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는 지난 24일부터 25일 양일간 서울에서 당뇨병 및 내분비내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Sanofi Diabetes Day 심포지엄(이하, SDD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26일 전했다. 올해로 6년째를 맞는 SDD 심포지엄에는 약 100명의 종합병원 내분비내과 전문의가 참석한 가운데,'투제오 솔로스타(성분명 인슐린글라진, 유전자재조합 300U/mL)'를 비롯한 사노피 당뇨순환기 사업부가 보유한 주요 제품의 최신 치료 지견 및 국내외 진료사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첫째 날, 좌장을 맡은 우정택 교수(경희의대 내분비내과) 및 최경묵 교수(고대구로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주재 아래 ▲새로 진단받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 조기부터 강화요법으로 치료 시 관찰된 장기간의 췌장 베타세포 기능보호 효과 및 혈당조절 효과, ▲실제 임상 현장에서 당뇨병 환자에게 적용된 인슐린 요법에 관한 최신 실제 임상 경험(Real-World evidence) 연구 결과, ▲당뇨병 관련 대사성 질환에 대한 고찰 등을 주제로 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첫날 연자로 참여한 전숙 교수(경희의대 내분비내과)는 KIIT 임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조기 인슐린
에드워즈라이프사이언시스코리아(대표이사 한준호)는 자사의혈역학 모니터링의 통합 운영 플랫폼인 '헤모스피어 어드밴스드 모니터(HemoSphere advanced monitor, 이하 헤모스피어)'를 출시했다고 26일 전했다. 이번에 출시된 헤모스피어는 에드워즈라이프사이언시스코리아의 스완-간즈 카테터(Swan-Ganz Catheter, 폐동맥 카테터)와 중심정맥 산소포화도 측정 카테터와 호환이 되기 때문에 심장수술이나 이식수술 환자등 중증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헤모스피어를 통해, 연속적인 심박출량(Continuous Cardiac output)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혼합 정맥혈 산소포화도(Mixed venous oximetry saturation-SVO2), 혈관저항성(Systemic Vascular Resistance-SVR)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다. 특히, 에드워즈라이프사이언시스코리아의 폐동맥 카테터를 통해 제공되는 심박출량값은 최적의 표준(gold-standard)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혼합 정맥혈 산소포화도 모니터링은 헤모스피어에서만 실시간 제공된다. 회사측은 "혈역학 모니터링은 혈압, 산소포화도, 심장
항 PD-1 면역항암제 '옵디보(성분명 니볼루맙)'가 국내 식약처로부터위암 분야에 적응증을 획득하며 면역항암제로서 첫깃발을 꽂았다. 한국오노약품공업과 한국BMS제약은 지난 23일 '옵디보'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위 선암 적응증을 추가로 승인 받고, 전형적 호지킨 림프종에 대한 적응증을 확대 승인 받았다고 26일 발표했다. 이번 적응증 추가 및 확대 승인으로 옵디보는 PD-L1 발현 여부와 관계없이 ▲이전 두 가지 이상의 항암화학요법 후에도 재발하거나 진행된 위 선암 또는 위식도 접합부 선암의 치료, ▲자가조혈모세포이식(HSCT) 전 혹은 후에 브렌툭시맙 베도틴 투여에도 재발하거나 진행된 전형적 호지킨 림프종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옵디보'의 위 선암 또는 위식도 접합부 선암에 대한 적응증은 3상 임상연구인 ONO-4538-12 결과에 기반해 승인됐다. 옵디보는 이전 두 가지 이상의 항암화학요법 후에도 재발하거나 진행된 위 선암 또는 위식도 접합부 선암 환자의 사망위험을 위약 대비 37% 감소시켰다. 또한 '옵디보'를 투여 받은 환자의 1년 생존율은 26.2%였으며, 위약군은 10.9%로 나타났다. 한편, 호지킨 림프종 적응증 확대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 콜로플라스트 코리아는 자사의 대표이사를 역임 중인 배금미 사장이 콜로플라스트(Coloplast) NSE (North and Southeast) 아시아 총괄 신임 사장에 취임했다고 26일 전했다. 배금미 사장은 제네럴모터스, 프랭클린템플턴, DHL코리아, 존슨앤드존슨 멘토사업부 아시아총괄본부장을 거쳐 2014년 콜로플라스트 코리아에 부임했다. 이후, 매년 30%가 넘는 성장율로 한국지사를 크게 성장시키며 영업 및 마케팅 분야의 뛰어난 경험과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이러한 공로로 2016년부터 콜로플라스트 홍콩 대표이사 자리에도 겸임되기도 했다. 배금미 NSE 총괄 사장은 향후 콜로플라스트 한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는 물론, 태국, 말레이시아 등을 포함한 아시아 내 다양한 국가에서 신규 시장 사업전략 수립을 포함한 전반적인 운영을 책임지고 이끌게 된다. 콜로플라스트에 따르면, “콜로플라스트는 현재 아시아 지역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 진출을 가속화하고자 배금미 사장을 NSE 아시아 총괄 사장으로 선임했다”며, “그동안 한국 및 홍콩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비약적인 성과를 보인 인물로, 아시아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 26일, *빈소 서산중앙병원 *발인 3월28일 *041-669-1414
