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민주당은 25일 남주홍 통일·박은경 환경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거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두 사람은 확실히 교체하라는 뜻이다. 청와대에서도 재검증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한나라당 나경원 대변인이 확인했다.
민주당 국무위원 후보자 검증 태스크포스의 임종석 단장은 “두 후보자는 이미 언론을 통해 부적격자로 확인됐다”며 “두 후보자에 대해서는 인사청문 일정을 한나라당과 합의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교체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새 정부 출범에 큰 상처가 날 것”이라고도 말했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민주당은 쉽게 물러설 기세가 아니어서, 이명박 정부는 초기부터 국무회의를 제대로 치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국무위원 15명이 참석해야 국무회의를 열 수 있는데, 두 후보자와 사퇴한 이춘호 여성부장관 후보자를 제외한 12명 모두 인준을 받아도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한나라당은 ‘청문회를 통해 철저하고 과감한 검증을 하면 된다’는 원칙적 자세를 견지했다. 나경원 대변인은 “원내대표끼리는 일정을 합의한 걸로 알고 있고, 우리로선 합의를 지켜달라고 얘기할 수 밖에 없다”며 “소명은 인사청문회에서 하면 되지 않느냐”고 말했다. 그는 “청와대에서 재검증작업이 진행중이므로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도 했다.
민주당은 아울러 국무총리 임명동의안 표결에 대한 당론을 26일 본회의에 앞서 원내대책회의와 의원총회를 갖고 정할 계획이다. 지도부는 일단 한승수 총리 후보자에게 심각한 부적격 사유가 있다고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발목잡기 역풍을 우려, 신중히 입장을 정하겠다는 태도다.
현재로서는 의원 개개인의 소신에 맡기는 ‘자유투표’ 가능성이 크다. 반대할 명분이 충분하지만 4월 총선을 생각하면 무조건 강공을 펼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일부 의원들이 강경해 의원총회에서 반대 당론을 채택할 가능성도 있다. 한나라당은 소속 의원의 본회의 출석을 독려하고, 친한 민주당 의원을 골라 설득중이다.
양당은 27일 강만수 기획재정·김도연 교육과학기술·이상희 국방·원세훈 행정안전·유인촌 문화체육관광·정운천 농수산식품·이윤호 지식경제·김성이 보건복지가족·이영희 노동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하고, 28일에는 김경한 법무·정종환 국토해양 장관 후보자를 검증하기로 했다. 유명환 외교통상 장관 후보자 청문회는 26일 조율키로 했다.
메디포뉴스 제휴사-국민일보 쿠키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