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든 제때 치료받을 수 있는 나라가 되려면
보건의료는 다른 상품과는 다르게 생명과 직결된 서비스이고, 공공성을 띠고 있다. 모든 국민이 필요할 때 적합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려면, 공공의료가 살아나야 한다. 우리나라 의료체계는 대도시와 민간병원을 중심으로 발달돼 있다. 더 많은 자원이 투입되고, 더 많은 기회가 있는 곳에서 발전이 이뤄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최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주관한 두 개의 심포지엄을 연달아 들었다. 하나는 코로나19 시기 감염병 전담 병원으로 운영됐던 지역공공의료기관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내용이었고, 다른 하나는 지역 의료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책임의료기관들의 현장 사례에 대한 내용이었다. 지역 의료 협력체계 구축은 민간병원의 자원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을 마련하는 좋은 방법이지만, 결국 민간병원은 민간병원으로서의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공공의료를 실현하려면 공공의료기관의 역할과 역량이 중요하다. 하지만 민간병원 중심으로 발달한 우리나라에서 현재 공공의료기관의 역량은 부족한 상황이고 코로나19를 겪으며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다. 우리나라 의료 수준은 세계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세계적인 의료는 수도권과 일부 대도시에 한정돼 있다. 최근에는 서울의 한 상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