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은 11월 8일(수) 통계청이 주관하는 제35회 통계작성기관 워크숍에서 ‘국가통계 개발‧개선 부문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기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통계청은 매년 국가통계작성기관(2023년도 209개 기관)을 대상으로 신규통계를 개발하거나 기존 승인통계를 개선, 보급해 정책수립에 활용하는 등 국가통계 개발‧이용 활성화에 기여한 우수기관을 선발해 포상하고 있다. 공단은 국가통계 발전 및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가통계 개발‧개선 부문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통계개발‧개선 우수사례 심사기준은 ▲충실도, ▲효율성, ▲계속성‧노력도, ▲창의성 등 4개 분야 전반의 노력을 평가하는데, 특히 공단은 ‘OECD 제공 수술통계 개선방안’에 대한 통계를 새롭게 만든 것에 대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 통계는 해외 문헌고찰 및 OECD 회원국의 산출기준‧방법을 확인해 통계기준을 정의하고, 공단과 병원(일산병원 등)의 수술통계를 직접 비교‧검증했으며, 관련학회 전문가로부터 자문을 받아 산출기준을 정비하는 등의 연구방법을 거쳤다. 이 내용은 공단이 발간하는 국가승인통계인 ‘2021 주요수술 통계연보’에 신규통계표로 최초로 수록
2019년도 우니나라의 공공사회복지지출 규모는 235조9000억원으로 GDP 대비 12.3%를 지출했으며, 이중 보건 분야에서 GDP 대비 4.8%를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26일 ‘OECD Social Expenditure(SOCX) Update 2023’ 보고서를 통해 2019년도 한국의 공공사회복지 지출 규모를 발표했다고 27일 밝혔다. OECD에 따르면 2019년도 우리나라의 공공사회복지 지출 규모는 235.9조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12.3%, OECD 평균의 61.2% 수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8년도 및 2019년도의 공공사회복지지출 규모는 각각 206.8조원(GDP의 10.9%) 및 235.9조 원(GDP의 12.3%)이며, 전년 대비 각각 11.5% 및 14.1% 증가했다. 주요 증가요인은 의료․장기요양서비스 이용 확대, 공적연금 수급자 증가, 기초연금 확대, 아동수당 도입‧확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대상자 확대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9대 정책 중에서 보건 분야의 지출 규모는 93.3억원으로 GDP 대비 4.8% 지출했으며, 가장 지출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보건복지부는 26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7월 초에 발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2’ 주요 지표별 우리나라 및 각 국가의 수준과 현황을 분석·공표했다. 자료는 코로나19 유행 이전 2020년까지의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으로, 코로나 이후 급변한 의료 환경을 반영하지는 못했지만 가장 최신의 보건의료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주요 결과의 내용을 표로 정리했다. 우리나라는 기대수명이 OECD 평균보다 높고, 회피가능사망률(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로 막을 수 있는 사망의 비율)도 낮아 전반적인 국민 건강 지표는 좋다고 볼 수 있다. 흡연율과 주류 소비량은 OECD 평균 이하이며, 과체중 및 비만 비율은 OECD 국가 중 밑에서 2위이다. 단, 보건의료인력은 임상 의사 수, 간호 인력 모두 OECD 평균에 뒤처지는데, MRI, CT 등 의료 장비 수는 OECD 국가 평균에 비해 많고, 병상 수도 OECD 평균의 2.9배에 이르는 특이사항이 있다. 의료 장비와 병상이 많아도, 이를 운영할 의료인력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듯 보건의료인력 확보가 향후 보건의료 개선의 방향이 될 것으로
OECD 국가 중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수준과 보건의료 이용수준은 높지만 보건의료 인력규모(한의사 포함)는 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 인력 역시 OECD 평균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지난 2일 발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1’의 주요 지표별 우리나라 및 각 국가의 수준·현황 등을 분석했다. 주요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3.3년으로 OECD 국가(평균 81.0년) 중 2.3년은 더 길어 상위권에 속했다. 기대수명이 가장 긴 일본(84.4년)과는 1.1년의 차이를 보였다. 우리나라 회피가능사망률(Avoidable mortality)은 인구 10만 명 당 144.0명(2018년 기준)으로 OECD 평균보다 낮았다.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당 회피가능사망률은 2008년 231.0명, 2013년 182.0명, 2018년 144.0명으로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2018년 우리나라의 자살사망률은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으며, 장기간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2018년 소폭 증가했다. 2019년 우리나라의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은 오는 11월 17일부터 18일까지 이틀간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 주관 글로벌 이벤트 ‘Government After Shock(정부, 위기 그 이후를 대응하다)’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OECD 공공부문 혁신연구소(Observatory of Public Sector)가 주관하는 행사로, 글로벌 사회가 직면한 위기 상황에 대해 ‘기관, 지역사회, 정부’의 의견을 공유하고, 정부와 지역사회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공하고자 마련된 자리이다. 행사 내용은 각 국 글로벌 리더가 참여해 정부가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혁신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그 방안을 세부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1일차(17일)에는 ‘혁신을 통한 재검토 및 재건’이라는 주제로 지역사회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집중 조명해 글로벌 의견을 청취한다. 2일차(18일)에는 ‘위기를 넘어서는 체계적인 변화‧협력’을 주제로 각 국 글로벌 리더가 참여해 정부의 미래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는 가상 포럼이 진행된다. 김선민 원장은 2일차(18일)에 ‘미래를 위한 건강시스템-탄력성, 협업, 혁신’을 주제로 진행되는 패널토론에 참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