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의 바이오업체가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해 힘을 합친다.
중외신약은 자회사인 크레아젠(대표 배용수)이 일본 면역치료제 개발업체인 테라社(대표 야자키 유이치로)와 세포치료제 공동 개발과 기술 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테라(Tella)는 일본을 대표하는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업체로, 범용성 고형암 항원 WT1 기술을 바탕으로 일본내 20여개의 병원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수지상세포를 활용한 암백신 치료 서비스를 사업모델로 삼고 있다.
이번 MOU에 따라 양사는 보유하고 있는 독자적인 세포치료제 기반 기술을 상호 이전해 현재 개발 중인 바이오 신약 개발을 가속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면역세포치료제 분야에서 국내 바이오업체가 일본 기업에 기술 이전을 위해 MOU를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
향후 크레아젠은 독자 기술로 개발한 CTP 결합 암항원의 일본내 독점 사용권과 류마티스 관절염치료제 관련 기반 기술을 테라사에 제공하고 그에 따른 기술사용료 등을 받는 것을 골자로 한 본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또한 테라사는 수지상세포 췌장암 치료제 제조를 위한 WT1 펩타이드의 한국내 독점 사용권을 크레아젠에 제공하게 된다.
특히 크레아젠의 CTP 기술과 테라의 WT1 항원 기술이 결합된 CTP-WT1 재조합항원을 공동 개발하는 등 최적화된 수지상세포 제조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번 MOU는 한일 양국을 대표하는 수지상세포 개발 업체가 R&D 전반에 대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테라社 유이치로 야자키 대표는 "크레아젠과 테라는 모두 ‘수지상세포’ 기반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제조기술과 적용 범위 등에 있어 상호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며 “양사의 핵심기술과 노하우 공유를 통해 현재 진행중인 바이오 신약 프로젝트의 상용화가 한층 가속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크레아젠 배용수 대표는 “일본은 우리나라와 달리 ‘치료 기술’이라는 개념으로 세포치료제의 조기 상용화가 가능하다”며 “크레아젠의 축적된 기술력과 테라의 풍부한 임상경험 및 병원 네트워크를 결합함으로써 일본에서 세포치료제 시장을 선점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크레아젠은 테라가 보유한 일본내 연구-판매 네트워크를 활용해 일본 시장 공략을 본격화 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크레아젠은 지난 2009년 일본 현지에 자회사 크레아젠재팬을 설립하고 국립 에히메대학교병원과 간암치료제 ‘크레아박스-HCC'에 대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