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6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바이오의 주력산업화, 앞으로 정책은 이렇게 변해야 한다”

한국제약바이오헬스케어연합회 포럼, 글로벌 신약개발 육성 정책 방안 논의
바이오 산업 특성 고려한 맞춤형 설계 필요…활발한 오픈 이노베이션 및 인프라 조성, 인재 양성 등 강조

국내 바이오 산업이 주력산업으로 성장하는 데에는 대대적인 정부 정책 마련 및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바이오 경제 시대’라는 타이틀에 걸맞은 주도적인 정부의 역할이 요구된다는 의미다.


14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바이오 경제 시대의 글로벌 신약개발 육성 방안’을 주제로 한국제약바이오헬스케어연합회 제4차 포럼이 개최됐다.


이날 정병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은 ‘바이오헬스 산업의 주력산업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발제했다.



정병선 원장은 “산업연구원에서 이미 올해 초에 바이오를 주력산업으로 포함하기 시작했다. 바이오가 주력산업의 초입에 진입했다고 판단된다”고 말하며, 바이오 산업을 주력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 개선 방향들을 제시했다.

앞서 정부가 한국판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밝힌 만큼, 우선 대학과 병원, 기업, 연구기관 등이 함께 역량을 결집해 시너지를 내는 바이오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병선 원장은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 성장에는 매사추세츠 정부와 MIT(매사추세츠공과대학)가 전략적으로 연합하면서 대규모 투자를 섬세하게 잘 설계한 것도 있다”며, “특히 MIT 산업협력 프로그램(MIT-ILP) 및 랩센트럴(Lab Central) 후원사 등을 통해 자본의 투자와 후원이 굉장히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혁신을 이끄는 공간이 잘 조성돼 있고, 아이디어만 있으면 임상부터 설계까지, 그리고 실험까지 다 할 수 있는 모든 인프라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는 공간 구성으로 우수한 인력이 그곳에서 살고 싶게 만들기도 했다. 세계 최고의 명문대 인재들이 모여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하버드와 MIT가 만든 생물의학 연구소 ‘브로드 인스티튜트(Broad Institute)’와 세계 최고 수준의 병원인 MGH(매사추세츠종합병원) 등이 있는 것처럼 연구소와 글로벌 기업이 밀집돼 시너지를 내는 공간으로 조성돼 있다”며, 시스템 설계 시 이러한 생태계 조성 방법을 참고해야 할 것을 당부했다.

정병선 원장이 강조한 또 다른 안은 바이오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설계’다.

정병선 원장은 “바이오 산업은 비임상·임상 허가 등으로 10년 이상의 장기간 투자와 고비용이 요구되는 분야인 만큼 기초·응용연구 및 죽음의 계곡을 넘어설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절실”하며, “비임상·임상 및 생산 등 복잡한 개발 과정을 거침에 따라 스타트업 등 초기 기업이 모든 기능을 보유하기 어려우며, 자국의 기술과 아이디어가 중간에 글로벌 기업에게 팔리는 일이 잦은 만큼 기업들이 연합해 활발한 오픈 이노베이션 장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규제의 선진화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바이오는 인간의 생명과 건강, 안전에 밀접한 산업으로 규제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사실 이러한 기조는 민간부문의 자율성 저하와 경제활동 위축 등 부작용도 야기하기도 한다.

정병선 원장은 “산업 자체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도록 정부 개입이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돼야 한다며, 리스크 우려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섬세한 규제 정책 수립 후 지속적인 평가와 관리감독이 필요하다는 뜻을 전했다. 고도의 안전성을 규제를 통해 확보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정병선 원장은 “특히 의약품 분야는 세계 최고, 초격차 기술이 부재하고 원천기술 및 플랫폼 기술이 부족하다. 임상과 시장 진입을 고려한 기술개발도 미흡한 편이고, GMP 생산인력 및 해외 임상, 인허가, 등록 전문가가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신약 개발 패러다임 전환을 유발할 수 있는 신기술 및 혁신적인 의약품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하고, 생산과 임상 디자인, 해외 인허가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해야 한다. 또한,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미국 내에 집중하는 공급망이 중요한 이슈인데, 원부자재 국산화 및 필수 원료의약품 자체 개발 등 공급망 안정화 지원을 전반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날 정병선 원장은 △바이오벤처 M&A 활성화를 위한 세제 혜택 지원 △인허가 전문 인력 양성 지원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플랫폼 산업화 촉진 관련 법적 지원 등 또한 정부가 노력해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