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0,404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오스테오닉이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액 278억원, 영업이익 46.3억원, 당기순이익 12.5억원을 달성한 잠정실적을 5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40.1% 성장했으며, 영업이익은 83.2% 증가한 사상최대 실적이다. 4분기 실적은 매출액 80.4억원으로 분기 사상최대 실적을 달성했으며, 영업이익은 20.6억원을 기록했다. 오스테오닉의 이 같은 호실적은 주력 제품군인 ‘스포츠메디신(Sports Medicine, 관절인대)’, ‘CMF(머리 및 얼굴 전체)’, ‘트라우마(Trauma, 수족·팔다리·쇄골 등)’ 제품군의 성장이 견인했다. 회사 전체 수출 실적은 2022년 대비 45.9% 증가했으며, 국내 매출은 36.1% 성장한 실적이다. ‘스포츠메디신’ 제품군의 경우 83.1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2022년 대비 74.0% 성장했으며, ‘트라우마’ 제품군은 28.2%, ‘CMF’ 제품군은 24.4% 성장을 기록했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작년에 세계 2위 정형외과 의료기기 기업 ‘짐머 바이오메트(Zimmer Biomet)’와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비 브라운(B.Braun)’에 글로벌 OEM, ODM 제품 공급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중대재해처벌법이 1월 27일부터 전면 시행됐다. 중대재해처벌법이란 안전확보 의무 등 조치를 소홀히 하여 중대한 산업재해나 시민재해가 일어나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사업주나 경영책임자를 처벌하는 법률이다. 본 회는 환자 안전과 건강에 대한 다양한 규제와 처벌 조항이 기존에 있기에 이를 이중으로 처벌할 소지가 있는 본 법안의 시행에 대하여 강력한 우려를 한다.중대재해처벌법령에 의하면 중대재해를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로 구분하고, ‘중대산업재해’란 사망자가 발생하거나 전치 6개월 이상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하는 경우, 직업성 질병자가 1년내 3명 이상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의미한다. 이에 해당하는 의료 현장에서의 재해는 보건의료 종사자에게 발생한 B형 간염, C형 간염, 매독 또는 후천성면역결핍증의 혈액전파성 질병이 포함된다. ‘중대시민재해’란 공중이용시설의 설계, 제조, 설치, 관리상의 결함을 원인으로 하여 발생한 재해를 의미하며, 공중이용시설에는 연면적 약 600평 이상, 병상 수 100개 이상인 의료기관이 포함돼 위의 조건에 해당하는 의료기관에서는 환자나 보호자가 재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하게 된다.대형의료기관은 물론이고 중소 병·의원도 중대
난임 인공지능 솔루션 스타트업 ‘카이헬스’가 프리 시리즈 A(Pre-Series 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이번 투자에는 IMM 인베스트먼트와 SBVA(전 소프트뱅크 벤처스)가 신규 투자자로, 기존 투자자인 스마일게이트 인베스트먼트와 트랜스링크 인베스트먼트가 함께 참여했다.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비공개다. 카이헬스는 이번 투자 유치를 계기로 주력 솔루션인 ‘비타 엠브리오’의 글로벌 진출에 집중할 계획이다. 난임 부부를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카이헬스는 난임 부부가 시험관 시술 과정에서 최상의 배아를 골라 임신률을 높일 수 있는 난임 인공지능(AI) 솔루션, ‘비타 엠브리오’를 개발, 지난해 유럽 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했다. 난임 전문 산부인과 의사 출신인 카이헬스 이혜준 대표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서는 아기를 낳기를 절실히 원하는 난임부부를 돕는 일이 제일 효과적“ 이라며, “이번 투자를 통해 식약처 인증을 획득하고 글로벌 진출을 적극 추진해 더 많은 난임부부가 건강한 아기를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싶다”고 밝혔다.산부인과 의사 출신의 IMM 인베스트먼트 문여정 전무는 “출산연령이 높아지고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난임 치료의 필요성은
