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0,51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유유가 최근 고령화의 진전과 식생활 습관 변화 등의 덕을 톡톡히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유의 경우, 고령화와 밀접하게 관련된 혈액순환개선제, 항혈전제, 골다공증치료제 등의 주력제품이 전체 매출액의 73.7%를 차지할 정도다. 또한 대부분의 제약회사가 100품목 이상의 의약품을 취급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유유는 의약분업 이후 마진이 낮은 품목을 점진적으로 정리해 거대품목 중심의 영업전략을 펼치고 있다. 유유의 현재 유통 제품은 총 74개로 의약분업 전보다 30% 줄었다. 주요 제품별 매출구성은 혈액순환개선제 타나민이 40.6%, 항혈전제 크리드 16.7%, 골다공증치료제 마빌 및 본키 19%, 기타 약효군이 23%다. 약효군별 매출액영업이익률은 항혈전제 크리드와 맥스마빌, 마빌, 본키 등 골다공증치료제가 각각 41%, 33%이고, 혈액순환개선제 타나민은 26% 수준이다. 국내의 경우, 2000년에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OECD국가 중에서 고령화속도가 가장 빠르다. 주요 OECD국가들의 평균 고령화 속도는 67.4년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18년에 불과하고, 초고령사
노인수발보험제도를 도입해도 여전히 부양가족은 가족의 경제적 부담은 높아, 서민들에게는 ‘그림의 떡’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5일 장기요양보장제도 쟁취를 위한 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장기요양보험법(가칭)이 국민의 부담만 증가시키고 부양부담은 전혀 덜어주기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수발서비스를 받더라도 20%에 이르는 본인부담금을 고려할 때, 최소 50~60만원의 부담액이 발생한다. 즉, 보험료를 부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의 경제적∙정신적 부담은 계속 된다는 것이다. 연대회의는 “노인수발보험은 높은 본인부담금을 낼 수 있는 고소득자들만 이용하고 시민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라며 “매달 건강보험료과 함께 수발보험료를 납부하지만 필요할 때 돈이 없어서 이용할 수 없는 현실이 나타날까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실제 일본의 경우 본인부담률이 10%이만 경제적인 사유로 등급인정을 받고도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이 20%에 달해 월 한도액의 40% 수준만을 이용하는 과소비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연대회의를 전했다. 따라서 연대회의는
동아제약(대표이사 회장 강신호)은 창립 74주년을 맞아 11월 29일 오전, 동아제약 본관 강당에서 강신호 회장과 임직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74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근속상 및 공로상 등 회사발전에 기여한 임직원에 대한 정기포상이 함께 실시되었다.
이날 강신호 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스티렌과 자이데나 등 자기제품 개발을 통해 전문의약품 시장에서도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갖게 되었다”고 자축하고, 임직원들에게 “차세대 성장동력제품 개발을 통한 새로운 도약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정기포상을 통해서는 천안지점 강신조 차장 외 7명이 30년 근속상을, OTC사업부 최두현 부장 외 27명이 20년 근속상을, 병원 1부 김범호 과장 외 71명이 10년 근속상을 수상했으며, 구매팀이 단체 공로상을, 영업본부 정재훈 과장 외 15명이 개인공로상을, 상갈공장 김경원 사원이 최우수제안상을 수상했다.
&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의료정책연구소장)는 의약품 재분류에 관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의약품 재분류의 기본틀을 제안한다’는 주제로 12월 7일 오후 의협 동아홀에서 제21차 의료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날 포럼에서는 김헌식 충북의대 약리학 교수의 ‘의약품 재분류의 기본틀을 제안한다’ 주제발표에 이어 각계 관계자들의 지정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포럼은 최근 정부가 일반의약품 복합제를 건강보험 급여에서 제외하고 일반의약품 단일제의 비급여화를 추진하는데 따라 바람직한 의약품 분류 방향을 제시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양기화 의료정책연구소 연구조정실장은 “건강보험제도의 근본목적과 의약분업의 취지를 훼손하고 특히 오남용 우려가 큰 일반의약품 관리도 문제가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바람직한 의약품 재분류의 기본틀 마련을 위해 이번 포럼을 개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제21차 의료정책포럼 프로그램.
