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 난청과 어지럼 질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정밀한 치료를 위해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방문하는 것이 권장됐다. 대한이과학회는 9월 8일,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제57회 귀의 날 맞이 대국민 귀 건강 포럼’을 개최했다. 대한이과학회 최재영 회장은 “국민들에게 올바른 건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작년부터 시작된 대국민 귀 건강 포럼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다. 이에 올해는 어지럼증과 난청문제와 관련해 많은 준비를 했다”고 말했다. 대한이과학회는 귀를 진료하는 전문의로 구성된 국내 유일 학회로, 1990년 대한이과연구회로 시작해 올해 33주년을 맞았다. 인류 귀 건강에 헌신한다는 미션으로 8개의 임상연구회와 5개의 기초연구회를 두고 있으며, 해외 학술 교류 및 정책 제안, 전문가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귀의 날은 9월 9일로, 숫자 9의 발음 ‘구’가 귀와 발음이 비슷하고, 모양도 비슷해 정해졌다. 귀의 날 행사는 2001년부터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주관으로 진행하다가 2009년부터는 대한이과학회 주관으로 개최되고 있다. 이날 귀의 날 포럼에서는 1,2부로 나뉘어 각각 ‘어지럼증’과 ‘난청문제’에 대해 다뤘다. 포럼의 핵
양성 갑상선 결절 환자 대상 ‘고주파 절제술(RFA, Radiofrequency ablation)’의 장기 안전성과 효과성이 입증됐다. 순천향대 부천병원은 이승원 이비인후과(갑성선-두경부외과) 교수팀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1년 3월부터 2021년 1월까지 약 10년간 목 불편감, 연하곤란 등 결절의 압박 증상, 미용상의 문제 혹은 결절이 지속적으로 크기가 증가하는 2cm 이상의 양성 갑상선 결절 환자 287명을 대상으로 ‘고주파 절제술’의 장기 치료 결과를 분석·보고했다. 그 결과, 고주파 절제술 후 환자의 평균 갑상선 결절 부피(volume)는 6개월 후 75.2%(±23.8%), 5년 후 91.9%(±1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주파 절제술 후 미용적으로도 평균 미용 지수(Cosmetic score)가 시술 전 3.0점에서 시술 6개월 후 1.3점으로, 환자가 느끼는 목 압박 증상 점수(Subjective symptom scores)는 고주파 절제술 전 1.5점에서 6개월 후 1.1점으로 각각 호전됐다. 이어 이런 부피 감소, 미용 지수, 목 압박 점수의 호전은 고주파 절제술 후 5년간 안정적으로
노원을지대학교병원은 오는 9월 17일 오후 3시 이비인후과 연수강좌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노원을지대병원 연구동 지하 1층 범석홀에서 열리는 이번 연수강좌는 ‘귀,코,목 Specialist를 위한 1-Day Class’란 주제로 이명, 수면무호흡, 음성질환에 대한 최신지견을 공유할 예정이며, 노원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의료진뿐만 아니라 타 병원 의료진도 초청해 다채로운 강의를 준비했다. 이과 섹션에서는 ▲이명 진단/치료의 국내 이명 전문가 합의문(노원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심현준 교수) ▲잘 낫지 않는 주관적 이명의 치료(노원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안용휘 교수) ▲감별하기 어려운 객관적 이명의 치료(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박시내 교수)에 대한 최신지견을 나눈다. 이어 열리는 비과 섹션에서는 ▲수면다원검사 랩 Setting/운영 및 데이터 보기(노원을지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재원 교수) ▲수면 무호흡증의 비수술적 치료(리앤홍 이비인후과 이현종 교수) ▲수면 무호흡증의 수술적 치료(노원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두전강 교수)에 대한 강연이 준비됐다. 마지막으로 두경부 섹션에서는 ▲후두 음성질환의 수술적 치료(노원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정아라 교수) ▲후두 음성질환의 음성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손씻기 등 개인 방역수칙 준수에 따른 호흡기 질환 환자의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신건강의학과 내원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정신건강위기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공개한 ‘2021년 상반기 진료비통계지표(심사일 기준)’에 따르면 외래 다발생 질병 중 2020년 상반기 대비 2021년 상반기 요양급여비용이 가장 크게 감소한 질병은 ‘급성 기관지염(3533억→1816억, -48.6%)’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기간 외래에서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은 11.5%(1229억→1087억) 감소했고, 입원에서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은 22.4%(3220억→2022억) 감소했다. 이 같은 호흡기 질환 환자의 감소는 관련 진료과의 급여비 감소로 이어졌다. 전년 대비 2021년 상반기 이비인후과와 소아청소년과의 내원일수는 각각 30.0%, 24.5%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요양급여비 역시 각각 14.9%, 17.3% 크게 감소했다. 아울러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불안 등 정신건강관련 질환의 증가도 통계로 확인되고 있다
코로나19 판데믹 이후 경영상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비인후과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감기 환자 의존에서 벗어나 새로운 진료형태를 개발하고 적응해 나가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갑상선 질환, 혈관 질환, 어지럼 질환 등은 이비인후과가 가지고 있는 미각, 후각, 촉각, 청각 등에 다양한 기능적 적용이 가능하다는 의견이다. 건강복지정책연구원 임구일 이사는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계간의료정책포럼 19권 1호의 ‘코로나 판데믹 이후의 이비인후과 진료환경의 변화’ 기고를 통해 이 같은 생각을 밝혔다. 임구일 이사는 1995년 하버드 경영대학원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교수가 제창한 ‘파괴적 혁신이론’에 따른 이비인후과 경영난의 해결책을 제시했다. 양보·맞대응·방어적·성장주도형 등 4가지 전략을 통한 개선책을 살펴보면 양보라는 전략은 기존의 로앤드 시장을 포기하고 핵심고객에 다시 집중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로앤드 시장이란 감기 등의 상기도 환자를 말하는 것으로 일부 이비인후과는 이미 비소비자 시장을 대상으로 한 전문기업(음성클리닉, 수면무호흡 클리닉 등)으로 진입해 상기도 환자를 포기했지만 80% 이상의 이비인후과에 로앤드 시장을 포기하라는 것은 사망선고나
경희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민혜규 전공의(4년차)가 지난달 27일부터 3일간 스위스 그랜드 호텔에서 개최된 제94차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학술대회에서 ‘전공의 우수연제상’을 수상했다. 민 전공의는 선천면역반응에 관여하는 톨-유사수용체가 말초신경의 손상과 재생 과정에 관여한다는 여러 연구를 토대로 말초신경 중 하나인 안면신경의 손상과 재생 과정에도 톨-유사수용체의 발현에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해당 논문 제목은 안면손상 후 말초 안면신경 내 톨-유사수용체(Toll-like receptor) mRNA의 발현(Expression of Toll-like receptor mRNA in the distal facial nerve after facial nerve injury)이다. 민 전공의는 “이비인후과 질환의 하나인 안면마비 치료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논문을 발표한 것에 대해 큰 보람을 느낀다”며 “연구계획 단계부터 꼼꼼히 지도해주신 이비인후과 여승근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연구에 더욱 정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