최근 ‘소아 마크로라이드 불응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치료지침’이 마련됐으며, 2월 의료진을 대상으로 교육에 들어간다. 이번에 마련된 치료지침은 최근 소아를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대응을 위해 마련됐으며,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 ‘마크로라이드’에 내성이 생겼을 때에 대해 대응하는 방법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가 이뤄져 의료진들이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돼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에 메디포뉴스에서는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김현희 이사장(가톨릭의대 의정부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과 양현종 총무이사(순천향의대 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를 만나 이번에 마련된 ‘소아 마크로라이드 불응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치료지침’과 관련해 이전 치료지침 대비 어떠한 점들이 개선됐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Q. ‘소아 마크로라이드 불응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치료지침 개정판’이 마련됐습니다. 이에 대한 소감과 의의 부탁드립니다. A. [양현종 총무이사]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중국발 폐렴 또는 과장과 공포가 섞여 괴질이라는 오해가 있는데요. 사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년 동안 매 3~5년 주기로 계속 유행을 해왔던
2024년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받은 의약품 수가 적은 것으로 가운데, 일반의약품의 허가 건수가 전문의약품 허가 건수보다 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의 의약품안전나라를 통해 지난 1월의 의약품 품목 허가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달 총 의약품 허가 건수는 86건이었으며, 이 중 일반의약품이 44개 품목, 전문의약품이 42개 품목 허가를 받았다. 전문의약품 중 가장 많은 허가를 획득한 제약사는 경동제약으로, 4건 모두 당뇨약이었다. ‘픽토진정 (성분명 다파글리플로진, 피오글리타존)’이 10/15mg과 10/30mg을, ‘리타메진서방정(성분명 리나글립틴, 메트포르민)’이 5/1000mg과 2.5/1000mg을 허가받았다. 또 현대약품과 제일약품은 3건씩 허가를 취득했다. 제일약품이 허가받은 약품들은 경동제약과 마찬가지로 당뇨약이었다. ‘듀글로우정(성분명 다파글리플로진, 피오글리타존)’이 10/30mg을, ‘리나틴플러스엑스알정(성분명 리나글립틴, 메트포르민)’이 5/1000mg과 2.5/1000mg에 대해 허가를 받았다. 현대약품에서는 콜린알포세레이트 제제의 대체제로 꼽히는 ‘니세린정(성분명 니세르골린)’ 30mg이, 항정신병약 ‘아빌라핀정(
간암의 날을 맞아 간암 조기진단 및 생존율 향상에 큰 기여를 하는 간암 검진에 대해 국가와 학회 차원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나왔다. 간암의 날로 국민과 환자들에게 간암 검진의 중요성을 알리고, 보다 나은 치료경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통해 국가의 사회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 대한간암학회가 2017년 2월 2일 처음으로 지정했다. 지난 2일 제8회 ‘간암의 날’을 기념해 대한간암학회는 기념식을 개최하고, ‘간암 조기진단을 위한 국가검진 현황과 개선점’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주제발표는 김성은 대한간암학회 김성은 기획위원이 맡았다. 간암은 발생률과 중증도가 높아 암 사망률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사회적 경제적 생산성이 높은 중년에 주로 발생하는 만큼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질환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진단 당시 병기에 따라 다양한 예후를 보이는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 만큼 검진을 통한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특히 김 위원은 “간암은 중증도가 높아 암 사망률 중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황달, 복수, 간성 혼수, 정맥류 출혈 등 증상이 발생된 상태로 내원하게 되면 이미 간암이 진행된 상태로 진단되는데, 이 경우 기대 여명은 길지
