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뇌졸중학회 “사망원인 4위 ‘뇌졸중’, 이대론 제대로 된 치료 어렵다”

뇌졸중센터 ‘지역편중’ 극심…중중응급의료센터도 24시간 치료 불가능



뇌졸중 치료 안전망 확보를 위한 병원 전단계 뇌졸중 환자 이송 시스템 강화, 전국적 뇌혈관질환 센터 구축, 뇌졸중센터 인증사업 지속·확장 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뇌졸중학회가 71'뇌졸중치료 향상을 위한 병원 전단계 시스템과 뇌졸중센터 현황 및 방향성'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기자간담회는 대한뇌졸중학회 주최로 국내 뇌졸중치료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효과적인 뇌졸중치료를 위한 정책적 개선 방안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대한뇌졸중학회 이경복 정책이사는 뇌졸중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 4위 질환으로, 연간 약 10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라면서 전체 뇌졸중환자의 78% 이상이 60세 이상의 고령환자인 만큼,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대한민국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점차 늘 수밖에 없다라고 강조했다.

 

재관류치료(급성뇌경색 환자에게 혈전용해제를 사용해 혈전을 녹이거나, 기구를 뇌혈관에 삽입해 혈전을 제거하는 시술)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로 일차 이송비율이 증가할수록, 환자 사망률이 감소하는 경향이 연구에서 확인됐다, “병원전단계에서 뇌졸중환자를 적절한 치료 기관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전문인력 부족과 뇌졸중센터의 지역불균형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강지훈 병원전단계위원장(서울의대 신경과)은 첫 병원 방문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들이 지역별로 편차가 심한 이유로 뇌졸중 전문의료인력의 부족 및 뇌졸중센터의 지역적 불균형 문제를 꼽았다.

 

지역응급의료센터는 225월 기준으로 215개에 달하나, 표준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는 67개뿐이다. 또 구급대원이 이송 예상병원에 뇌졸중 의심 환자 사전 고지 비율이 98%에 달하지만, 이 정보가 뇌졸중진료 의료진에게 적절하게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뇌졸중센터가 소위 복합쇼핑몰 분포와 비슷하게 서울·경기·부산 등 특정 지역에 밀집돼 있는 문제점과 뇌졸중 환자들의 급성기 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도 수도권에 57.1%가 집중돼 있는 극심한 지역편중에 대한 개선 필요성도 강조했다.

 

차재관 질향상위원장은 전남·전북·경북·강원 등과 같이 고령인구의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 지역은 뇌졸중센터가 확충돼야 한다뇌졸중과 같은 급성기 질환은 치료에 따라 환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기 때문에, 거주지역으로 인해 적절한 치료를 받을 권리를 누리지 못해서는 안된다라고 설명했다.

 

학회는 뇌졸중센터 지역 불균형의 주 원인으로 인력·자원 부족을 꼽았다.

 

차재관 질향상위원장은 뇌졸중집중치료실은 뇌졸중 후 환자 사망률을 21% 감소시키는 효과가 확인될 정도로 환자의 예후와 직접적인 연관을 보이지만, 2017년 뇌졸중 집중치료실에 대한 수가가 신설됐으나 턱없이 낮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뇌졸중 집중치료실의 입원료가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병동 병실료 보다 낮은 약 13만원~15만원인 것에 대해 지적했다.

 

이 외에도 차 위원장은 신경과 전문의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짚었다.

 

급성기 환자가 주로 방문하는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전문인력이 부족하며, 2018년 심평원의 적정성 평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63개 응급의료센터 중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센터는 113개 밖에 되지 않는으며, 30.7% 응급의료센터에서는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학회는 이런 지역편중 현상 해결을 위해서는 병원전단계 뇌졸중 환자 이송 시스템을 강화하고 중증응급의료센터 기반으로 뇌혈관질환 센터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응급의료서비스(EMS, Emergency Medical Service)와 뇌졸중 치료가 가능한 센터와의 네트워크 구축 및, 담당 의료기관을 전국적으로 균형감있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진료권을 기반으로 한 응급의료센터 분포 체계와 같이, 급성기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뇌졸중 센터를 전국적으로 확충하고 신경과 전문의를 배치해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더불어 올해 2022년 보건복지부 예산 중때 응급의료기금은 2759억원으로 전년(2021)보다 12% 증가했고, 암과 관련된 예산은 1019억원 정도로 편성돼 있지만, 중증필수질환인 뇌졸중과 관련된 권역심뇌혈관센터 지원 예산은 71억원으로 예산 지원이 미흡한 상황이므로 전달체계의 기본이 되는 지역뇌졸중센터의 설치와 권역센터 확대, 중앙센터 설치 등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 절실하게 필요함을 호소했다.

 

한편, 학회는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대한응급의학과와 함께 오는 202272일 토요일 공청회를 진행한다.

 

대한뇌졸중학회 이경복 정책이사는 뇌졸중은 적정 시간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느냐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급격히 달라지는 급성기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문의 부족, 뇌졸중 센터 운영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지역별로 상당히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라고 밝혔다.

 

특히 변화하는 인구구조와 치료 환경을 반영해, 병원전단계에서 적절한 기관으로 이송되어 적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인프라가 구축돼야 하며, 더불어 치료의 질 관리를 위해 자원 배분 역시 적절하게 반영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