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분기 주요 제약사들이 1조 3659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예년 대비 달성률은 이상적 기준인 75%를 넘지 않는 곳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다소 아쉽게 마무리됐다. 전자공시를 통한 2024년 3분기 매출 상위 50위 이내의 제약사들의 연구개발비 투자 결과가 분석됐다. 특히 TOP5 중 유한양행은 이미 올 3분기에 예년의 투자비용 그 이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3분기 유한양행의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2.8%인 2011억원이었는데, 이는 2023년 연구개발비의 103.4%, 2022년 3분기 연구개발비의 111.7%다. 반면 2~4위권 제약사들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다소 더딘 편이었다. 녹십자의 연구개발비는 올해 3분기 누계 1206억원으로, 매출의 9.7%였다. 이는 2023년 연구개발비 1953억원의 61.8%, 2022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2136억원의 56.5%로 나타났다. 종근당은 이번 3분기까지 연구개발비로 매출의 9%인 1049억원을 사용했다. 2023년 연구개발비인 1512억원의 69.4%, 2022년 연구개발비 1813억원의 57.9%에 해당된다. 광동제약은 3분기 매출의 1.6%인 118억원
2024년 상반기 주요 제약사들 중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를 가장 많이 투자한 제약사는 동아에스티였다. 금융감독원에 공시된 2024년 상반기 매출 상위 30위 이내의 제약사들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 제약사는 올 상반기 연구개발비로 총 9040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2023년 연구개발비인 1조 8722억원의 48.3%, 2022년 연구개발비인 1조 8663억원의 48.4%에 그쳐 다소 아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매출 1위 제약사인 유한양행은 매출의 10.8%인 1048억원을 올해 상반기 연구개발비용으로 사용했는데, 이는 2023년 연간 연구개발비용 1944억원의 53.9%, 2022년 연간 연구개발비용 1800억원의 58.2%로 나타나며 예년 대비 개발비 투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유한양행이 2023년 시작한 연구 중 고혈압 복합제인 ‘AD-218’, ‘AD-223’에 대한 임상3상 연구와 대사 관련 복합제 ‘AD-2303’, ‘AD-2304’에 대한 임상1상 연구 등이 있다. 매출 대비 비교적 적은 비율을 연구개발비용으로 투자하고 있는 광동제약은, 올해 상반기 매출의 1.7%인 80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사용했다. 이는 2023년 연
2024년 1분기 녹십자가 가장 많은 정부보조금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제약사들의 1분기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상위 50개 제약사들 중 20개 제약사들의 정부보조금 수령현황이 확인됐다. 이들 제약사의 올 1분기 정부보조금 수령 규모는 약 11억원이었다. 정부보조금 수령현황을 공개한 상위 5개 제약사들 중 한미약품은 올해 1분기 연구개발비용 466억 규모 중 2억 3300만원이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금액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에는 32억 700만원, 2023년에는 11억원을 정부보조금으로 받았다. 종근당은 2024년 1분기 325억원의 연구개발비용 중 약 3300만원이 정부보조금으로 확인된 가운데, 2023년에는 1512억원 중 4억 8200만원, 2024년에는 1813억원 중 12억원 500만원을 정부보조금으로 수령했다. 또 녹십자는 1분기 연구개발비로 379억원을 사용한 가운데 정부보조금으로는 3억 3900만원을 지출했다. 2023년에는 연구개발비 1953억원 중 29억원, 2022년에는 2136억원 중 59억원이 정부보조금이었다. 대웅제약은 2024년 567억원을 연구개발비로 투자했으며, 이 중 1억 2100만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