최근 미국을 비롯한 유럽 등에서 세계 상위 제약사들의 특허시비와 신약허가 등 굵직 굵직한 뉴스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어 전세계 제약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최근 미국 법정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AZ)의 Toprol-XL에 대한 특허권 2건이 무효화되어 2010년 시판 예정인 2개 신약인 허혈성 뇌졸중치료제 Cerovive(disufenton) 와 당뇨병치료제 Galida(tesaglitazar)가 제네릭 제품의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또 수많은 제네릭 제품으로 도전에 직면한 화이자는 이번 주에 제네릭 경쟁회사인 Teva사와 계약에 돌입하여 윈-윈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릴리 제약은 EU에서 Byetta에 대한 허가를 취득하여 미국 밖에서 최초로 시판하게 되었고 2007년에는 일본, 인도를 포함하여 25-30개 국가에서 허가취득이 예정되고 있다. 존슨 앤 존슨은 항 독점법 소송에 직면했다. 만약 암젠 사를 상대로 가처분 신청한 Aranesp에 대해 연방정부 법정에서 기각될 경우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 될 것으로 보인다. 머크 사는 지난 주 뉴올리언스에서
미국 텍사스대 부속 MD앤더슨 암 센터의 존 멘델손 원장이 27일 연세대에서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동안 연세의료원 암센터 건립을 위해 조언과 협력을 아끼지 않은 공로. 멘델손 원장은 삼성 이건희 회장 등 국내 정·재계 인사들이 치료를 받은 것으로도 유명한 병원을 미국 최고의 암 센터로 키운 사람이다. 또 20년 넘는 연구 끝에 암 세포만 골라 죽이는 ‘표적 치료’의 개념을 도입, 새 항암제를 개발한 최고의 암 전문의이기도 하다. 1996년 그가 원장으로 취임한 이후 MD앤더슨 암센터는 6년 동안 4번이나 미국 최고의 암센터로 평가받았다. 그는 “앞으로 한국인에게 특히 많은 간암과 위암 극복을 위해 한국과 MD앤더슨이 더 활발히 공동 연구를 하도록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3분기 다빈도 상병의 순위는 입원에서 치질, 외래에서 본태성 고혈압이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배포한 ‘2006년 3분기 건강보험통계지표’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다빈도 상병 순위별 현황 중 입원 부문을 살펴보면, 치질이 17만2239건을 기록해 요지부동인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전년 동기에 3위였던 노년 백내장이 올해 3분기에는 15만8500건을 기록해 2위로 뛰어 올랐으며 단일자연분만은 15만5858건으로 2642건 차이로 3위를 차지했다. 4위는 상세불명병원체의 폐렴(12만7026건), 5위는 뇌경색증(10만7459건) 등이 차지했으며 제왕절개에 의한 단일분만(10만1239건), 감염성기원으로 추정되는 설사 및 위장염(8만4774건), 기타추간판장애(8만2997건), 위의 악성신생물(7만3656건)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중 위의 악성신생물이 지난해 11위에서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해 눈길을 끌었다. 요양급여비용 증가율을 살펴보면 상세불명병원체의 폐렴이 전년 동기에 비해 30.7%가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