워싱턴, 2024년 2월 3일 /PRNewswire/ -- 전미생물의료연구협회(NABR)는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유수의 과학자들과의 협력 하에 오늘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긴꼬리마카크원숭이(Macaca fascicularis)를 IUCN 등재 기준에 따라 "멸종위기" 또는 "취약" 동물로 지정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확대 청원서를 제출했다. 2023년 10월 12일, IUCN 표준 및 청원 위원회는 IUCN이 2022년 긴꼬리마카크원숭이를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한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NABR의 초기 청원을 받아들였다. 2023년 9월 11일 IUCN에 제출된 NABR의 초기 청원은 멸종위기 등재에 대한 근본적인 과학적 정당성이 "편향적"이고 "이용 가능한 최고의 과학적 정보에 근거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2022년 7월 이전 긴꼬리마카크원숭이는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지정되었다. 2022년 IUCN은 Hansen et al.(2022)1이 발표한 과학적 검토 자료를 근거로 자신의 지정을
-- 다양한 의료용 TPU 선보이며 대규모 R&D 역량 공개할 계획 신주 2024년 2월 2일 /PRNewswire=연합뉴스/ -- 아시아 최초의 의료 등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공급업체인 ICP DAS – BMP가 미국에서 열리는 MD&M West 박람회에 처음으로 참가한다. 2024년 새해 시작과 함께 의료 업계 최고 전문가들과 수천 개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고품질 의료 등급 TPU 시리즈를 선보일 예정이다. Extensive R&D Capabilities:ICP DAS – BMP to Showcase a Full Range of Medical-Grade TPU at MD&M West 2024, U.S. 박람회에서는 Alithane™(ALP 시리즈), Durathane™(ALC 시리즈), Arothane™(ARP 시리즈) 제품군이 소개된다. 각 TPU 시리즈는 방사선 비투과성 필러(텅스텐/황산바륨)의&n
보건·의료·복지 정책에 청년의 의견 반영을 위한 자문단이 꾸려졌다. 보건복지부는 2일 서울시티타워에서 2024 제2기 보건복지부 2030 자문단 발대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청년의 국정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지난해 9개 부처를 대상으로 청년보좌역과 2030 자문단 제도를 도입했고, 올해는 24개 장관급 중앙행정기관 전체로 확대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손윤희 청년보좌역(33세)을 자문단장으로 제1기 자문단을 구성해 운영해왔다. 특히, 저출산·연금 등 청년세대의 관심이 많은 보건복지 현안에 대해 자문단원들과 활발히 소통하였으며, 자문단은 청년들의 생생한 아이디어를 정책에 반영하는 공식창구로서 자리매김했다. 올해는 손윤희 청년보좌역을 단장, 박정재 청년보좌역(29세)을 부단장으로 하여 신규 단원 5인을 추가로 선발해 20명의 단원들이 제2기 자문단 활동을 이어간다. 또한, 이날 발대식에서는 자문단의 보건복지 정책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주요 정책 교육에 이어, 청년보좌역 주재로 24년도 한 해 자문단 운영계획 및 분과별 브랜드 과제 논의가 이루어졌다. 앞으로 자문단은 3대 분과(인구·사회복지·보건의료)별로 하나의 연간 브랜드 과제를 선정해 담당부서와
-- 대만 의료 역사상 최초로 내시경 유방 확대 수술 국제 시연 및 교육 개최 타이중 2024년 1월 31일 /PRNewswire=연합뉴스/ -- Virtue Cosmetic Surgery Clinic는 대만 의료 역사상 최초로 내시경 유방 확대 수술을 전 세계에 시연하고 교육하는 행사를 가졌다. Virtue Cosmetic Surgery Clinic의 설립자인 Kuo-Hui Yang 박사는 이 획기적인 행사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Dr. Yang, dressed in a white gown, stands in the center, while Dr. Chiu stands as the first person on the left side. 2024년 1월 28일, 대만 타이중 중심가에 위치한 Yang 박사의 병원에서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행사가 마무리되었다. 2004년에 설립된 Virtue Cosmetic Surgery Clinic은 20년 동안 운영해 왔다. Yang 박사는 대만에서 내시경 유방확대술 전문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제13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가 해외를 선도하는 학회로 거듭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질평가나 수가 정상화 등 국내 소화기내시경 환경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기 위해 함을 쏟고 있다.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이사장 박종재, 고대구로병원 소화기내과)가 1일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신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기자간담회는 ‘학회의 국제화, 미래를 향한 도약’을 주제로 설명하는 시간으로 준비됐다. 