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디지털헬스케어 생태계 발전과 고도화를 목표로 하는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회’가 새롭게 출범했다.
이번에 출범한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회는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분야 기업인과 관련 전문가, 시민단체 등 110여 회원사와 함께 벤처기업협회에서 주관해 운영한다.
10일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에서 출범식을 갖은 위원회는 앞으로 국민 건강 증진과 우리나라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발전 및 고도화를 위한 정책 발굴 및 제안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정부·기업간 소통 촉진 ▲비대면 진료 ▲바이오, ICT 융합 의료기기 등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와 규제 해소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정부, 국회, 의료계 등과 협력해 디지털헬스케어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정책제도 개선 추진에 전력을 다할 방침이다. 또한, 국내 및 해외 기업, 시민단체 등과도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관련 규제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벤처기업협회 송승재 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의료계가 주관하는 디지털 전환을 이루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팬데믹 상황에서 시작된 제2의 디지털 전환이 의미 있는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IMF 이전에 있었던 활발하고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안정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 의료계와 정치권이 적극적으로 협력해 규제 개선에 나서야 하고, 사업규제 개선과 신설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할 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회의 시작을 출발점으로 해서 한국 의료계의 디지털 전환이 안정적으로 가속화 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김민석 국회의원은 축사를 통해 ”의료인, 기업인, 전문가, 환자가 함께 참여하는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회가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발전을 위해 입법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고 제안해주실 것으로 기대한다“며 ”제안된 정책이 입법화 될 수 있도록 정부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의료 전환, 의료인-산업계 함께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회 출범 기념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세미나도 열렸다.

먼저, 서울아산병원 김준환 교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속화된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의 예로 디지털 헬스케어와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병원, 비대면 진료, 의료 인공지능, 디지털 치료제, 의료 데이터, 홈케어 등을 소개했다.
김 교수는 ”다양한 의료 영역에서의 디지털 전환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 제도적 지원, 특히 보상체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라이프시맨틱스 손동천 팀장은 재외국민 원격의료 서비스인 ‘닥터콜’ 사례 발표를 맡아 “주요 국가의 비대면 의료 시장은 점진적으로 제도화와 서비스 침투가 이뤄지던 비대면 진료가 코로나를 기점으로 대폭 성장했다”며 “미국의 비대면 진료 이용률은 11%에서 46%로 38배 증가했고, 일본 15%, 캐나다 70% 프랑스 11% 등 해외 주요국의 비대면 진료 이용비율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데 비해, 한국의 비대면 진료이용률은 0.2%에 그쳐 해외의 코로나 발생 이전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손 팀장은 “비대면 진료 플랫폼 중심의 통합 서비스는 미래가 아닌 현재라며, 공간과 시간의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의료 시스템의 정착을 위해 현존하는 우려를 불식시켜 나가는 방향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웰트 주식회사 대표이자 미래의료협동조합 발기인인 강성지 대표는 ‘디지털 치료제와 비대면 의료’ 주제 발표를 통해 디지털 치료제의 개념과 글로벌 기업 및 웰트의 불면증 디지털 치료제 개발 사례를 언급하며 ”다양한 디지털 치료 기술이 보급되어 널리 쓰이려면 비대면 진료를 비롯한 합리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 정비가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디지털헬스케어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재활치료서비스’를 주제로 발표를 맡은 네오펙트 반호영 대표는 ”고령화 시대에 발생할 수밖에 없는 의료인력 부족 문제 등을 기술 혁신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환자, 병원, 국가적인 편익이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래는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회 출범식 선언문 전문.
우리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회는 우리나라의 의료분야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디지털헬스케어분야 생태계를 고도화하기 위해 상호 협력할 것을 선언한다.
하나, 우리는 국민 건강 증진과 우리나라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상호 협력하에 담론을 다루는 장을 마련하고자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회」를 결성한다.
하나, 우리는 정부, 의료계, 산업계와 협력하여 비대면 진료, 바이오, ICT 융합 의료기기 등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도 개선 및 관련 규제개혁을 위해 정책 제언 등 노력을 함께 한다.
하나, 우리는 디지털 헬스케어분야 기업인과 관련 전문가들 간의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최신 정보와 동향을 공유하고, 업계 공통애로에 대해 공동 대응한다.
하나, 우리는 국내 디지털헬스케어분야 신기술과 제도의 괴리를 찾고 부처와 시민단체, 산, 학, 연의 목소리를 들어 모두가 상생하는 발전적 산업 생태계가 만들어 질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