올 하반기 제약분야 대졸 초임 연봉은 평균 3086만원으로 대기업 평균 초임 3088만원과 근사치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년 경기 축소로 제약 분야 신규채용 계획이 줄어 220여명으로 축소될 전망이다.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구직자 1,553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취업 10대 뉴스’를 설문 조사해 28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21.3%가 ‘대기업 취업 족집게 과외 열풍’이라고 응답해 1위로 나타났다. ‘하반기 취업경쟁률 평균 92대1’은 16.7%로 2위를 차지했다. ‘신이 내린 직장 금융업, 연봉도 최고’ 13.8%, ‘채용면접 ‘이색 황당 질문’ 백태’ 12.4%, ‘각종 취업박람회 및 이색 취업지원 행사 풍성’은 9.8%를 기록했다. 이어 ‘구직자 10명 중 4명, ‘불완전 취업자’ 7.4%, ‘내년 기업채용 축소 전망’ 7.0%, ‘청년 실업률, 7년 만에 최악’ 5.5%, ‘노인구직자, ‘5명 중 2명은 대졸 이상’’ 3.6%, ‘대기업 인재상 키워드 1위는 ‘창의(創意)’’ 2.5% 순이었다. ‘2006년 하반기 취업 10대 뉴스’로 선정된 항목들을 커리어의
대장 무기력증으로 인해 만성 변비를 앓고 있는 환자에게 대장 전절제술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항병원 도재태 연구팀은 대한대장항문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대장 무기력증으로 인한 만성변비환자에서의 대장 전절제술의 결과’를 주제로 한 연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1998년 4월부터 2006년 7월까지 대장 무기력증으로 진단 받고 대장 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배변회수, 배변시간, 하제나 지사제 복용여부, 변실금 유무, 환자의 만족도와 합병증 등을 전화조사했다. 조사 대상자는 모두 여자 환자로, 평균 나이는 46.3세(21~71세), 수술은 개복술과 복강경이 각각 12예, 8예로, 대장 전절제 및 회장-직장합문을 시행했으며, 수술 소견상 대장이 확장된 경우가 8예로 평균 43.6개월(3~101개월)간 추적했다. 연구결과 수술 후 평균 배변회수는 3.9회/일로, 배변시간은 5분 이내가 80%(16명), 10분 이내가 20%(4명)이었다. 수술 후 하제와 지사제를 복용하는 경우는 각각 5%(1명), 10%(2명)였으며, 변실금은 45%(9명)가 경험했으나 일
‘제 2회 보령의사수필문학상’ 대상에 홍성의료원(충남 홍성)신경과 권준우(31, 사진)과장이 선정됐다. 권준우 과장의 수상작은 뇌졸중으로 편마비를 앓고 있는 할머니로부터 편히 죽게 해달라는 요구를 받고 난처해진 의사의 입장을 다룬 ‘죽음 값 만원’이다. ‘당신은 휴머니스트입니다’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지난 8월 21일부터 10월 20일까지 약 2 달간 총 231명, 250편의 작품이 출품됐으며 한국 수필문학진흥회 (회장 맹난자)에서 심사를 맡았다. 금상은 암투병 환자의 남편이 부인의 빠지는 머리카락을 보며 느낀 감정을 그린 ‘머리카락’의 허원주(동아대학교 병원 방사선종양학과)교수, 은상으로는 의사인 아들이 실명한 아버지의 인생에 대해 고해하듯 쓴 ‘아버지의 어둠’의 유인철(유소아과 원장/경기 안산)원장이, 동상은 ‘눈물의 결혼식’과 ‘약속’의 염창환(관동의대 명지병원 가정의학과/경기 고양)교수와 고석찬(서울 의료원/서울 강남)인턴이 각각 선정됐다. 이들은 28일 보령제약 강당에서 열리는 시상식에서 순금 트로피를 수상한다. 심사를 주관한 한국 수필문학 진흥회의 맹난자 회
황진이차가 뜨고 있다.
KBS 수목드라마 ‘황진이’의 인기가 방영회수를 거듭하면서 올라가자 황진이의 이름을 딴 쌀, 구두쇼핑몰, 화장품 등 드라마 관련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는 가운데 한 제약회사가 한방 성분으로 만든 ‘황진이차’를 개발, 인기를 얻고 있다.
황진이차의 본명은 ‘광동 옥수수 수염차’.
‘선이 고운 절세가인 광동 옥수수 수염차’라는 다소 긴 이름이 붙어있는 이 차음료는 광동제약(대표 최수부)이 예로부터 한방에서 이뇨작용과 부기제거에 효능이 있다는 옥수수 수염으로 만든 음료로서 지난 9월에 출시, 구수한 맛과 향으로 20~30대 여성들의 인기를 끌어 지금까지 350만병 이상이 팔렸다.
광동제약은 최근 이 제품의 TV광고를 ‘황진이’의 모델인 하지원을 기용한 CF를 제작, 현재 드라마 ‘황진이’를 비롯하여 주요 TV프로그램을 통해 방영하고 있는데 광동은 이 광고에서 여성들의 미의 기준인 ‘고운 얼굴선’을 강조하고 있다.
&n
이학승 대한전공의협의회장
개성공단 지역에 의료봉사활동을 요청 받았을 때 대한전공의협의회가 현재하고 있는 참의료진료단활동을 북한 동포들에게도 하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에 총무이사와 먼저 개성지역을 방문해 봉사활동을 하면서 그곳 사정을 파악해보기로 했다.
