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최신연구진전

불면증 평가 및 치료에 디지털 표현형 활용 필요성 제시

고려대 조철현, 염지원 교수팀, 불면증 자기보고식 평가와 실제 수면의 질 차이 있어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염지원 교수팀이 디지털 표현형 기술을 이용해 주관적 불면증 심각도와 객관적 수면 데이터 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를 발표하며, 불면증에서의 디지털 표현형의 활용의 필요성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염지원 교수와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김형주 학생이 공동 제1저자, 조철현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으며, 전통적인 자기보고식 불면증 평가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활동 기반 수면 측정 사이의 불일치를 분석하여 불면증 평가 및 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불면증은 대표적인 수면 장애로, 일상생활에서의 기능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산출된 불면증 심각도 지수(Insomnia Severity Index, ISI)를 기반으로 평가된다. 최근에는 웨어러블 기술의 발전으로 지속적인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해졌으나 주관적인 불면증 심각도와 객관적인 수면 지표 사이의 관계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2023년 3월부터 11월까지, 25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불면증 심각도 지수와 웨어러블 기기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대상자들은 불면증 심각도 지수를 기반으로 4그룹(불면증 없음, 경도, 중등도, 중증 불면증)으로 구분하였고, 수면 패턴과 심박수, 신체활동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확보했으며,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운동, 스트레스, 음주, 카페인 섭취 등의 일상생활에서의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했다.

연구 결과, 불면증이 없는 그룹이 불면증 그룹보다 오히려 수면 중 깨어 있는 시간이 더 길었고, 수면의 질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면증 그룹 내에서는 주관적 불면증 심각도가 높더라도 총 수면 시간, 렘(REM) 수면 시간, 깊은 수면 시간 등 주요 수면 구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스트레스, 하지불안증상, 그리고 수면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포함한 심리적 요인 등이 불면증 그룹에서 주관적 불면증 심각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카페인 섭취와 음주량은 불면증 그룹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철현 교수는 “이 연구는 불면증의 주관적 고통이 단순히 수면의 양이나 질만으로는 설명되지 않음을 보여준다”며 “심리적 요인을 포함한 통합적,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염지원 교수는 “디지털 기술이 수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장기적인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환자별로 최적화된 치료를 설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JMIR Mental Health’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