최근 학회는 △국가 조기암 검진사업 내시경 질평가 △내시경검사 관련 수가 정상화 △미래 준비 △연구 활성화 등에 매진하고 있다. 이 날 발표를 맡은 이범재 총무기획이사는 최근 소화기내시경 분야에서 여의사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여의사 특임 부회장직을 신설해 여의사 교육, 멘토링 등 학문적, 진료 참여 등을 위해 적극적인 기회를 마련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뿐만 아니라 최근 역동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는 인니,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와 학문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진료‧연구적 측면에 공헌해 제약‧의료기기 산업계와 함께 성장하겠다는 계획을 전했다. 아울러 이 총무기획이사는 “연구관리 TF 신설을 통해 체계적으로 연구비를 마련하고 관리함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융합연구원이 개원식과 AI 혁신 포럼을 잇따라 개최하며 공식 출범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1월 31일 AI신약융합연구원 개원식을 진행했다. 현판식에는 협회 노연홍 회장, 윤웅섭 차기 이사장, 김화종 연구원장, 김우연 부원장, 한태동 AI신약개발전문위원회 위원장(동아ST 상무), 김이랑 AI신약개발협의회 회장(온코크로스 대표) 등이 참석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개원식에 이어 ‘2024 제약바이오 AI 혁신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김화종 원장은 AI신약융합연구원의 비전은 “디지털 융합연구를 공동으로 기획하고 수행하는 연구 허브”라고 밝히고 이를 위해 연구개발 허브, AI 교육 및 기술지원, 디지털 전환 지원, 정책연구 및 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우연 부원장은 AI 신약개발 인재양성교육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AI신약융합연구원을 설립 기반 교육혁신 2.0 수립을 통해 AI 혁신과 융합연구를 촉진할 실무형 고급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황재성 융합연구팀장은 “AI 신약개발 시장에 대한 제대로 된 조사보고서가 없고 해외 시장조사기관의 한국 시장 자료에는 오류가 많다”며 “AI 신약개발 성
에피바이오텍 (대표 성종혁)(코넥스 446440)의 연구소에서는 탈모 항체치료제 EPI-005에 관한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 ‘CXCL12 Neutralizing Antibody Promotes Hair Growth in Androgenic Alopecia and Alopecia Areata’이 SCI급 국제 학술지인 국제 분자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피인용지수 5.6)에 게재됐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탈모 치료를 위한 새로운 타겟 단백질을 제시했다. 연구를 통해 CXCL12/CXCR4 경로가 탈모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고, 안드로겐이 섬유아세포에서 CXCL12 분비를 증가시키고 모낭 손상을 유발하는 경로를 밝혔으며, 남성형 탈모 모델에서 효능을 입증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정매 박사는 “EPI-005는 안드로겐성 탈모뿐 아니라 원형 탈모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효능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존의 매일 투여해야 하는 탈모치료제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남성 호르몬 조절 기전이 아니므로 여성 환자에게도 사용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대표 크리스토프 하만)는 지난달 25일부터 27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2024 미국임상종양학회 비뇨생식기암 심포지엄(ASCO GU,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Genitourinary Cancers Symposium)에서 자사의 PD-L1 면역항암제 ‘바벤시오(성분명 아벨루맙)’에 대한 최신 리얼월드 데이터가 발표됐다고 1일 밝혔다. 