개성공단지역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1주전에 통일교육원에서 4시간 가량의 교육을 이수 받아야 하며 교육 중에는 북한지역에서 하지 말아야 할 일들과 주의 해야 할 일들을 설명해 주었고. 같은 민족이지만 적국으로 되어있는 나라로 들어간다는 생각에 약간의 흥분과 긴장을 느꼈다.
금요일 아침 7시 종로의 개성관리본부에서 승합차에 탔을 때 그 흥분은 더욱 더 고조됐다. 일행은 모두 7명 하지만 우리를 빼고는 모두 초행이 아닌 듯 너무나 태연했다.
개성까지는 불과 61킬로미터 정도 밖에 되지 않았고 차로 가면 1시간 거리였으나 그 사이에는 너무도 멀게 느껴지는 두 개의 초소가 있었다. 남측과 북측. 남측 초소를
홍영진 인하대학교병원 소아과 Young-Jin Hong, M.D. & Ph.D. Dept. of Pediatrics, Inha University Hospital. E-mail: hongyin@inha.ac.kr 에드워드 제너에 의해 종두법이 처음 시행된 이후 예방접종은 의학의 3가지 중요한 업적의 하나로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으며, 현재도 계속해서 인류를 질병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기위해 새로운 백신들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흔히 접종하는 기본 및 임의접종의 주사 횟수는 6세까지 36~37회에 달하고 있고(Table 1) 새로 개발되는 백신까지 따로 접종해야한다면 한번에 8번의 주사를 맞아야만 된다(Table 2). 그러므로 한번에 여러 가지 백신을 같이 접종할 수 있는 혼합백신의 사용이 불가피하며 특히 기본접종이면서 같은 시기에 접종하게 되어 있는 백신 접종을 혼합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DTaP와 결합된 혼합백신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nb
패혈증 발생여부를 미리 알 수 있는 검사법을 개발, 혈액감염환자들이 패혈증으로 사망하는 것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건양대학교병원 이종욱 교수팀(진단검사의학과)이 혈액 내의 호중구(Neutrophil)를 이용한 특정한 지표인 ‘DM(Delta Neutrophil)’을 만들어 이 값이 높을 경우 패혈증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와 관련된 검사방법을 특허출원했다. 이 교수팀은 지난 2003년에 국내 거의 모든 병원 검사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혈액자동분석기 ADVIA 120을 이용하여 DN 값을 만들고 DN 값이 패혈증 발생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학회에 보고한 바 있었다. ADVIA 120을 이용해 백혈구(WBC)검사를 할 때는 두 번의 검사를 하게 되는데 앞의 검사와 뒤의 검사에서 호중구의 차이를 찾아 DN 값을 만든 것이다. 이후 연구팀은 2005년 5월부터 2006년 4월까지 1년간 건양대병원에서 ADVIA 120을 이용 일반혈액검사를 실시한 178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패혈증발생 및 사망률에 대하여 분석했다. 먼저 DN 값이 0~5를 1군(300명), 5~10을 2
박원명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정신과 Won-Myong Bahk, M.D. & Ph.D. Dept. of Psychiatry,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E-mail: wmbahk@catholic.ac.kr 서 론 주요우울증은 환자의 정신적, 신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가정생활이나 직업능력, 대인관계 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질환이다. 우울증의 유병율은 4.9~17.9%에 이를 정도로 높은 편이며 환자들에서 자살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큰 사회적 부담이 되고 있다. 또 이런 부담은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 2020년에는 허혈성심질환 다음으로 개인의 기능장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대두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우울증의 치료를 위해 많은 치료적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현재 20여 종의 약물이 FDA에 승인을 받아 항우울제로 쓰이고 있으며 대인관계치
허규찬 건양의대 건양대병원 내과 Kyu-chan Huh, M.D. & Ph.D. Dept. of Internal Medicine, Kon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E-mail: Kchun@shinbiro.com 서 론 우리나라의 소화기 질환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질환인 위염과 위궤양은 많은 임상경험과 연구에도 불구하고 정형화된 치료는 잘 정립이 되어있지 않다. 특히 위염은 정의와 치료 방법이 사람마다 다르고 위염 자체가 내시경이나 병리학적으로 특징적인 소견만으로 진단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증상과 여러 가지 검사소견을 종합해서 진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단순한 염증에만 초점을 맞춘 진단과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다. 위궤양은 내시경을 통해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형태학적 진단 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치료는 1980년대에 강력하게 위산을 억제하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