DPP-4 억제제가 주를 이루던 제2형 당뇨 치료제 시장에서 SGLT-2 억제제의 심혈관 효과가 집중을 받으며 처방 패턴이 점차 변화함에 따라, 당뇨 치료제 시장 또한 조금씩 요동치고 있다. SGLT-2 억제제의 월 원외처방액이 지난 1년 새 약 10억 원 정도 증가했으며, DPP-4 억제제와 마찬가지로 복합제들이 하나둘 시장에 출시되며 SGLT-2 억제제 시장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25일 메디포뉴스가 유비스트 집계를 살펴본 결과, 2월 기준 SGLT-2 억제제 단일제의 월 원외처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5% 증가, 메트포르민과의 복합제 규모는 약 249%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일제 부문에서는 베링거인겔하임의 '자디앙', 복합제 부문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의 '직듀오'가 SGLT-2 억제제 시장 확대에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디앙'은 국내 시판 중인 SGLT-2 억제제 중 유일하게 심혈관 안전성 적응증을 인정 받은 약물로, 지난 2017년 한 해 총 124억 3,400만 원대의 원외처방실적을 거두며 '100억대' 약물에 등극했다. 2월은 근무일수의 감소로 처방 규모가 본래 주춤한 달이긴 하지만, 자디앙은 지난 2017년
최근 미국심장학회에서 최대 규모의 SGLT-2 억제제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인 CVD REAL 2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SGLT-2 억제제 계열의 심혈관 효과가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 허가 임상뿐 아니라 실제 진료환경에서의 리얼월드 데이터 결과를 통한 일관적인 효능과 안전성을 바탕으로 약제를 처방하는 ‘근거 중심의 처방 패러다임’으로 변화함에 따라 이번 리얼월드 데이터 발표 후 ‘포시가’의 심혈관 효과 적응증 확대를 위한 DECLARE 연구 결과 발표에도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 CVD REAL 2 연구에서 한국인 대상 연구를 주도한 아주대학교 내분비대사내과 김대중 교수는 23일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이번에 발표된 CVD REAL 2 연구 결과가 가지는 의미와 올해 하반기 발표될 DECLARE 연구가 가지는 의의 등을 설명했다. [편집자 주] CVD REAL 2 연구, SGLT-2 억제제 최초 한국인 환자 약 34만명 포함한 리얼월드 연구 CVD-REAL 2 연구는 한국인 환자 약 34만 명을 포함한 6개국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다른 경구용 혈당 강하제 대비 SGLT-2 억제제의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 혜택을 확인한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 연구이다. 해
한국다케다제약의 종합 감기약 '화이투벤'이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주관하고 소비자들이 직접 평가하는 ‘2018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감기약 부문에서 5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고 23일 전했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2017년 10월 중순부터 2018년 1월 중순까지 약 3개월간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총 12,000명을 대상으로 산업별 다양한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와 충성도를 조사하여 종합 평가한 결과, 화이투벤이 최고 점수를 받으며 감기약 부문 1위를 차지했다. 특히 화이투벤은 브랜드 충성도 전반에서 경쟁품 대비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국다케다제약 컨슈머헬스케어 배연희 상무는 “한국인의 감기 특성에 꼭 맞는 약을 제공하고자 노력해 온 결과가 인정받아 기쁘고 화이투벤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환자를 생각하는 브랜드가 되고자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화이투벤'은 출시 35주년을 맞이한 종합 감기약 브랜드로 감기 증상에 따라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이투벤 큐 시리즈, 화이투벤 씨플러스, 화이투벤 나잘스프레이 등 다양한 감기 솔루션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BMS와 화이자는 지난 11일 2018 미국심장학회(ACC) 연례 학술대회에서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의 새로운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23일 전했다. 