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주과학회가 발행하는 공식 학술지인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JPIS)가 국내를 넘어 세계적으로도 상위 치의학 학술지로 평가받고 있다. 대한치주과학회는 Clarivate의 공식 발표에 따르면 2024년 JPIS의 피인용지수(Impact Factor, IF)가 3.2점으로 평가됐다고 6월 20일 밝혔다. JPIS의 IF는 2021년 2.1점, 2022년 1.9점, 2023년 2.2점으로 전반적 상승세를 보여왔으며, 2024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3점을 돌파해 괄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했다. 전 세계 치의학 분야(DENTISTRY, ORAL SURGERY & MEDICINE)의 SCIE급 학술지 중 JPIS 순위(JIF rank)는 2023년 기준 158개 중 52위에서, 2024년 기준 162개 중 27위로 도약하고, JIF QUARTILE가 상위 50%(Q2)에서 25%(Q1)로 상승하여 전 세계 저명한 치주저널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특히 JPIS의 2024년 IF 3.2점은 현재 국내에서 발행되는 치의학 분야 등재 학술지 중 가장 높은 수치로, 국내 치의학 학술지 중 최초로 연간 피인용지수가 3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는 지난 6월 12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제9회 치주질환과 NCD (Non-Communicable Diseases, 만성비전염성질환)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만성질환 관리 사업의 현재와 미래’ 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이번 컨퍼런스에는 총 150명이 등록해 보건복지부와 대한치주과학회가 함께 진행하는 구강보건사업에 대한 많은 관심을 보였다. 첫 번째 연자로, 최종희 국장(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은 ‘만성질환 현황과 주요정책’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만성질환으로서 치주질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질환들과의 연관성을 홍보하는 것에 힘써야 함을 강조하며 연관 학회와의 협업에 대해 제안했다. 이 후 만성질환의 특성, 예방관리 관련 주요 정책 및 사업 소개,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지원, 향 후 추진 방향 등에 대해 설명하며 질병관리청이 치주질환을 주요 관심 범위에 둘 수 있도록 학회 차원의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이어서, 대한치과의사협회 송종운 치무이사는 ‘NCD, 치과의사협회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구강 검진 이수율 감소, 치주질환 유병률의 지속적 증가, 구강병의 소득에 따른 격차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는 2025년 5월 1일부터 한 달 간 제2회 KAP Clinical Traineeship program을 완료한 해외 치과의사들에게 2025년 5월 30일 수료식을 거행했다. ‘KAP Clinical Traineeship’은 대한치주과학회가 개발도상국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한수부 국제협력 펠로우십 프로그램(Dr. Han SB’s Global Fellowship Program)의 일환으로, 국내 유수의 치과대학병원에서 치주 및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임상 교육과 참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에도 몽골국립의과대학병원 (Central Dental Hospital of MNUMS,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치주과 전공의 2년차 3명 (Angar Soronzonbold, Bolor Nuvaansuren, Khulan Gansukh)이 선정돼 경희대학교치과병원과 서울대학교치과병원 및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서 진료 참관과 함께 각종 실습과 강의, 세미나 참여를 통해 다양한 임상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참가자 대표 Angar Soronzonbold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대한치주과학회(KAP)는 5월 24~25일에 일본 나하에서 개최된 제68회 일본치주병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석했다. 이번 학회는 ‘Artistic periodontal therapy based on science’를 대주제로 개최됐으며, 설양조 회장과 김창성 부회장, 신승윤 총무이사 등의 이사진 및 치주학회 회원을 포함해 총 21명이 참석했다. 특강 연자로 초청된 설양조 회장은 'Development of zirconia dental implant fixture' 을 주제로 강의했다. 또한 국제 세션 KAP연자로 박진영 교수(연세대 치주과)의 'Is transmucosal healing of an implant as effective as submerged healing when simultaneous guided bone regeneration is performed? A preclinical study' 특강이 진행됐다. 또한 이번 춘계학술대회에서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와 일본치주병학회(회장 Nobuo YOSHINARI)는 '학술교류 협정(MOU) 연장조인식’을 갖고 돈독한 상호 협력관계를 재정비하며 상호 간 더욱 적극적인 교류를 약속했다. 양 학회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는 지난 4월 2일부터 치과 포털 사이트 ‘덴올’에서 치주과학 분야를 총망라하는 커리큘럼을 동영상 강의로 제공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4월 2일부터 6월 25일까지 매주 수요일 8시에 제공되며, 모두 24강으로 이뤄진다. 하나의 강의는 약 30분으로, 매주 두 개의 강의가 열린다. 치주질환의 분류와 이에 대한 비외과적 처치, 외과적 처치는 물론, 임플란트, 골유도재생술 및 임플란트 주위염까지 다양한 영역에 대한 강의를 선보인다. 강의자는 대한치주과학회를 구성하는 전국의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교수들과 저명한 치주과 전문의들로 이뤄졌다. 강의에 활용되는 학술 관련자료도 제공되는 점이 장점이다. 제 1강에서는 구기태 교수(서울대)가 ‘치주질환의 분류법 Review’라는 주제로 강의했다. 먼저, 치주질환의 분류가 1989년부터 어떻게 현대까지 변해왔는지를 설명했다. 과거 가장 많이 통용되던 1999년의 치주질환 분류법에 대해 설명했고, 2017년 World Workshop에서 새로이 결정된 치주질환 분류법 (건강한 치주 및 치은염, 치주염, 치주염의 원인인자, 임플란트 주위염)에 대해 설명했다. 제 2강에서는 김현주 교수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 제35회 춘계학술대회(학술대회장 엄흥식)가 4월 4(금) ~ 5(토) 평창 알펜시아 컨벤션에서 개최됐다. 