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R&D 인력 5%로 신약개발? ‘안될 일’

이의경 교수, 범부처 협의체 구성-자격제도 도입 등 촉구


국내 제약기업의 R&D투자율은 높아지고 있지만 정작 이 분야 전문인력은 전체의 5%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문분야 자격제도를 도입하고 인력양성을 총괄할 범부처 수준의 조직이 따로 신설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성균관대 약대 이의경 교수는 26일 열린 ‘2020 한국 제약산업의 비전과 로드맵’ 컨퍼런스에서 ‘제약산업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현재 제약산업 인력 구조를 꼬집었다.

이 교수가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2009년 1039개 업체 기준 인력구성은 영업직이 33.9%로 가장 많아 국내 제약산업 인력구조가 판매 중심형에 기울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생산직 30%, 사무직 19.6%, 연구직 10.6%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4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실시한 ‘신약개발 가치사슬별 전문인력 실태 및 중장기 수요조사’에서는 R&D 인력비중이 4.9%에 불과했다. 수출 인력은 6.1%였다.



주요 분야 인력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R&D기획: 1088명 ▲후보물질발굴: 2109명 ▲글로벌마케팅: 1187명 ▲기술사업화: 1516명 ▲시판허가(RA):1076명으로 총 1만 34명 수준이다.

그러나 진흥원은 향후 3년내에 중장기적으로 총 8193명의 추가 수요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의경 교수는 이같은 자료를 근거로 “글로벌 메이저파마가 되기 위해 필요한 전문인력의 다양성이 미흡한 상황”이라며 “해외마케팅 및 시장조사 전문가, 기술전력 기획 전문가, 라이센싱 전문가 등 다방면의 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글로벌 시장 진출, CRO 등 제약기반 산업의 성장 등을 감안한 인력 수급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

이에 따라 이 교수는 ▲제약산업특성화대학원 활성화 및 지원확대 ▲산학교육연계 ▲비학위 단기 재교육 확대 ▲해외 우수 인력 확보 및 지역 전문가 양성 ▲자격제도 도입 ▲제약산업 인력양성 총괄 범부처 협의체 구성 ▲병역특례 등을 제안했다.

눈에 띄는 부문은 제약산업 전문분야에 대한 자격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구체적으로 이 교수는 RA, 임상시험, 보험약가 등의 분야를 꼽았다.

이 교수는 “RA 전문가제도의 경우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해 자격증을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미국 RAPS를 벤치마킹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며 “단계적으로 임상시험 및 보험약가 분야로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인력양성 총괄 조직 신설에 대해서는 “제약기업의 인력 실태 및 수요조사, 직무 분석과 인력양상 추진방향 및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역할이 필요하다”며 “현재 산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제약산업 관련 학위 및 비학위 교육을 필요 인력 수요에 맞춰 조정 관리하는 범부처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