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과 종합병원 78곳에 대한 평가 결과로 ‘성적표’를 통지 받은 병원들은 저마다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벌써부터 각 병원은 시설 보완 및 확충, 양질의 의료인력 확보, 병원 시스템 개선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결과에 관계 없이 모든 병원계가 경영혁신 없이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감을 갖고 비상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한편 이번 결과에 대해 기대에 미치지 못한 평가를 받은 병원은 평가의 객관성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일등부터 꼴지까지’ 병원 줄세우기에 들어갔다며 볼멘소리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번 병원 서비스 평가가 병원 간 경쟁을 촉진해 의료서비스의 질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한 것이라는 본래의 취지가 퇴색 되서는 안 된다. 병원 소비자들이 공급자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됨으로써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찾아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메디포뉴스에서는 이번 의료기관평가 갖은 의미와 문제점 그리고 전망을 짚어봤다.
평가 분석 및 의미
이번 평가는 지난해 8~11월 *환자 권리와 편의 *진료체계 *병동 *영양 *응급 *수술관리체계 *약제 등 18개 항목에 걸쳐 우수(90점 이상, A), 양호(70~90점, B), 보통(50~70점, C), 미흡(50점 미만, D) 등 4개 등급을 매기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12개 항목에서 우수 등급을 받아 최우수병원으로 평가된 서울대병원을 비롯해 상위 10위권과 하위 10위권의 명단과 등급별 개수는 표와 같다.
상위 병원 10위 하위 병원 10위
순위
평가대상병원
순위
평가대상병원
1
서울대
1
안동
2
서울아산
2
동국대 경주
3
삼성서울
3
국립경찰
4
가톨릭대 의정부성모
4
남광
경희대 의대부속
지방공사 강남
6
강릉아산
6
전북대
7
가톨릭대 강남성모
7
광주기독
8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
8
분당제생
9
전남대
9
한림대 춘천성심
10
가톨릭대 성모, 강북삼성
10
광주보훈
이화여대 의대부속 목동
시설관리와 병동관리는 모든 병원이 양호 등급 이상이었다, 환자 권리와 편의, 진료체계, 감염관리, 안전관리, 의료정보·의무기록, 영양, 모성과 신생아는 80% 넘게 양호 등급 이상을 받았다.
그러나 응급관리, 수술관리체계 항목에선 양호 등급 이상이 30%에도 미치지 못했다. 인력관리 항목에서도 우수 등급이 하나도 없어 의료진 법정인력 충원 등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응급실과 수술관리 체계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가볍게 넘길 수 없는 분야다. 수가가 낮아 병원 수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 분야이기 때문에 신경을 덜 쓰는 분야이기도 하다. 이번 평가에서 78개 병원 중 이 두 분야에서 A 등급을 받은 곳은 없다. B 등급을 받은 병원도 평가대상의 30%에 불과했다.
평가 문제점 및 전망
이번 평가팀은 40개로 구성됐고 한 팀이 두 개의 병원을 현지 조사했다. 따라서 평가의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무엇보다 진료의 질을 평가하지 않은 게 가장 큰 문제다. 병원의 핵심은 진료 실력인데 이를 빼놓고 다른 부대 서비스를 평가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것이다. 복지부 진행근 의료정책과장은 “의료의 질을 평가하기가 쉽지 않다. 지난 80년간 의료서비스를 평가해온 미국도 최근에야 의료의 질을 시범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평가는 정부 차원에서 어떤 의료기관이 좋고 나쁜지에 대한 정보를 국민들에게 정확히 알려 국민들의 알 권리와 의료선택권 보장을 위한 것이 이번 평가의 가장 큰 목적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18개 분야별로 A~D 등급을 매겨 두루뭉수리로 발표했다. 물론 서비스 평가를 토대로 1등에서 78등까지 줄을 세우라는 얘기는 아니다. 문제는 주요 분야의 세부 자료 없이는 소비자들이 병원 선택에 여전히 애로를 겪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어떤 의료기관이 어느 정도의 인력과 장비, 시설, 등을 갖추고 환자들에게 어느 정도의 의료서비스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국민들이 알 수 있도록 객관적인 평가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다.
따라서 이번에 평가 기준으로 삼은 항목 외에 의료진의 의술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세부항목을 개발해 국민들이 의료기관별로 의술의 수준을 알 수 있도록 제시해야 할 것이다.
또 평가 결과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평가 방법을 보완해야 하고 환자와 의료기관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세부적인 의료기관별 평가 결과도 공개해야 할 것이다.
이창환 기자(chlee@medifonews.com)
200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