주요 제약사들의 2024년 1분기 연구개발비 투자 비용이 2023년 비용 대비 달성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시를 통해 2024년 1분기 매출 상위 30위 이내 제약사들의 연구개발비 투자 현황이 확인됐다. 모두 매출 대비 비슷한 비율을 연구개발비로 투자하고 있는상위 5개 제약사도 달성률이 낮은 모습이었다. 유한양행은 이번 1분기 매출의 10.1%인 448억원을 연구개발비로 투자한 가운데, 2023년에는 매출의 10.5%인 1944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나며 달성률은 23.1%에 그쳤다. 광동제약은 1분기 연구개발비가 40억원 규모로 매출의 1.6%였으며, 2023년 매출의 2.2%인 204억원을 사용한 것 대비 달성률은 20%로 나타났다. 이어 한미약품은 연구개발비가 466억원으로 매출의 11.5%를 차지하면서 상위 5개사 중에서는 가장 투자 비율이 높았다. 2023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2050억원으로 매출의 13.8%였다. 종근당은 2024년 1분기 연구개발비가 325억원으로 매출의 9%를 투자했다. 2023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9.1%인 1512억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전년 대비 이번 1분기의 달성률은 21.5%다. 또 녹십자는 379억원으로
주요 제약사들 중 녹십자가 2023년 정부보조금을 가장 많이 수령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감독원에 공시된 주요 제약사들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매출 상위 30개 제약사들 중 19개 제약사들이 지난 해 정부보조금 현황을 밝혔다. 이 중 2023년 가장 정부보조금 수령액이 높았던 제약사는 녹십자로, 연구개발비용 1953억 8800만원 중 29억 7400만원이 정부보조금으로 확인됐다. 이는 예년 대비 감소한 수치로, 2022년에는 2136억원 3100만원 중 59억 3500만원이, 2021년에는 1723억 1100만원 중 173억 500만원이 정부보조금이었다. 녹십자의 뒤를 있는 제약사들은 에스티팜과, 동아에스티 등이었다. 에스티팜은 2023년 투자한 연구개발비용 304억 4900만원 중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금액이 24억 7500만원이었다. 2022년에는 263억 600만원에서 12억 1800만원을 정부보조금으로 받았으며, 2021년에는 182억 9200만원의 연구개발비용을 투자한 가운데 정부보조금은 -6억 9400만원으로 공시됐다. 동아에스티는 2023년 연구개발비로 1211억 400만원 규모를 투자했으며, 이 중 정부로부터 22억 3600만원을
2023년 경기 침체 속 많은 제약사들이 연구개발비 투자를 전년 대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개발비 비중이 적은 제약사들도, 적은 폭이지만 점차 연구개발비와 연구개발비 비중이 증가하고 있어 유종의 미를 거둔 한 해로 분석됐다. 금융감독원을 통한 사업보고서 분석 결과, 2023년 매출 상위 30개 제약사들 중 19개 제약사들의 연구개발비가 2022년 대비 확대됐으며 18개 제약사들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확대됐다. TOP5 제약사들 중 유한양행은 2023년 연구개발비가 매출의 10.5%인 1944억원 규모로, 전년도 1800억원 대비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근당은 2023년 매출의 9.1% 규모인 1512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사용했다. 2022년과 비교하면 매출의 12.2%인 1813억원 대비 비용이 16.6% 축소됐다. 녹십자는 2023년 연구개발비 비중이 12%로, 전년도 12.5%와 비슷했지만 연구개발비용은 2136억원에서 1953억원으로 8.5% 감소했다. 광동제약은 연구개발비 투자 비중이 적지만, 연구개발비를 확대시키는 모습이었다. 2023년 광동제약의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2.2%인 204억원이었는데, 이는 2022년 연구개발비
2023년 3분기 에스티팜이연구개발을 위한 정부보조금을 가장 많이 수령한 모습이다. 상위 30개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조사한 결과, 20개 제약사들의 2023년 3분기정부보조금 수령 현황이 확인됐다. 이 제약사들의 2023년 3분기연구개발비용은 9609억원으로 이 중 정부보조금은 44억원규모였다. 2022년에는 연구개발비용 1조 3330억원 중 146억원이,2021년에는 1조 1279억원 중 85억원이 정부보조금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3분기 정부보조금수령 현황을 공개한 상위 제약사들 중 녹십자는 이번 3분기 연구개발비 1488억원 중 22억원이 정부보조금이었으며, 2022년에는 연구개발비용 2136억원 중 59억원, 2021년에는 1723억원중 173억원이 정부보조금이었다. 녹십자는 1차성 면역결핍질환 치료제 ‘GC5107B’가 미국 허가 심사 단계에 있으며 국내에서는 헌터증후구 치료제 ‘GC111F’가임상 3상 중이며, A/B형 혈우병 치료제 ‘MG1113A’가 임상 1상, 대장암치료제 ‘GC1118A’가 임상 2a상 중이었고 또다른 헌터증후군치료제 ‘GC1123B’가 임상 1상 진행 중이다. 백신 부문에서는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백신인