이는 미국의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 162,707명을 대상으로 '엘리퀴스'와 '리바록사반', '다비가트란' 등 서로 다른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DOAC)의 효능과 안전성 및 전반적인 임상결과를 비교한 최대 규모의 데이터로, '엘리퀴스'는 '리바록사반' 또는 '다비가트란' 대비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을 보였다. 이번 리얼월드 데이터는 미리 정의된 평가변수를 사용한 분석으로, 세 가지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 코호트를 일대일 성향점수(propensity score)를 활용해 비교했다. 각 코호트는 엘리퀴스 대 리바록사반(125,238명), 엘리퀴스 대 다비가트란(54,192명), 다비가트란 대 리바록사반(55,076명)으로 구성됐다. 엘리퀴스 대리바록사반 코호트 연구결과에 따르면, 엘리퀴스는 리바록사반 대비 뇌졸중/전신 색전증 위험이 17% 및 주요 출혈 발생률이 4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엘리퀴스 대 다비가트란 코호트에서도 엘리퀴스는 다비가트란 대비 상당히 낮은 뇌졸중/전신 색전증
GSK의 HIV 전문기업인 비브 헬스케어는 지난 5일 항레트로바이러스 제제 사용 경험이 없는 결핵 동반 HIV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돌루테그라비르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3상 임상인 INSPIRING 중간 분석(24주차) 결과를 발표했다고 22일 전했다. 지난 4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18 레트로바이러스 및 기회감염학회(CROI)에서 발표된 이번 임상 결과, 돌루테그라비르 50mg 1일 2회 용량과 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 효소 억제제(NRTIs) 병용 투여 시, 리팜핀 기반 결핵 치료를 받고 있는 HIV/결핵 동반 환자 대상 우수한 효과와 내약성을 입증했다. INSPIRING 임상은 약물 감수성 결핵과 항레트로바이러스 제제 사용 경험이 없는(ART-naive) HIV-1 감염 환자 대상 비-비교, 액티브 컨트롤, 무작위, 오픈 라벨, 3상 임상이다. 최장 8주간 리팜핀 기반 결핵치료를 받고 있던 113명의 등록 환자들 가운데 69명에게 무작위로 돌루테그라비르(결핵 치료 후 2주 간 1일 2회 50mg 요법 시행 후 1일 1회 50mg 요법 시행)와 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 효소 억제제(NRTIs) 2개를 투여했고, 44명에게 에파비렌즈(1일 1회 600m
필립스코리아(대표 도미니크 오)는지난 22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고 있는 제2차 아시아수면학회 학술대회(Asian Society of Sleep Medicine, ASSM 2018)에 참가해, 진단에서 치료·관리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수면건강 솔루션을 소개한다고 전했다. 회사측 관계자는 "필립스는 수면 분야에서 쌓은 풍부한 경험과 기술력으로 그동안 다양한 수면 솔루션을 선보이며 사람들이 건강한 수면으로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힘써왔다"고 말하며,"이번 학회에서는 수면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폭넓은 솔루션을 전시하고, 심도 있는 임상 인사이트를 공유하며 더욱 체계적인 수면 질환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라고 전했다. 필립스는 먼저 수면 질환을 진단하는 데 기본이 되는 다양한 수면다원검사 장비를 선보인다. 병원용 진단 솔루션 '앨리스6 (Alice6)'는 통합 RIP 드라이버, 전용 압력 변환기, 간결한 케이블 등으로 검사 준비 절차를 줄여 의료진의 워크플로우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특허 출원 중인 근전도(EMG) 검사 기술을 탑재해 더욱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다. 병원은 물론 가정 등 편안한 장소에서 검사할 수 있는 휴대용 진단
