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1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동물 장기 이용한 난치병 치료…국민 10명 중 7명 찬성”

“국내서도 5년내 환자 임상진입 전망”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7명은 돼지 등 동물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해 생명을 연장하는 이종장기이식 치료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의대 의학교육학교실 권복규 교수 연구팀은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회장 김길원)가 23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난치병 환자의 새 희망, 이종장기이식 현황과 미래 콘퍼런스에서 이런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현재 이종장기이식 치료는 장기가 완전히 망가져 마땅한 치료법이 없는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마지막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동물의 장기를 사람에게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가장 활발한 건 미국과 한국, 중국이다.

미국의 경우 지난달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 의료진이 바이오기업 e제네시스가 만든 돼지의 유전자 변형 신장을 말기 신장 질환을 앓는 62세 남성에게 이식하는 수술을 했다.

해당 남성은 혈관을 통한 투석 치료를 지속할 수 없게 되면서 장기이식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는 상태였다.

또 중국 산시성 시안 공군의과대학 시징병원 의료진도 비슷한 시기에 뇌사 상태인 50대 남성에게 유전자 변형 돼지 간을 이식했다. 이는 인간에게 돼지 간이 이식된 첫 사례로, 이식된 간은 담즙 분비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e제네시스와 하버드의대 등 연구팀은 지난 1월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서 거부반응을 최소화하고 인간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69개의 유전자를 편집한 미니돼지의 신장을 이식받은 원숭이가 최장 758일까지 생존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바이오기업 옵티팜이 유전자 변형을 거친 돼지의 신장을 원숭이에게 이식해 221일 생존 기록을 달성한 바 있다.

이번 설문조사는 전국에서 19세 이상 56세 미만 1천7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응답자들은 이종장기이식에 대해 71.2%가 알고 있다고 답했으며, 환자에 대한 치료법 적용에 대해서도 72.9%가 동의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다만, 본인이 이종장기이식 대상자가 됐을 경우 이식 치료를 받을지에 대해서는 이보다 낮은 61.7%가 동의했다. 

치료에 동의하는 이유로는 '난치병 치료 가능성 그 자체만으로 시도할만하다'는 의견이 53.1%로 가장 많았으며 반대하는 이유로는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45.4%를 차지했다.

이종장기이식을 위한 영장류와 돼지 실험에는 응답자의 78.9%, 78.0%가 각각 찬성했다.

사람에게 장기를 이식하기 위한 선결 조건 중 하나인 유전자 변형에 대해서는 찬성이 64.4%로 반대(31.3%)보다 많았다. 

또 뇌사자를 대상으로 한 이종장기이식 실험에 대해서도 찬성(60.9%)이 반대(32.7%)를 앞섰다.

국내에서는 향후 5년 동안 380억원을 투입해 이종장기이식 임상시험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 보건복지부 국가과제가 시행되고 있다.

현재 신장, 심장, 간 등의 장기와 췌도, 각막, 피부 등의 세포 조직을 이식하는 영장류 대상 비임상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각막이식과 관련한 비임상 연구는 한국의 성과가 가장 우수하고, 임상화에 근접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연구책임자인 윤익진 건국대병원 외과 교수(대한이종이식연구회 회장)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이종이식계에서는 가까운 시일 내에 이종장기를 난치병 환자에게 이식해 치료 기회를 확대하는 임상화의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윤 교수는 “특히 중국의 경우 비임상 영장류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임상화의 길을 가려고 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한국은 형질전환 기술과 이식 면역치료 분야에서 미국 다음으로 앞서나가고 있는 만큼 향후 난치병 치료 기회를 넓히기 위해서는 더 많은 투자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