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태반주사제가 유명 인사를 동원한 무분별한 간접광고로 영양제인양 남용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 정하균 의원(비례대표)은 7일 식약청 국감사에서 의사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시술돼야할 전문의약품인 인태반주사제가 마치 몸에 좋은 영양제나 피로회복제처럼 쓰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수많은 국민들을 대상으로 검증도 안된 적응증에 사용하고 있으며, 저가의 인태반주사제를 고가의 인태반주사제로 속여 팔고 있는 사례 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흔히 ‘태반주사’로 불리고 있는 인태반 유래 의약품 주사제에는, ‘자하거 추출물 주사제’와 ‘자하거 가수분해물 주사제’의 두 가지가 있는데, 현재 식약청에서는 ‘자하거 추출물 주사제’는 ‘갱년기 장애 증상의 개선’에, ‘자하거 가수분해물 주사제’는 ‘만성 간질환에 있어서의 간기능 개선’에 한해 효능을 허가하고 있다.
그러나 정 의원은 드라마 촬영중 고강도 촬영일정에 의한 체력소모를 이유로 A제약회사에 영양제와 인태반주사제를 지원 요청했고, 제약회사가 이를 제공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잘못 사용된 예로 들었다.
또 관련 기사에는 인태반주사제에 대해 특정 성형외과에서 촬영진들이 지속적으로 처방받도록 한다는 내용도 있었는데, 인태반주사제는 ‘자하거 추출물 주사제’로 ‘갱년기 장애 증상의 개선’이란 한 가지 효능에 한해 허가된 전문의약품이다.
이밖에도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참가한 한국대표팀 선수나 2010 남아공 월드컵 참가 한국선수 등이 각각 인태반주사제를 시술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하균 의원은 “국가대표 운동선수들을 비롯해 유명인사들이 모두 갱년기 장애 환자란 말인가?”라고 반문하고, “간접광고 기사를 접하는 일반 국민들은 갱년기장애 치료 전문의약품을 마치 영양제나 피로회복제처럼 오해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우려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여성 1000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성인여성 10명 중 1명이 인태반 주사를 맞은 경험이 있는 걸로 조사됐다. 인태반주사를 맞은 사람의 44.2%가, ‘피부미용’ 때문에 맞은 걸로 나타났고, ‘피로회복(37.9%)’, ‘갱년기 증상 완화(32.6%)’, ‘피부질환(14.7%)’, ‘간기능 개선(7.4%)’ 순이었다.
정 의원은 “많은 국민들이 효과성과 안전성도 검증되지 않은 적응증에 인태반주사를 맞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인태반주사의 효과성과 안전성을 식약청이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저가인 ‘자하거 가수분해물 주사제’를, 고가인 ‘자하거 추출물 주사제’로 둔갑시켜 속여 팔고 있다”라며, “이러한 사례들에 대해 신중히 검토 조사해 국민들이 피해보는 일이 없도록 조치해 달라”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노연홍 청장 “허가된 사항이 아닌 것으로 쓰고 있는 것을 사실”이라며 “의사들도 현장처방에서 분별있는 처방이 중요하며 식약청 자체적으로도 대책을 세우겠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