토털 헬스케어 기업 마이23헬스케어(각자 대표 함시원/유연정)와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대표 황태순, 이하 테라젠)가 유전자 분석 서비스의 저변 확대를 위해 상호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전했다. 마이23헬스케어는 테라젠의 유전자 분석 기술 제공에 따라 3월 말에 오픈 예정인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DTC (Direct to Consumer)로 허용된 12가지 항목에 대한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론칭 할 예정이다. 유전자 분석 서비스는 고객의 니즈에 맞춰 신체특성 12 유전자 검사, 다이어트/건강 유전자 검사, 피부/탈모 유전자 검사 등 총 3개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판매될 예정이다. 마이23헬스케어 함시원 대표는 “테라젠의 우수한 유전자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앞으로 마이23의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게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되었다”며 “양사의 협업으로 유전자 분석 서비스 대중화 시대를 이끌어냄으로써 120세 알파에이지 시대를 앞당기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테라젠 황태순 대표는 “세일즈, 마케팅, 홍보 역량이 탁월한 마이23헬스케어와의 업무 협약을 통해 보다 많은 고객을 대상으로 유전
NOAC 신예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가 지난 1년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처방을 확대한 결과, 화이자BMS의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를 따라잡는 이변을 일으켰다. 22일 메디포뉴스가 유비스트 집계를 살펴본 결과, 지난 2월 '릭시아나'가 약 21억 7,700만 원의 월 원외처방액을 기록하며 '엘리퀴스'의 월처방액을 앞질렀다. 1년 전까지만 해도 '엘리퀴스'의 절반 정도의 월처방액을 나타내던 것을 감안하면 놀라운 성장률이다. '릭시아나'는 2월 기준 전년대비 약 116% 성장률을 나타냈다. 2월을 기준으로 NOAC 전체 원외처방액이 전년 대비 21% 성장하며 약 15억 정도 증가했는데, 그중 약 11억 원의 증가에 '릭시아나'가 기여한 것이다. 다이이찌산쿄는 국내에서 탄탄한 영업력을 보유하고 있는 대웅제약과 손을 잡고 '릭시아나'의 판매하고 있다. '릭시아나'의 괄목할 만한 성장의 이면에는 대웅의 영업력이 한몫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한편, '릭시아나'의 증가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엘리퀴스'는 사실상 '자렐토(성분명 리바록사반)'를 따라잡기는 커녕 2위 자리를 지키기도 힘들게 됐다. '엘리퀴스'는 지난 2
항 PD-1 기전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와 ‘옵디보’에 이어 전 세계 세 번째로 개발된 항 PD-L1 기전 면역항암제 로슈의 ‘티쎈트릭’은, 국내에서도 면역항암제로는 세 번째로 허가를 획득하며 비소세포페암과 방광암 치료제로서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키트루다’와 ‘옵디보’가 폐암 치료에서 우선적으로 건강보험급여를 획득하며 시장을 선점했다면, 방광암에서는 ‘티쎈트릭’이 처음이자 유일하게 2차 치료에 급여를 획득했고 최근에는 방광암 1차 치료에 적응증을 확대하며 독보적인 선두 입지를 점하고 있다. 지난 21일 한국로슈는 서울시 소공동 소재 서울 웨스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의 급여 정보와 적응증 확대 소식을 전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티쎈트릭’은 지난 1월 12일 비소세포폐암 2차 치료와요로상피암 2차 치료에 국내 건강보험급여를 획득했으며, 지난 3월 14일에는 요로상피암 1차 치료제로서 적응증을 확대한 바 있다. ‘티쎈트릭’은 암세포(TC) 또는 암세포에 침윤된 면역세포(IC)에서 발현된 PD-L1과 결합해 PD-1 수용체와의 결합을 차단함으로써 T-세포의 항암 작용을 회복시키는 면역항암제다. ‘티쎈트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회장 이경국)는 20일 협회 대회의실에서 제8대 이경국 협회장 취임이후 첫 이사회를 개최하고 부회장 선출, 보험․법규․교육 등 9개 위원회 위원장을 선임하고 향후 협회 운영 방향을 논의하였다고 21일 전했다. 이경국 협회장은 이사회 인사말에서 “제8대 이사회는 새롭게 협회에 봉사하는 임원들과 기존 임원들이 조화롭게 협력해서 내실 있는 한 해가 될 수 있도록 하자”고 당부했다. 이번 이사회는 신임 부회장으로 ㈜케이엠헬스케어 신병순 대표이사, ㈜쥬디스코퍼레이션 유철욱 대표이사를 제조, 수입사를 대표해서 선출했으며, 9개 위원회를 이끌어갈 새 위원장도 선임했다. 이날 선임된 위원장은 ▲회원지원위원회에 ㈜지엔히어링코리아 장규환 대표이사, ▲윤리위원회에 ㈜지인씨앤티 김영민 대표이사, ▲홍보위원회에 ㈜파브메드 최정택 대표이사, ▲보험위원회에 한국스트라이커㈜ 장재영 대표이사, ▲법규위원회에 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 유병재 대표이사, ▲국제교류위원회에 보스톤사이언티픽코리아㈜ 허민행 대표이사, ▲IVD(체외진단제품)위원회에 한국애보트㈜ 정유석 대표이사, ▲산업발전위원회에 ㈜동방메디컬 김근식 대표이사, ▲교육위원회에 ㈜녹십자엠에스 김영필 대표이사다. 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