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메디우스가 대한결핵협회와 함께 키메스 부산 2025에서 골다공증 선별 AI 기술을 선보였다. 노화 및 대사질환 AI 기업 프로메디우스(대표이사 배현진)가 9월 26일부터 28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키메스 부산 2025’에서 흉부 X-ray 기반 골다공증 선별 AI 소프트웨어 ‘Osteo Signal(오스테오 시그널)’을 성공적으로 선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프로메디우스는 의료 스타트업, SaMD(소프트웨어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기업들이 모여 혁신 기술을 공유하는 ‘KIMES INSPIRE 특별관’에 참가했다. 또한 대한결핵협회와 함께 50세 이상 관람객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AI 분석 시연 행사’를 진행했다. 시연에는 총 165명이 참여했으며, 이 중 약 32%가 골다공증 위험도가 높다는 분석 결과를 확인했다. 참가자들은 해당 시연이 진단이나 치료 목적이 아님을 사전 안내 받은 뒤, 이동검진 차량에서 흉부 X-ray를 촬영하고 골다공증 AI 분석 리포트를 받았다. 오스테오 시그널은 의료 현장에서 가장 많이 촬영하는 흉부 X-ray 영상을 분석해 50세 이상 수검자의 골다공증의 위험도를 선별하고, 이를 리포트 형태로 제공해 의
프로메디우스가 2025 미국골대사학회(The Americ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이하 ASBMR 2025)에서 초록 3편을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흉부 X-ray 기반 골다공증 선별 AI 소프트웨어 Osteo Signal(오스테오 시그널)의 임상 및 보건경제적 가치를 국제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발표에는 프로메디우스의 과학자문위원회 위원이자 미국 시다스-시나이 병원 임상교수인 스튜어트 실버맨(Stuart Silverman) 교수와 싱가포르 종합병원 내분비내과 골다공증 및 골대사학 유닛의 선임 컨설턴트 및 소장 만쥬 찬드란(Manju Chandran) 교수가 참여했다. 실버맨 교수는 ‘미국의 딥러닝 AI 기반 흉부 X-ray 분석을 통한 골다공증 선별의 비용효과성(Cost-Effectiveness of Opportunistic Osteoporosis Screening Using Chest Radiographs With Deep Learning in the United States)을 발표했다. 미국의 50세 이상 여성 1000명의 흉부 X-ray를 분석한 AI가 골다공증을 조
국내 바이오 스타트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돕는 로드쇼 ‘머스트 커넥트 싱가포르’가 12일부터 13일까지 이틀간 싱가포르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신한 스퀘어브릿지 인천이 한국 바이오 스타트업과 글로벌 바이오회사 및 투자자들 간의 협력 구축을 위해 주관한 행사로,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인 빅뱅엔젤스 등도 싱가포르와 한국간 스타트업 네트워크 지원을 위해 참여했다. 행사에는 존슨앤존슨, 닥퀴티(Docquity), APACMed 등을 비롯한 주요 글로벌 바이오테크(Bio-tech) 및 메드테크(Med-tech) 기업들과 싱가포르 벤처캐피탈, 싱가포르 바이오협회 등 관련 기관과 연구소, 대학, 병원 등이 핵심 파트너로 초청됐다. 국내에서는 인공지능 플랫폼 기업 ‘프로메디우스’와 AI 기반 의료 동영상데이터 아카이빙 솔루션을 제공하는 ‘MTEG(엠티이지)’를 비롯해 ▲팬토믹스 ▲포트래이 ▲바이오디자인랩 ▲뉴라이브 ▲셀키 등 총 7개 스타트업이 참가했다. 이들은 존슨앤존슨, 닥퀴티 등의 기업들과 투자사 등을 대상으로 투자설명회(IR)와 1:1 비즈니스 미팅을 갖고 제품과 서비스 전시를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를 갖게 된다. 특히, 참가 스타트업 중 ‘프로메디우스’와 ‘M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