주요 제약사들의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 투자가 예년 대비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3분기 매출 상위 30위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이번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로 총 1조 3353억원을 사용하면서 2022년 전체 연구개발비인 1조 8387억원의 73.7%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21년에는 연구개발비가 1조 5952억원으로 보다 달성률은 높은 편이다. 상위 5개 제약사 중 유한양행의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는 1353억원으로 확인돼 매출의 9.5%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22년 연간 연구개발비인 1800억원의 75.2%로, 지난 해에는 매출의 10.1%를 연구개발비로 사용한 모습이다. 2021년에는 연구개발비로 매출의 10.6%인 1782억원을 투자했다. 녹십자는 2023년 3분기 연구개발비가 매출의 12.2%인 1488억원이다. 2022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2.5%인 2136억원으로 확인돼 전년 대비 이번 3분기 달성률은 6.97%에 그쳤다. 2021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1.2%인 1723억원이었다. 종근당은 연구개발비 투자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번 3분기 연구개발비 누계는 102
신풍제약이 주요 국내 제약사 중 이번 상반기 연구개발비 투자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상위 30위 제약사의 연구개발비는 총 9393억원 규모로 2022년 대비 50.8%, 2021년 대비 57.7%가 연구개발비를 달성했다. 유한양행은 연구개발비 투자가 줄어드는 추세다. 2021년에는 매출의 10.6%, 2022년에는 매출의10.1%를 연구개발비로 사용했으며 이번 2023년 상반기는 연구개발비로 868억원을 투자하면서 비중이 9.3%로 줄어들었다. 녹십자는 연구개발비로 매출의 13.6%인 1061억원을 투자하며 상위 5개사 중 가장 연구개발비 투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2.5%, 2021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11.2%로 연구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를 보이고 있다. 종근당의 상반기 연구개발비 투자 비율은 매출의 9.6%인 730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과 2021년 연간 연구개발비 투자 비율은 12.2%였다. 광동제약은 연구개발비 투자 비율이 2%로 상위 50개사 중 두번째로 낮았다. 또 한미약품의 연구개발비 투자액은은 912억원으로 매출의 13%를 달성했다. 한미약품의 2022년, 2023년 연간 연구개
전자공시를 통해 주요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1분기 매출 상위 30위를 차지한 제약사들이 총 4571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제약사 중 매출이 가장 높았던 제약사는 유한양행으로, 이번 1분기 연구개발비를 357억원을 사용해 매출의 8.1%를 차지하고 있었다. 1분기 연구개발비는 2022년 연구개발비 1800만원의 19.9%, 2021년 연구개발비 1782억원의 20.1%였다. 종근당의 1분기 연구개발비는 386억원으로 매출의 10.6%를 차지해 유한양행보다 비중이 높은 편이다. 2022년 연구개발비 1813억원에 비하면 21.3%를, 2021년 연구개발비 1634억원에 비하면 23.7%였다. 한미약품은 1분기 연구개발비가 457억원으로 매출의 12.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연구개발비인 1779억원의 25.7%, 2021년 연구개발비인 1615억원의 28.3%로 예년 대비 연구개발비 투자액이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다. 광동제약은 연구개발비 비중이 1.6%로 낮은 제약사로 손꼽히고 있지만 연구개발비 투자액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2022년 연간 연구개발비의 38.3%, 2021년 연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