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28일 서울(스위스 그랜드 호텔)에서 ‘국가 진단검사의학 표준화체계 구축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질병관리청과 대한진단검사의학회가 공동 주관해, 진단검사의학 분야의 보건정책 현황을 공유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심포지엄은 국가 진단검사의학 표준화체계 구축을 위해 공헌한 진단검사의학 분야 전문가에게 보건복지부장관 표창(3명) 및 질병관리청장 표창(2명)을 수여하고, 감염병과 만성질환 분야의 진단검사의학 표준화 정책 방향에 대해 민·관이 함께 논의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질병 관리의 진단검사의학 품질 향상을 위한 표준화 체계 구축 방안’을 주제로, 질병관리청과 민간 전문가의 발표와 토의가 진행된다. 1부는 만성질환 분야 진단검사의학 표준화사업의 추진경과 및 성과를 중심으로, 표준화 사업의 민·관 협력방안 및 효과분석을 각각 울산의대 김솔잎 교수와 건국의대 윤여민 교수가 발표하며, 질병관리청 만성질환예방과에서 2022년 진단검사의학 표준화사업의 결과 보고를 발표한다. 이어 2부에서는 국내 공공의료 질 향상을 위한 진단검사의학 표준화 정책 방향을 논의한다. 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관리총괄과장과 만성질
경희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조선영 교수가 ‘Practical Laboratory Medicine’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위촉됐다. 아시아에서는 중국, 일본, 홍콩에 이어 한국에서는 유일하다. 해당 저널은 국제적으로 저명한 의학전문 출판사 엘스비어(Elsevier)에서 출간하고 있으며 임상화학, 혈액학, 분자생물학, 유전학, 독성학, 치료적 약물 모니터링 등 진단검사의학 분야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편집위원은 세계 각국의 진단검사의학 분야 유명 교수진 28명으로 구성돼 있다. 경희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조선영 교수는 “그 어느때보다 진단검사의학 분야의 중요성과 역할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첨단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발전을 거듭해나가고 있다”며 “편집위원으로서 환자에게 최선의 진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되는 최신화된 의학지식 및 기술 등이 다양하게 다뤄질 수 있도록 사명감을 가지고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부편집위원장을 역임한 조 교수는 90여편의 주저자 논문과 40여편의 공저자 논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펼쳐나가고 있으며 한국여의사회 신진학술상 수상, 차세대 한림원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이 진단검사의학 수탁기관으로 지정됐다. 의정부을지대병원은 검사실 운영을 위해 전문 인력과 장비를 확보하고 교육시설을 구축하는 등 8개월간 세밀한 준비와 엄격한 심사를 거쳐 28일, 대한진단검사의학회와 진단검사의학재단으로부터 진단검사의학 수탁기관 인증서를 획득했다. 또한 ▲검사실 운영 ▲임상화학검사 ▲진단혈액검사 등 총 10개 항목으로 구성된 진단검사 분야 운영 및 신뢰도 평가에서 평균 득점률 98.7%의 우수한 성적으로 우수검사실 신임인증도 획득했다. 이로써 의정부을지대병원은 타 기관에서 의뢰하는 진단검사의학적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춤과 동시에 우수한 진단검사실을 운영하고 있음을 공인받았다. 윤병우 병원장은 “이번 진단검사의학 수탁기관 및 우수검사실 신임인증을 통해 본원의 진단검사 분야 정확성과 신뢰도가 대내외적으로 입증됐다”며 “첨단 의료장비와 우수한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의료 질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의정부을지대병원은 현존하는 검체운송시스템 중 가장 속도가 빠른 장비인 ’앱티오 아텔리카 통합자동화시스템‘을 지난해 국내 최초로 진단검사의학과에 도입했다. 표준화된 검사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검체 투입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