전북 익산에서 발병한 조류인플루엔자(AI)가 사람에 감염될 경우 국내에 치료제가 크게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AI가 확산되면 경제적 손실은 최대 38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고려대 의과대학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신종인플루엔자 대비 공청회’에서 “2003년 말부터 유행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AI는 인류가 거의 대부분 면역성을 갖지 못한 새 바이러스”라며 “대다수 국가가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 비축목표를 인구의 20∼30% 수준으로 잡고 있지만 국내 비축량은 인구의 2%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연말까지 인구의 25%에 해당하는 7500만명분의 타미플루 비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650만명분의 재고량을 갖고 있는 일본도 2008년까지 인구의 20%선으로 늘릴 방침이다. 국내 재고량은 98만명분이다.아시아개발은행(ADB)이 지난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AI가 한국에서 대유행할 경우 경제적 손실은 최소 100억달러, 최대 380억 달러로 추정됐다. 국내에선 2003년과 2004년에 경기 양주, 충북 음성, 전남 나주 등에서 AI가 발생해 가금류 528만마리가 살처분
한미약품이 향후 10년간 연평균 13% 이상의 성장 실현이 가능 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SK증권은 이러한 전망의 근거로 정부가 추진 중인 기등재의약품에 대한 20% 약가인하가 후퇴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아직 단정적으로 얘기할 상황은 아니지만 제약사들의 반대가 워낙 심하고, 정부도 협상과정에서 다소 양보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이미 거대시장이 형성된 오리지널 의약품에서 올해 말과 내년에 제네릭의약품 출시가 예정돼 있어 고혈압치료제 아모디핀의 저성장을 커버할 전망이다.
내년 하반기에는 항혈전치료제 플라빅스의 제네릭의약품이 출시될 계획이며, 상반기에는 비만치료제 슬리머의 출시가 예정돼 있다.
따라서 내년에도 최근 몇 년간 지속된 두 자리 성장을 유지할 수 있을 전망이다.
게다가 북경한미의 영업호조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누계 매출액이 27% 성장했고, 전
아시아지역 국가의 사회지출·사회지표 분석을 위한 워크샵이 오는 27일부터 29일까지 3일간 보건사회연구원 대회의실 및 보건복지인력개발원 전산교육실에서 개최된다. 복지부는 OECD 핵심 사회지표가 아시아지역에서 ADB, ILO 및 OECD와 각국간 공동활용 및 비교가능한 형태로 생산·수집·분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협력방안 모색차원에서 이번 워크샵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샵에는 아시아지역 14개국에서 17명의 관계공무원 및 전문가와 ILO,OECD, ADB 등 3개 국제기구에서 3명의 전문가 등 20여명의 외국인사와 국내전문가 등이 참석한다. 참석자들은 OECD 사회지출 데이터베이스와 ILO 사회보장요건 등에 대한 소개, 사회보호제도 프로그램 및 급여별 목록을 선정할 예정이다. 특히 사회보호 제도별·수급자별 사회보장 지출자료 및 수급과 재원별 사회보장 지출자료 처리방법 및 요령에 대한 교육과 실습을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전산교육실에서 집중 실시할 계획이다. 김도환 기자(dhkim@medifonews.com)
[파일첨부] 앞으로 lanthanum carbonate 경구제가 새롭게 건강보험급여 적용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23일, lanthanum carbonate 경구제(품명 포스레놀정)의 보험급여 적용 신설을 골자로 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의견조회를 받기로 했다. 이번에 개정된 고시안에 따르면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ESRD)중 혈액검사상(매월 1회정도) 혈중 인(P) 수치가 5.6㎎/㎗ 이상이면서 Ca×P산물(product)이 55mg2/㎗2 이상인 환자에게는 포스레놀정의 급여를 인정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가글용제 *lamivudine 경구제(품명 제픽스정, 제픽스시럽) *Adefovir difivoxil(품명 헵세라정) *sodium hyaluronate 20mg 주사제 (품명 히루안플러스주 등) *sodium hyaluronate 주사제 (품명 : 알츠주 등) *human anti-hepatitis B immunoglobilin 주사제 (품명 헤파빅주) 등은 일부 내용이 변경됐다. Lamivudine는 “헵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