해당 데이터는 1차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 이후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 환자의 표준치료법으로서 바벤시오 유지요법을 실시하는 JAVELIN Bladder 연구 내용을 한층 더 보강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1차 항암화학요법 이후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환자에서 전체생존기간 중간값이 약 30개월을 기록한 리얼월드 데이터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 쌓인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포함됐다. ◆바벤시오 1차 유지요법 후 ADC로 이어지는 치료 전략, 전체생존기간 중앙값 약 40개월까지 도달해 리얼월드 전향 및 후향적 연구인 AVENANCE 연구에 따르면 바벤시오 치료 시작 이후 26.3개월의 중간추적조사 결과,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 시작 이
한국다케다제약(대표 문희석)은 이 달 1일부터 성인 후천성 혈우병 A 치료제 오비주르주(성분명: 서스옥토코그알파)의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다고 밝혔다. 오비주르주는 성인 후천성 혈우병 A 치료를 위한 국내 유일 혈액응고8인자 치료제로, 지난해 3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 후 1년 만에 빠르게 급여에 등재됐다. 국내에서 성인 후천성 혈우병 A는 연간 100만 명 당 약 1명 꼴로 드물게 발생하는 희귀 혈액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2021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된 이후 1년여 만에 식약처 허가를 받고 1년 뒤 건강보험 급여 적용까지 이루어져 환자들의 치료제 접근성을 높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급여 고시에 따르면 오비주르주는 성인 후천성 혈우병 A 환자의 출혈 치료에서 ▲항체 역가 5BU (Bethesda unit) 초과인 경우, ▲항체 역가 5BU이하인 환자가 항혈우인자를 고용량 투여한 후에도 반응이 없는 경우, ▲최근에 항체 역가 5BU 이하인 환자가 항혈우인자를 고용량 투여해도 반응이 없어 오비주르주에 효과가 있었던 경우에 보험 급여가 적용된다. 성인 후천성 혈우병 A 는 혈액응고 8인자에 대한 자가 면역 항체가 발생하여 출혈 관련 합병증이 생기
6개월로 약제내성결핵 치료기간 단축한 개정 내용을 담고 있는 ‘결핵 진료지침’이 발간됐다. 질병관리청은 결핵 진료를 수행하는 의료인과 보건의료 종사자를 위한 ‘결핵 진료지침(5판)’을 발간했다고 31일 밝혔다. 본 지침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가 주관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결핵 진료지침 개정위원회를 통해 개정됐으며, 공청회 개최와 관련 학회·협회로부터 폭넓게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거치며 진행됐다. 이번 개정 지침에서는 약제내성 결핵의 신속한 진단을 강조하며, 국내·외 연구결과를 근거로 ▲감수성 결핵 ▲내성 결핵 ▲잠복결핵 감염 표준치료법을 변경했다. 특히, 약제내성결핵의 치료에서 세계보건기구(WHO)의 지침과 국내 연구 결과에 따라 프레토마니드(신약) 등을 사용한 단기 요법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권고해, 약제내성결핵(리팜핀 내성/다제내성 결핵)의 치료 기간을 18~20개월에서 6개월 또는 9개월로 단축했다. 아울러 현행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은 개정 권고된 단기치료 요법의 적용에 제한점이 있어, ‘제3차 결핵관리 종합계획’에 따라 보건복지부·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함께 신약의 급여기준 개선도 추진하고 있다. 최재철 결핵 진료지침 개정위
림프종 환자 대상 국산 CAR-T 응용 치료제 임상연구가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에서 적합 판정을 받았다. 보건복지부는 1월 31일 2024년 제1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의위원회 회의에서는 제1기 심의위원회(’20.11 ~ ’23.11)의 임기가 만료돼 올해 새로 위촉·구성된 제2기 심의위원회(’24.1 ~ ’27.1)가 처음으로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계획 심의에 착수했다. 심의위원회에서는 ▲고려대 안암병원 ▲서울아산병원 ▲순천향대 서울병원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등의 임상연구계획(고위험 1건, 중위험 1건, 저위험 2건) 심의를 진행했으며, 총 4건의 심의안건 중 1건은 적합 의결했으며, 2건은 부적합 의결을 내렸고, 1건은 재심의를 결정했다. 