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심장성 수술 환자의 수술 후 심근 손상 및 사망률 예측 인자로서 ‘좌심실 종축 움직임 변화(Left Ventricular Global Longitudinal Strain, LVGLS)’이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은 심장내과 서혜선·문인기 교수와 용인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김민관·배성아·정인현 교수 공동연구팀이 수술 후 심근 손상과 조기 심혈관 사건을 예측하기 위해 심초음파를 이용해 ‘좌심실 종축 움직임 변화(Left Ventricular Global Longitudinal Strain, LVGLS)’를 측정 및 분석했다고 9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2020년 6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과 용인 세브란스병원에서 수술한 8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좌심실 종축 움직임 변화가 적은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조기 심혈관 사건 발생 가능성이 30%, 심근 손상 가능성이 3.5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 1저자인 문인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가진 채 비심장수술을 받는 환자에서 좌심실 종축 움직임 변화의 임상적 유용성을 밝힌 첫 연구다”라며 “특히 좌심실 기능 저하나
로사르탄의 고전적인 임상적 효과에 대해 다시 한번 많은 전문가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21~22일 개최된 2023 춘계심혈관통합학술대회에서는 ‘Importance of HTN Management with CV Disease and Evidence of Losartan’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 날 준비된 세션은 오가논이 준비한 과학세션으로, 대표적인 로사르탄 제제인 코자와 관련한 강의가 진행됐다. 발표는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오재원 교수가 맡았다. 심부전 치료에 있어서 혈압 조절은 굉장히 중요하다. 때문에 우리나라의 고혈압 가이드라인은 심부전 위험이 높거나 박출률 저하심부전이 동반된 고혈압 환자에서는 혈압을 130/80mmHg로 조절하도록 권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오재원 교수는 이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연구로, LIFE, ELITEⅡ, HEAAL 3개 연구 결과에 대해 설명했다. 먼저 LIFE 스터디는 LVH 환자의 LVH 리그레이션 시 ARB가 좋게 나타난다는 점을 뒷받침해준 연구였다. 오 교수는 “고혈압 환자에서 LVH 등의 있는 경우 심부전 발생이 늘어나기 때문에 혈압을 잘 조절해야한다는 메시지를 전해준다.”며 “혈
2023 춘계심혈관통합학술대회가 21일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막이 올랐다. 이번 학술대회는 22일까지 진행되는 학술대회로 대한심장학회를 비롯해대한부정맥학회, 대한소아심장학회, 대한심부전학회, 대한심혈관중재학회, 심장대사증후군학회, 한국심초음파학회,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가함께 주관하는 학술대회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Interventon & CardiacSurgery & Heart Failure’, ‘Cardiology & Psychiatry’, ‘Cardiology&Psychiatry’, ‘Genetics &Cardiology’ 등 다양한 CrossSpecialty가 준비된 가운데, 故 조광현 교수를 회고하는 추모 세션도 마련됐다. 뿐만 아니라 보령제약, 한미약품, BMS-화이자, 삼진제약, 오가논, 노바티스, 비아트리스, 암젠 등 다양한 제약사가 스폰서로 참가했으며 일부 제약사는학술대회 세션을 통해 다양한 임상 정보를 제공하기도 했다.
“아이가 어떤 길을 가야 할지 결정해야 하는데, 이를 두고 엄마와 아빠가 싸우고 있어 자녀가 선택을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지난 대한심혈관중재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안상호 선천성심장병환우회 대표가 TAVI 급여 확대를 놓고 대립하는 심장내과와 흉부외과의 상황을 두고 빗대어 한 말이다. 심장내과와 흉부외과의 대립은 햇수로만 어언 9년째다. TAVI 시술은 지난 2015년 80% 본인 부담으로 국내 도입됐으며, 2022년 8월에는 선별급여 시행으로 STS 점수에 따라 8% 이상의 고위험군은 5%, 4~8%의 중간위험도군은 50%, 4% 미만의 저위험군은 80%의 본인부담으로 시술이 가능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80세 이상의 연령에서만 가능하다는 점과 급여가 적용되지 않을 경우 3000만원에 달하는 시술 비용으로 인해 환자의 치료 선택권이 제한되고 있는 상태다. 때문에 심장내과에서는 △개흉하지 않아 감염 위험이 낮고 △체외순환펌프 및 수혈 불필요 △시술 다음날 퇴원 가능 △ 중위험도 환자까지는 수술과 동등한 효과를 보이는 등의 이유로 TAVI 급여 확대를 찬성하는 반면, 흉부외과에서는 저위험군 임상 데이터 부족 등을 이유로 아직까지는 급여 확대가 섣부르다는 입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곳을 고르라면 단연 심장과 뇌다. 때문에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 시 환자의 일상생활 회복을 위해서는 어떤 질병보다도 빠르고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심뇌혈관 질환을 위한 의료체계는 제한되는 점이 많다. 일단 의사 수도 부족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예후를 높고 봤을 때 응급 이송 시스템에서도 아쉬운 부분이 많다. 특히 모든 업무의 근거와 뒷받침이 될 재정 문제도 심각하다. 메디포뉴스는 충북권역심뇌혈관센터 심혈관센터장을 역임했던 충북대학교병원 심장내과 배장환 교수를 만나 우리나라 심뇌혈관 질환 치료환경의 현실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봤다. Q.코로나19를 전후로 심뇌혈관 치료 현실의 변화는 어떠한가요? 팬데믹으로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면서 유럽의 경우는 코로나19 환자를 수용하다가 다른 급성 질환 환자를 수용하지 못하는 일이 생겼다. 이탈리아는 한동안 통계상에서 심근경색증 환자가 줄어들었다고 나오기도 했는데, 현실적으로는 코로나19 환자를 받다가 심근경색증 환자를 제대로 진단, 치료하지 못하게 됐다. 심근경색증 환자조차도 입원을 못하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도 코로나19 초기 데이터에 의하면 심근경색증 환자의 입원이