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금년 한해동안 차세대 성장동력인 생명공학 분야에 총 7086억원을 투입하고 중점 육성하는데 주력키로 했다.
정부는 26일 오전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위원장: 오명 과기부총리)를 개최하고 생명공학관련 8개 부처(과기부, 교육부, 농림부, 산자부, 정통부, 복지부, 환경부, 해수부)가 참석한 가운데 '2005년도 생명공학육성 시행계획'을 심의·확정 했다고 과기부가 밝혔다.
생명공학 시행계획에 따르면 올해 생명공학 투자예산은 지난해 6016억원보다 17.8% 증가한 총 7086억원(연구개발 4877억, 인프라 2209억원)을 투자, 민간부문의 투자 1290억원(추정)을 합하면 금년도에 생명공학 분야의 투자액은 모두 8376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금년도에는 *줄기세포 및 세포치료 유전체·단백체 기반 질병의 진단과 예측 *BT와 NT(나노기술)·IT(정보기술) 융합신기술 등 미래 유망 신기술에 집중 투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생명공학 육성에 필수적이거나 민간투자가 어려운 인프라 구축(생물자원의 국가적 통합관리체제 구축, 미국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의 생물의약품 생산시설)과 생명윤리, 바이오 제품 인허가 정비 등 제도적인 기반조성에도 역점을 두어 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해 생명공학 분야에 6016억원, 민간 1087억원 등 총 7103억원을 투입해 괄목할 만한 성과를 얻었다. 세계 최초로 인간배아줄기세포 배양 성공(2004년3월 사이언스), 생체노화조절 물질인 '다우몬' 발견(2005년 2월 네이처), 탯줄 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골 재생용 복합생체 재료 개발 등이 대표적 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이번 시행계획은 과기부를 비롯, 교육인적자원부, 농림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 생명공학 관련 8개 부처의 시행계획을 토대로 기획되었다.
과기부 관계자는 "이같은 생명공학 육성시행 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우리나라는 2012년경 세계 5위 수준에 이르러 세계 생명공학 시장의 5%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세계 각국은 세계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예견되는 생명공학 산업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기부에 따르면 미국은 NIH를 중심으로 286억달러(28조원), 일본은 3260억엔(3조원), 유럽은 유럽연합(E*)차원의 공동연구에 29억6000만유로(3850억원)를 투자할 예정으로 있다.
부처별 생명공학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과기부(2325억원)=*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중 BT 분야(642억6200만원) 나노-바이오연구개발사업(421억900만원))=차세대성장동력사업(100억원)*교육부(264억원)=두뇌한국(BK21사업, 264억원) *농림부(792억원)=*농업생물자원기술개발사업(233억) 농업생명공학기술개발(바이오그린 21, 308억원) 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 등 인프라사업(183억원) *산자부(1889억원)=바이오스타를 위한 토탈 솔루션 지원(50억) 차세대신기술개발사업(113억) 지역협력연구센터(RRC) 중 BT 분야(60억원) *복지부(1378억원)=*의료기기기술개발사업(113억) 보건의료바이오기술개발사업(245억)△오송생명과학단지 조성사업(279억원) *정통부(142억원)=*원천기술개발사업(IT/BT 융합분야, 102억원) *정보통신연구기반 조성사업(IT융합기술인프라, 40억원) *환경부(213억원)=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195억원) *제2차 전국자원환경조사(14억원) *생물표본의 보전·관리기법에 관한 연구(4400만원) *해양부(83억원)=*마린바이오 21사업(62억원) *유전자 변형 수산물 안전성평가연구(3000만원) *해양생물유전체연구 등 인프라구축사업(20억5000만원).
이창환 기자 (chlee@medifonews.com)
200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