이번 춘계학술대회의 주제는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for overcoming clinical challenges’라는 대주제로 임상에서 만날 수 있는 문제들의 다학제적 접근 방법에 대해 논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학술대회 첫째 날(4일)은 설양조 회장의 인사말 및 엄흥식 학술대회장의 개회선언을 시작으로 진행됐으며, 첫번째 세션으로 전공의들이 그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뽐내는 구연발표가 진행됐다. 이후 ‘미술이라는 즐거움 – 삶이 예술이 되는 순간’ 이라는 주제로 김석모 박사(前 솔올미술관 관장)의 특강이 있었다. 인류가 미술을 받아들였던 다양한 관점에 대해 소개하며 인간은 본능적으로 예술을 추구한다는 점에 대해 강조하였으며, 기능성과 관계 없는 미술에서도 인류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예시들을 소개했다. 더불어 치주학에서도 기능성만 추구하는 것이 아닌 예술성을 추구하다 보면 필요한 기능성이 충족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해주어 청중들의 흥미를 끌었다. 두 번째 날인 5일 오전에 진행된 강연에서, 황인경 교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와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은 20일(목),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임플란트 성공과 실패, 사후관리가 좌우합니다.’라는 주제로 ‘제17회 잇몸의 날’ 행사를 진행했다. 최근 고령화 및 식습관 변화로 임플란트 치료가 증가하고 있으나, 올바른 사후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임플란트 주위질환을 겪거나 심한 경우 식립된 임플란트를 제거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대한치주과학회는 최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임플란트 주위질환의 유병률과 위험 요소를 분석하고, 올바른 사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3월 24일 잇몸의 날을 기념해 <치아도, 임플란트도 3.2.4 수칙>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사후관리 가이드를 제안했다. 임플란트 주위질환, 초기 자각 어려워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첫번째 발표에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박진영 교수는 ‘임플란트 주위질환과 사후관리의 중요성’을 주제로 사후관리가 부족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임플란트 주위질환인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연구에 따르면,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자의 43%가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을, 22%가 임플란트 주위염을 경험하는
‘제17회 잇몸의 날’을 공동으로 주최하는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와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은, 지난 14일(금) 한양여자대학교에서 ‘사랑의 스케일링’ 봉사 활동을 진행했다. 사랑의 스케일링은 평소 치과 방문이 어려운 이웃들에게 구강 검진, 스케일링 등 의료 서비스를 지원하는 재능기부활동으로, 대한치주과학회, 한양여자대학교, 동국제약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이날 대한치주과학회 회원들과 한양여자대학교 치위생과 학생들은 팀을 이뤄, 80여명의 성분도복지관 참여자들에게 스케일링(치석 제거)과 칫솔질 교육 등의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동국제약 임직원들로 구성된 ‘인사돌플러스 사랑봉사단’은 행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참여자 인솔과 동선 및 공간 정리 등 현장 지원 활동을 펼치고, 행사 참가자들의 점심 식사를 제공했다. 성분도복지관은 지적·자폐성 성인 장애인들이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심리·정서적 안정과 일상생활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지역사회 재활시설이다. 직업 역량 강화, 공동체 생활 기술 습득, 문화·스포츠·여가활동 등 성인기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한치주과학회 김남윤 홍보위원장은 “잇몸 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고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는 지난 3월 13일 경희대학교치과병원 지하 강당에서 2025년 1차 학술집담회(등록자 204명)를 개최했다. 첫 연자로 김윤정 교수(관악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는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최신 가이드라인: Consensus Report of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과거 다양한 기관에서 발표한 임플란트 주위 질환 관련 consensus 및 position paper 등을 소개하고 대한치주과학회 학회지인 JPIS에 2024년 12월 발표한 narrative review 논문을 바탕으로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정의, 진단, 주요 위험 요인, 치료 protocol 등 의 최신 지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 청중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두 번째 연자로 이중석 교수(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는 ‘진단 후 환자가 떠나는 이유는?: 치과의사와 환자가 함께하는 현명한 선택’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치주질환 이환 치아의 치료계획수립을 위한 환자와 의사 공동의 의사 결정, 즉 공유의사결정의 의의와 필요성에 대해 임상 증례를 예시로 설명해 그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이에 대한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는 2025년 치주과 신입 전공의 51명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8층 서정선 세미나실에서 오리엔테이션을 지난 8일 진행했다. 설양조 회장(서울대학교 치주과학교실)은 신입 전공의들에게 축하 인사를 전하며, 치주학 발전에 기여할 역량을 키우는 동시에 전국 전공의들과 화합하며 치주과학을 전공하는 즐거움을 느끼길 바란다고 했다. 또한, 이재관 수련고시위원회 위원장(강릉원주대학교 치주과학교실)은 ‘구강 건강의 선도적 역할 및 치주 과학의 글로벌 리더’라는 대한치주과학회의 비전과 미션을 강조하고 학회의 조직 및 현황을 소개했다. 이어진 강연에서 유상준 수련고시이사(조선대학교 치주과학교실)는 전공의 수련 규정 안내 및 온라인 전공의 수련기록부 작성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전공의 필수 수련 기준 및 학회 주요 일정 등에 대해 소개했다. 김영성 보험이사(서울아산병원 치주과)는 급여·비급여 체계, 의료 청구 및 기록에 관해 소개했고, 차팅의 정확성 확보 방안에 대해 강조하며 이에 대한 법적 중요성에 대해 설명해 줬다. 마지막으로 김용건 편집이사(경북대학교 치주과학교실)는 대한치주과학회 학회지인 JPIS에 대해 소개하며 전공의이기 이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