적합 의결된 과제는 재발성‧불응성 원발(Primary) 중추신경계 림프종 또는 2차(Secondary) 중추신경계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CAR-T(Chimeric Antigen Receptor T-cell) 활성이 극대화되도록 유전자를 주입해 개발한 국산 CD19-CAR-T 치료제(Anbalcabtagene autoleucel)를 이용해 치료하는 탐색적 고위험 임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김동익 교수(삼성서울병원 혈관외과)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시행하는 ‘산업기술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 노화역전’ 분야의 연구책임자로 최종 선정됐다. ‘알키미스트 프로젝트’는 10 ~ 20년 후 산업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경제·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도전·혁신 연구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성균관대학교는 국내 13개 전문 연구팀이 ‘산업기술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 노화역전’의 선정을 위해 2022년부터 2023년 12월까지 2년 동안 경쟁한 결과, 김동익 교수 연구팀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김 교수팀은 2028년까지 향후 5년간 총 200억원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인류의 난제 중 하나인 ‘노화역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며, 앞으로 ▲노화역전을 유도하는 약물과 노화진단 및 노화역전 치료 효과 판정 키트 ▲생물학적나이 측정 프로그램(BACP) 등을 개발해 노화역전 분야에서 세계 최초·최고 기술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김 교수는 “노화연구는 특정 질환을 대상으로 하기 보다는 인체 전반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며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는 적혈구의 노화역전이 전신세포의 균형 잡힌 노화역전을 유도할 수 있는 열쇠가
엄마가 젊은 나이에 유방암으로 진단되더라도 자녀들의 정서 발달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은 유방외과 김희정 교수와 소아정신건강의학과 김효원 교수 연구팀이 20세부터 45세까지 젊은 유방암으로 진단된 환자 499명의 12세 미만 어린 자녀들에게 행동평가척도(CBCL) 검사를 실시했다고 31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서 발달 정도가 정상 범위에 있는 아이들이 87%로 일반 아이들에 비해 오히려 3%가 높아 유방암 진단이 자녀 정서 발달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행동평가척도 검사는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 적응 및 정서 · 행동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신뢰도 높은 검사 방법이다. 불안, 우울, 규칙위반성, 공격행동성 등을 전체적으로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행동평가척도 검사 결과 수검자 중 84% 정도가 정상 범위에 속하고, 나머지 중 8%는 임상적으로 치료가 필요한 수준이다. 젊은 유방암 환자들은 자신 때문에 어린 자녀들의 정서 발달에 영향이 있지는 않을지 걱정을 많이 하는데, 걱정과 다르게 행동평가척도 검사 결과 정상 범위 해당하는 점수를 받은 자녀들이 87%에 달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는
최근 10년간(2014~2023)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현원이 536명 감소하며, 필수과목 중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은 보건복지부를 통해 제출받은 과목별 전공의 1~4년차 현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2014년 840명이었던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현원은 2023년 304명으로 536명 감소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571명 → 228명’으로 343명 감소하며, 전공의 수가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영남권 105명 ▲호남권 50명 ▲충청권 29명 ▲ 강원권 7명 ▲제주권 2명 순으로 감소했다. 또한, 6개 전체 전공과목의 전공의 현원을 살펴보면, 최근 10년간 전국의 전공의는 1만2891명에서 1만273명으로 20.3%(2618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필수과 전공의는 2543명에서 1933명으로 24.0%(610명) 줄었고, 인기과목은 2014년 3945명에서 2023년 3362명으로 14.8%(583명) 감소했다. 다만, 인기과목의 전공의 현원 감소는 정부의 모집 정원 조정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필수과 비수도권 전공의가 2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