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50대 이상 유방암 발병률 최초 절반 넘어

서구화 추세 뚜렷…생존율 보존·재건술 비율도 높아져·


한국인 유방암 지형이 급격히 서구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해가 갈수록 발병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50대 이상의 고연령 발병률이 높아지고 조기 발견율이 높아져 유방보존술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

한국유방암학회(회장 윤정한/이사장 송병주)는 10월 유방암 예방의 달을 맞아 ‘2013 한국 여성 유방암 백서’를 발간했다.

이번 백서에서는 변화하는 한국 유방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50대 이상 폐경 후 유방암 비율이 급증하며 3040 젊은 유방암을 추월한 것을 알 수 있다.

연간 유방암 환자 발생률은 지난 1996년 3801명에서 2010년 1만6398명으로 늘어나 15년 사이에 약 4배가 증가했으며, 조발생률 역시 1996년 16.7명에서 2010년 67.2명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폐경 이후 유방암 환자의 급증이 유방암 환자 수가 증가의 주요인이라는 학회의 설명이다. 그동안 40대 이하 젊은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는 특징을 보였던 한국 유방암이 지난 2011년 폐경 후 유방암 비율이 51.3%를 기록하면서 서구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학회는 “폐경후 유방암 위험요인은 첫 출산과 이른 초경이나 늦은 폐경, 비만과 음주 등 일반 유방암 증가 요인과 다르지 않으나 폐경 후 여성일수록 비만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비만한 여성일수록 지방조직이 많기 때문에 에스트로겐의 수치도 높아져 유방암 발생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유방보존술과 유방재건술 등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수술 비율 역시 증가 하고 있다.

유방암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의학기술의 발달로 조기발견율이 증가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지키는 치료방법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미 우리나라는 지난 2001년부터 유방암을 5대 암으로 선정하고 표준 암 검진 권고안을 개발해 시행 중이다. 지난 2011년 건강검진 통계 연보에 의하면, 유방암 수검자는 매년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유방암이 5대 암 중 가장 높은 51.5%의 수검율을 보였고 이 중 의심 판정을 받은 수검자가 5381명 이었다.



검진율 상승으로 조기 발견율 역시 크게 늘어나 0기 또는 1기 유방암 환자 비율이 지난 2000년 32.6%에서 2011년 56.3%까지 증가했다. 조기 유방암 환자가 전체 유방암 환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유방암학회는 “유방암 검진으로 발견되는 것이 증상 발견 후 진단된 유방암에 비해 좀 조기에 진단되고 사망률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라고 통계의 의미를 전했다.

조기발견율 증가는 수술방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유방암 수술 환자 중 70% 이상이 유방전절제술을 받았지만 지난 2000년 27.9%에 불과하던 유방보존술 빈도가 크게 증가해 2011년 65.7%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저절제술 환자의 재건 수술 역시 급증해 지난 2000년 연 99건에 불과했던 유방재건수술이 2010년 8배 이상 증가해 812건을 기록했다.

학회는 “유방재건술 보편화는 많은 환자들이 여성의 상징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우리나라 유방암 5년 생존율은 지난 1996년부터 2000년까지 83.2%였지만, 2001년부터 2005년에는 88.5$로 호전됐고, 2006년부터 2010년까지는 91%로 세계최고수준의 생존율을 기록했다.



한국유방암학회 송병주 이사장은 “생활패턴의 변화로 한국 유방암의 서구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며 “이와 함께 검진 활성화와 의학기술 발달로 조기 발견율과 생존율도 크게 늘었으며 수술방법도 환자의 삶으 질을 높이는 유방보존술과 유방재건술의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윤정한 회장은 “한국유방암학회는 매년 10월 유방암 예방의 달을 맞아 핑크리본을 전개하고 유방암 백서, 핑크리본 합창제, 설문조사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앞으로도 학회는 유방암 환우들의 건강한 미래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