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이전에 2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사람은 같은 나이대의 일반인에 비해 심혈관 질환에 걸리거나 일찍 사망할 가능성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하대병원은 서다혜·조용인·안성희·홍성빈·김소헌 교수로 이뤄진 내분비내과 연구팀이 2형 당뇨병 진단 연령에 따라 심혈관 질환 유병률 및 사망률을 분석했다고 9월 5일 밝혔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활용해 2012년부터 2014년 사이에 2형 당뇨병으로 처음 진단받은 18세 이상 성인 63만 4000명과 성별, 연령, 심혈관질환 과거력을 매칭한 정상 대조군 126만 8700명을 대상으로 6년간 추적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40세 이전에 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는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5배 더 높았으며, 심부전으로 입원할 확률은 7배, 심혈관 질환이나 기타 원인으로 사망할 확률도 최소 5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진단 연령이 10년씩 증가할수록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점진적으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을 유지했다. 91세 이후에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경우에도 대조군보다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약 3배 높았고, 심부전으로 입원할 위험은 1.2배 높았다. 이번 연
20세 미만에 조기 발병한 2형당뇨는 성인 때 발병한 것과 유전적 특성이 다르다는 사실이 최초로 확인됐다. 서울대학교병원은 곽수헌 내분비대사내과 교수와 보스턴어린이병원 제이슨 플라닉 교수를 비롯한 하버드·MIT 등 공동연구팀이 소아청소년 2형당뇨 환자 3005명의 유전체를 분석해 유전적 특성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소아청소년 2형당뇨의 원인 유전자변이를 파악하기 위해 환자군 및 대조군을 1만2000여명을 대상으로 전장 엑솜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환자군 10명 중 2명(21.2%)이 당뇨 발병 위험을 3배 이상 높이는 원인유전자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단일유전자당뇨 희소변이’는 2.4%였는데, 이는 사실상 소아청소년 2형당뇨 환자들이 다른 유형의 당뇨를 앓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단일유전자당뇨는 먹는 약으로 치료할 수 있거나, 아예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2형당뇨와 다르다. 그밖에 ‘단일유전자당뇨 외 희소변이’는 3.4%였으며, 성인 2형당뇨 발병과 연관된 ‘다빈도변이’는 12.6%였다. 당뇨의 원인 유전자변이는 ▲다빈도변이(흔하지만 유전적 영향력 약함) ▲희소변이(매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