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분기 국내 주요제약사들의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전년 동기인 2023년 3분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제약사들의 3분기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4년 3분기 매출 상위 30위 제약사들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8119억원으로 2023년 3분기 8502억원 대비 4.5% 축소됐다. 특히 1위 제약사인 유한양행도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크게 줄어든 모습이었다. 2023년 3분기 유한양행의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은 854억원으로 2024년 3분기 10억원대로 98.8% 줄어들었다. 반면 녹십자는 적자가 지속되긴 했지만 2023년 3분기 -991억원에서 2024년 3분기 -951억원으로 4% 증가했다. 종근당은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2023년 3분기 1769억원에서 2024년 3분기 440억원으로 75.1% 하락했다. 또 광동제약은 같은 기간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27억원에서 -24억원으로 11.7% 확대됐으며, 한미약품은 1723억원에서 1787억원으로 3.7% 상승했다. 2024년 3분기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은 삼진제약이 가장 크게 증가했다. 2023년 3분기 9억원대를 기록했지만 2024년 3분기에는 41억원으로 4
2024년 상반기 주요 제약사들의 영업흐름에 의한 현금흐름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제약사들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상반기 매출 상위 30위 이내 제약사들의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은 4382억원으로 2023년 상반기 5892억원 대비 25.6% 하락했다. 특히 이 같은 감소세는 상위 5개사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났다. 유한양행만 보더라도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2023년 상반기 565억원에서 2024년 상반기 128억원으로 77.2% 감소한 모습이다. 이어 광동제약도 2023년 상반기 128억원에서 2024년 상반기 -310억원으로,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적자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약품은 상위 5개사 중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유일하게 증가했다. 2023년 상반기에는 1221억원, 2024년 상반기에는 1587억원을 기록하면서 29.9%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종근당은 2023년 상반기 922억원에서 2024년 상반기 318억원으로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65.4% 줄어들었다. 이어 5위 제약사인 녹십자의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은 2023년 상반기 -476억원에서 2024년 상반기 -952억원으로 99.7% 축소됐다.
1분기 주요 제약사들 중 절반 이상의 제약사들이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상위 30위 내의 제약사들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이번 1분기 3481억원으로, 2023년 1분기 2826억원에서 23.2% 확대됐다. 상위 5개사 중 1, 2위 제약사들은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하락한 모습이다. 유한양행은 2023년 1분기 427억원에서 2024년 1분기 86억원으로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79.7% 감소했으며, 광동제약은 2023년 1분기 -18억원에서 -209억원으로 1016% 감소했다. 반면 3, 4위 제약사들은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증가했다. 한미약품은 2023년 1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774억원이었는데, 2024년 1분기 1277억원으로 64.9% 확대됐으며 종근당은 2023년 1분기 425억원에서 2024년 1분기 455억원으로 7% 증가했다. 또 5위 제약사인 녹십자는 2023년 1분기 -357억원에서 2024년 1분기 -624억원으로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74.8% 하락했다.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가장 많이 증가한 제약사들 중 JW중외제약은 2023년 1분기
2022년 3분기 상위 30위에 속하는 제약사들의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전년 동기인 2021년 3분기 대비 적은 폭이지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시를 통한 분기보고서 분석 결과 2022년 3분기 매출 상위 30위 제약사들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총합은 8579억원으로 전년 동기 8411억원보다 2% 상승했다. 3분기 매출 1위 제약사인 유한양행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716억원으로, 상위 제약사들 중에서는 두 번째로 높은 액수를 보이고 있다. 지난 해 3분기에는 586억원의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을 보이면서 22.2% 늘었다. 반면 녹십자는 현금흐름이 2021년 3분기 341억원에서 20022년 3분기 240억원으로 29.4% 감소했다. 종근당도 2021년 3분기 385억원에서 2022년 3분기 377억원으로 현금흐름이 줄어들었으나 감소 편은 2% 남짓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광동제약은 지난 해 현금흐름이 288억원으로 올해 496억원으로 71.7% 확대됐다. 한미약품은 상위 제약사들 중에서도 압도적인 현금흐름을 보이고 있는데, 지난 해 3분기에도 1449억원의 현금흐름이 확인된 데에 이어 올해는 2015억원으로 39.2% 확대된 현금흐름이
2022년 상반기 매출 상위 30위를 기록한 제약사들 중 16개 제약사가 2021년 상반기보다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1개 제약사는 2021년 상반기 대비 2022년 상반기에 현금흐름이 흑자 전환하기도 했다. 전자공시의 반기보고서 분석 결과 2022년 상반기 상위 30개 제약사들의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은 2021년 상반기 4848억원에서 2022년 상반기 6046억원으로 24.7% 증가했다. 먼저 매출 1위의 유한양행은 2021년 상반기 현금흐름이 601억원에서 2022년 상반기 1071억원으로 78.2% 상승했다. 이와 반대로 녹십자의 현금흐름은 2021년 상반기 273억원으로 2022년 상반기 215억원으로 21.2% 줄어들었다. 종근당은 2021년 상반기 281억원의 현금흐름을 보였지만 2022년 상반기 343억원으로 22% 늘었다. 특히 광동제약에서는 현금흐름의 증가율이 높은 편을 보이고 있는데, 2021년 상반기 현금흐름은 31억원이었으나 2022년 상반기 223억원으로 607%의 증가를 보였다. 한미약품의 현금흐름은 상위 제약사 중 가장 많은 액수로 나타난다. 2021년 상반기 784억원의 현금흐름을 보였다면
누계 실적을 기준으로 2020년 3분기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 흐름이 2020년 3분기 대비 증가했다. 전자공시 분기보고서 분석을 통해 3분기 누계 매출 상위 국내제약사 50개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지난 해 3분기 8782억원에서 1조 231억원으로 16.5% 증가했다. 특히 상위 5개 제약사에서는 종근당을 제외한 모든 제약사가 100% 이상 영업활동에 의함 현금흐름이 증가했다.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 흐름은 기업의 제품 제조부터 판매까지 영업과정에서 발생하는 현금의 유입∙유출을 의미하는 것으로, 운전자금 부담이 연초에 비해 늘어날 경우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한다. 매출 1위인 유한양행은 지난 해 239억원에서 올해 586억원으로 144.9% 상승했다. 녹십자는 상위 5개 제약사 중 가장 증가율이 크고, 유일하게 지난 해 3분기 마이너스를 기록한 제약사다. 지난 2020년 3분기 -116억원에서 2021년 3분기 341억원으로 392% 증가했다. 상위 5개 제약사 중 유일하게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감소한 종근당은 765억원에서 385억원으로 49.6% 하락했다. 이어 광동제약은 1221억원에서 288억원으로 138.1%, 한미약품은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