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과 관상동맥질환을 함께 갖고 있는 환자에게 심방세동 치료제만 복용토록 하는 것이 관상동맥질환 치료제와 심방세동 치료제 모두 복용한 집단에 비해 1년 뒤 사망·뇌졸중·심근경색·출혈 등 주요 임상사건 발생률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은 심장내과 남기병·박덕우·조민수·강도윤 교수팀이 고위험 심방세동과 관상동맥질환이 동반된 환자 1040명을 대상으로 1년간 치료효과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9월 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내 18개 기관에서 고위험 심방세동과 안전형 관상동맥질환이 같이 동반된 환자 1040명을 무작위 배정한 뒤, 항응고제인 에독사반으로 단독치료한 집단 524명과 항응고제(에독사반)와 항혈소판제(아스피린 혹은 클로피도그렐) 모두 이용한 복합치료 집단 516명으로 나누어 1년 뒤 치료 효과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사망·뇌졸중·심근경색·출혈 등 주요 임상사건 발생률이 항응고제와 항혈소판제 복합치료 집단에서는 16.2% 발생한 반면, 항응고제 단독치료 집단에서는 6.8% 발생해 주요 임상사건 발생률이 약 5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출혈사건이 약 66% 감소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
SK케미칼(대표이사 사장 전광현)은 항혈소판제 ‘리넥신’을 서방정 제형으로 새롭게 시판 허가를 받았다고 25일 밝혔다. 리넥신은 ‘실로스타졸(cilostazol 200mg)’과 ‘은행잎 추출물(ginkgo biloba ext. 160mg)’복합제로 만성동맥폐색증에 따른 허혈성 제증상의 개선, 뇌경색 재발억제에 효과적이며 이번 제형 변경을 통해 1일 1회 복용으로 변경돼 환자 복약 순응도와 편의성을 개선했다. 회사 측은 “리넥신 서방정은 실로스타졸 제제의 기존 부작용인 두통 등의 이상사례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실제로 세브란스병원 외 국내 18개 기관에서 진행한 3상 허가임상 결과를 보면 리넥신 서방정은 기존 정제와 비교해 이상사례 발현을 43%나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리넥신은 지난 해 12월 말 기준으로 국내 누적 매출 680억원을 달성했으며 이번 리넥신 서방정 출시를 계기로 국내 혈액순환장애 시장 공략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UBIST)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국내 항혈소판제 시장에서 실로스타졸 성분은 약 816억원 규모로 최근 5년 평균 10.7%의 성장율을 보이고 있어 전체 항혈소판제 시장 평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