설 CGT Plant(Cell & Gene Therapy Plant)의 우수성과 차별성을 소개하고 파트너십을 모색할 예정이다. 국제의약품·바이오산업전은 경연전람이 주최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후원하는 의약품 분야의 대표 행사다. 경기도 킨텍스에서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 헬릭스미스는 부스를 운영, 자사의 CDMO 사업, 원료사업, 건강기능식품 사업 등을 전반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바이오 의약 개발 기업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 설립한 세포유전자치료제 전문 생산 시설 CGT Plant에 대해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CGT Plant는 첨단바이오의약품 GMP(우수제조관리기준) 기준에 부합하는 운영 및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다. 기업들이 원하는 세포유전자치료제를 신속하게 제조해 주고, 생산된 의약품에 대해 철저한 분석을 실시해 제품의 품질을 확인해 주는 등 글로벌 수준의 고품질 임상시료를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CGT Plant의 가장 큰 특징은 제조
2022년 1분기 매출 상위 30개 국내 제약사들의 매출원가율이 2021년 1분기 대비 소폭 확대됐다. 세부적으로는 30개 제약사 중 20개 제약사들의 매출원가율이 늘고, 10개 제약사의 매출원가율은 감소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상위 30개 제약사들의 1분기 총 매출원가는 총 2조 5310억원으로 확인돼 전년 동기인 2021년 1분기의 2조 1965억원보다 15.2% 증가했다. 매출원가율은 61.6%에서 63.1%로 2.5%p 확대됐다. 녹십자는 매출은 가장 높았지만 매출원가율은 오히려 감소했다. 전년 동기 1897억원에서 이번 분기 2715억원으로 63.1% 늘었다. 그러나 매출원가율은 67.2%에서 65.1%로 3.1%p 감소했다. 유한양행은 반대로 매출원가의 증가율은 비교적 낮지만 매출원가율은 높은 비중을 보였다. 매출원가는 2533억원에서 2949억원으로 16.4% 증가했으며 매출원가율은 66.8%에서 71.8%로 7.4%p 확대됐다. 종근당의 매출원가는 2021년 1분기 3119억원, 2022년 1분기 2160억원으로 8.6% 늘었다. 매출원가율은 63.8%에서 63.3%로 0.8%p 감소했다. 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흘 연속 1만명 아래로, 위중증 환자는 14개월만에 100명 아래로 발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6월 12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98명, 사망자는 2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4371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304명, 해외유입 사례는 78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738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22만 5460명(해외유입 3만 3355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은 6월 12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313명, 2차접종자 1640명, 3차접종자 1546명, 4차접종자 5503명으로, 누적수치로는 1차접종자는 4506만 612명, 2차접종자는 4460만 9864명, 3차접종자는 3333만 5934명, 4차접종자수는 425만 7985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흘만에 1만명 아래로 집계됐다. 금요일 기준으로는 20주 만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6월 10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07명, 사망자는 1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4341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281명, 해외유입 사례는 34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9315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20만 9650명(해외유입 3만 3213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은 6월 10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373명, 2차접종자 1258명, 3차접종자 2834명, 4차접종자 1만 4106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5만 9332명, 2차접종자수는 4460만 3478명, 3차접종자수는 3332만 9478명, 4차접종자수는 422만 5652명이라고 밝혔다.
(롬복, 인도네시아 2022년 6월 9일 PRNewswire=모던뉴스) 제2회 Health Working Group(HWG) 회의는 전 세계 지도자들을 한자리에 모아 미래의 팬데믹에 대비한 새로운 국제 긴급 펀드를 조성하고, 게놈 배열 데이터의 더욱 활발한 공유뿐만 아니라, 세계은행 하에 Financing Intermediary Fund(FIF) 기능이 미래 팬데믹에 어떻게 대비하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인도네시아 보건부가 제2회 Health Working Group(제2회 HWG)에서 글로벌 보건시스템의 회복탄력성에 대해 논의했다 인도네시아 보건부 장관 Budi Gunadi Sadikin은 G20 회원국을 대상으로 "팬데믹을 관리하면서 중요한 교훈을 얻어야 할 것"이라고 장려했다. 인도네시아 서누사틍가라주 롬복에서 열린 이번 회의에서, Budi Gunadi Sadikin 장관은 &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